달력

2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주식'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7.12.13 주식설명
  2. 2017.12.13 주식단어

주식설명

주식 2017. 12. 13. 20:56

No.001 주식 

 주식회사는 자본단체이므로 자본이 없이는 성립할 수 없다. 자본은 사우너인 주주의 출자이며, 권리와 의무의 단위로서의 주식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주식에는 자본을 구성하는 분자로서의 금액의 뜻과, 주주의 회사에 대한 권리, 의무의 단위인 주주권으로서의 뜻이 있다. 주식과 유사한 것에 합명회사나 합자회사의 지분이 있으나, 주식은 1인이 많이 소유할 수 있는 데 대하여 지분은 각인의 출자분을 각각 하나의 지분으로 하는 점에 양자의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주식과 주권을 혼동하는 일이 많으나, 주권은 주식(주주권)을 표창하는 유가증권이다. 주식을 줄여 '주'라고 하며, 소유자를 '주주'라고 한다.

 자본구성분자로서의 주식 : 주식회사의 자본은 주식으로 분할하여야 하며, 주식의 금액은 균일하여야 한다. (상법 329조). 따라서 주식은 자본을 균일하게 나눈 단위로서의 금액을 표시한다. 자본과 주식의 관련이 밀접하여. 주식은 사원의 출자를 측정하는 단위, 즉 자본의 구성분자로서의 금액을 뜻하게 된다.

 주주의 권리, 의무의 단위로서의 주식 : 회사에 대한 사원의 지위를 지분이라 하는데, 자본단체로서의 주식회사에 있어서의 지분, 즉 주주의 지위를 주식이라 한다. 주주는 주주라는 자격에서 회사에 대하여 여러 권리를 가지며, 출자의무를 부담한다. 이와 같은 여러 권리, 의무를 발생시키는 기초가 되는 회사와 주주간의 법률관계, 주관적으로 말하면 사원의 회사에 대한 법률상의 지위를 주주권이라 한다. 주주권은 자본의 구성분자인 금액으로서의 주식을 단위로 하여 인정되는 것이므로, 주주의 회사에 대한 권리, 의무는 주주권이라는 뜻을 지니는 주식을 단위로 하여 결정된다.


No.002 주주의 권리와 의무

 주주가 회사에 대하여 가지는 법률상의 지위나 권리는 자익권과 공익권으로 나누어진다. 자익권은 주주가 회사로부터 경제적 이익을 직접 받을 수 있는 권리이다. 이에는 이익배당청구권(462조), 잔여재산분배청구권(538조), 이자배당청구권(463조), 주권교부청구권(355조), 주식전환청구권(346~351조), 주식의 명의개선청구권(337조) 등이 있다. 공익권은 회사의 경영에 관여하여 부당한 경영을 방지, 배제하는 권리이다. 이에는 의결권(369조), 주주총회결의 취소를 구하는 권리(376~378조), 주주총회 소집청구권(366조), 이사의 위법행위 유지 청구권(402조), 대표 소송을 제기하는 권리(403조), 회사의 해산을 청구한느 권리 등이 있다.

 주주의 권리는 단독으로 행사할 수 있는 단독주주권과, 일정한 수에 해당하는 주식을 가진 주주만이 행사할 수 있는 소수 주주권으로 나눌 수 있다. 단독주주권에는 의결권, 주주총회 결의의 취소, 무효를 제소하는 권리, 각종 서류열람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396조 2항) 등이 있다. 소수주주권에는 주주총회의 소집을 청구하는 권리(365조), 회사의 해산을 청구하는 권리(227~244조), 청산인의 해임을 청구하는 권리 등이 있다. 주주는 그가 가진 주식의 인수가액을 한도로 책임을 지며(331조), 이외에는 아무런 의무도 지지 않는다. 이것을 주주유한책임의 원칙이라 한다.


No.003 주식의 종류

 주주의 권리는 주식의 수에 비례하여 정하여지고, 각 주식의 내용은 모두 평등하다. 이를 '주주평등의 원칙'이라 한다. 그러나 이것에는 상법상 몇 가지 예외가 인정되어 있다. 

 회사는 정관의 규정에 따라 권리의 내용을 달리하는 주식을 발행함으로써, 주주에게는 다른 종류의 주식을 가지는 주주와 다른 취급을 할 수 있다. 상법은 이익배당이나 잔여재산분배 등에 관하여 그 내용이 다른 수종의 주식을 인정하고 있다(344조), 표준이 되는 주식을 보통주라 하고, 이에 비하여 재산적 내용에 관하여 우선적 지위를 가지는 우선주, 보통주보다 뒤에 배당을 받는 후배주, 이익배당에서는 보통주에 우선하고 잔여재산분배에서는 뒤에 배당하는 경우와 같은 혼합주 등이 있다.

 또 회사가 한때의 자금조달의 필요에 따라 배당우선주를 발행하지만, 일정한 요건하에 이익으로써 소각할 수 있는 상환주식, 수중의 주식을 발행하는 경우에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인정된 전환주식이 인정되고 있다(346~351조)

 회사는 정관으로 배당우선주에 대하여 주주에게 의결권이 없는 것으로 할 수 있으나, 다만 남용을 막기 위하여 의결권 없는 주식의 총수는 전체 발행주식 총수의 1/4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있다.(370조)


No.004 주식의 불가분과 공유

 상법에는 명문의 규정이 없으나, 1개의 주식을 분할하여 그 일부분에 대한 주주는 인정되지 않는다(주식불가분의 원칙) 그러나 1개 또는 여러 개의 주식을 여러 사람의 공유에 속하게 하는 것은 상관없다(주식의 공유) 이것은 주주가 사망하여 여러 사람의 유산상속인이 있는 경우에 볼 수 있다.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주식을 인수하는 때에는 연대하여 납입할 책임이 있다.(333조 1항)

 주식공유의 경우에는 공유자는 주주의 권리를 행사할 사람 1명을 정하여야 한다(333조 2항), 주주의 권리를 행사할 사람이 없는 경우, 공유자에 대한 통지나 최고는 그 중 1명에 대하여 하면 된다.(333조 3항)


No.005 주식과 주권

 주주권을 표시하는 유가증권이며, 이에 의하여 주주권이 양도되고 유통된다. 이와 같은 주주권의 증권화제도는 주식회사의 가장 중요한 경제적 특색의 하나이다. 주권은 단체적, 사원권적 유가증권이고, 어음, 수표와 같이 설권증권이 아니다. 

 특질은 대량증권, 대체증권, 불완전유가증권, 요식증권이 데 있다. 주권은 회사성립 후 또는 신주의 납입기일 후가 아니면 발행하지 못하며,(355조 2항), 이에 위반하면 무효이고 이를 발행한 회사는 손해배상책임을 질 뿐만 아니라, 이사는 과태료의 제재를 받는다(355조 3항, 635조 1항 19호)

 회사는 성립 후 또는 신주의 납입기일 후에 지체없이 주권을 발행하여야 한다(355조 1항), 주권은 권면에 주주명을 기재한 기명주권과 주주명이 기재되지 않은 무기명주권으로 나누어진다. 이 경우에는 사옿간에 전환권이 있다.

 주권은 1매로 어느 정도의 주식수를 표시하는가에 따라, 1주권, 10주권, 100주권 등으로 나누어진다. 주권을 분실한 경우에는 공시최고의 절차에 의하여 무효로 할 수 있고, 제권판결을 받아서 주권의 재발행을 청구할 수 있다.(360조)


No.006 주식의 배당

 주식에 대한 이익분배액을 배당이라 한다. 배당에는 현금배당과 주식배당이 있으나, 거의가 현금배당을 하고 있다. 이익은 대차대조표상의 순재산액에서 자본금과 결산기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및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을 공제한 잔액이다(462조 1항), 회사는 이 이익에서 정관 또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정한 임의준비금과 임원상여금을 공제한 뒤에 이익배당을 할 수 있다. 이익배당은 각 주주의 주식수에 따라 평등하게 지급하여야 한다(464조) 배당은 각 연도말에 대차대조표상에 생기는 이익만을 배당할 수 있다. 영국과 미국 등에서 널리 볼 수 있는 중간배당, 곧 영업연도의 중도에서 장래연도 말에 예상되는 이익을 배당하거나 또는 임의준비금을 지출하여 배당하는 일은 우리 상법상 인정되지 않았다가. 2011년에 신설되었다(462조 3항)


No.007 주식의 발행

 주식은 기본적으로 설립과 증자의 두 경우에 발행된다. 회사설립시에는 정관에 회사의 발행예정 주식의 총수와 설립시에 발행하는 주식의 총수를 기재하여야 하지만 (289조 1항 3,5호), 설립시에 발행하는 주식의 총수는 회사가 발행할 주식 총수의 1/4 이상이어야 한다(289조 2항), 나머지 주식은 회사성립 후에 자금수요에 따라 필요한 한도에서 수시, 기동적으로 발행한다는 것이 수권자본제도의 본령이다. 따라서 회사성립 후 발행예정주식 총수의 범위 내에서 미발행 주식을 발행하는 것을 신주의 발행이라 한다.

 구상법하에서는 주식 전부의 인수가 있어야 하며, 신주발행에는 먼저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로 자본증가의 정관 변경을 하여야 한다는 것과 다른 점이다. 설립에 즈음하여 발행하는 주식은 모두 발기인이 인수하고 이에 의하여 회사를 성립시키는 방법을 발기설립이라 하며, 발기인이 일부를 인수하고, 나머지는 주주를 모집하는 방법을 모집설립이라 한다. 설립이후 회사가 자기자본의 증가에 의하여 장기작므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이 증자인데, 수권자본의 범위 내에서 미발행 주식이 남아 있는 한 이사회의 결의로써 기동적으로 신주를 발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법에 다른 규정이 있거나 정관으로 주주총회에서 결정하기로 정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다(416조)

 신주를 발행할 때에는 신주의 종류와 수, 신주의 발행가액과 납입기일, 신주의 인수방법, 현물출자하는 자의 성명과 그 목적인 재산의 종류, 수량가액과 이에 대하여 부여할 주식의 종류와 수, 신주인수권 양도, 신주인수권 증서의 발행과 청구기간 등을 결정하여야 한다.


No.008 주식의 입질, 소각, 병합, 분할

 주식은 재산적 가치가 있으므로 입질할 수 있고, 주권의 존재가 이를 용이하게 한다. 주식을 입질해도 주주로서의 지위는 상실되지 않는다. 다만 회사는 발행주식의 총수의 1/20을 초과하여 자기주식을 질권의 목적으로 받지 못한다. (341조의 3), 기명주식을 질권의 목적으로 할 경우 주권을 질권자에게 교부해야 하며, 질권자는 계속하여 주권을 점유하지 않으면 그 질권으로써 제3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338조), 무기명주식의 입질은 무기명채권에 준하므로, 민법의 원칙에 따라 질권자에게 주권을 교부함으로써 효력이 생긴다(민법 351조)

 주식의 소각이란 특정주식을 절대적으로 소멸시키는 회사의 행위이다. 이것에는 자본감소의 규정에 따라서 하는 경우(상법 343조)와 주주에게 배당할 이익으로써 하는 경우가 있고, 후자에는 다시 특정 주식만이 소각되는 상환주식의 소각(345조)과 모든 주식이 평등하게 소각되는 이익소각(343조 1항 단서)으로 나뉜다.

 주식의 병합은 2개 이상의 주식을 합하여, 주식수의 합계를 병합 전보다 적게 하는 방법이다. 병합은 감자, 합병, 액면금액 변경 등의 경우에 생긴다. 병합의 결과 주식수에 변동이 생기므로, 주권상환을 위하여 회사는 1개월 이상의 기간을 정하여 그 뜻과 기간 내에 주권을 회사에 제출하도록 최고해야 한다. 기간이 만료된 때, 만일 채권자보호절차(232조)가 종료하지 아니한 때에는 그 절차가 종료한 때 효력이 생긴다(440.441조)

 주식의 분할은 자본의 변동없이 주식을 세분하는 것으로 그동안 학설로만 인정하여 오다가 상법의 개정으로 주식분할제도를 도입했다(상법 329의 2). 이로써 회사합병 단계에서 합병당사자인 회사 간의 주가차를 조절할 수 있고, 고가주의 유통성을 회복할 수 있게 되었다.


No.009 주식의 양도

 법률행위에 의하여 주주권인 주식을 이전하는 일을 말하며, 주주는 원칙적으로 자유로이 양도할 수 있다. 이를 주식양도 자유의 원칙이라 한다. 다만 주식의 양도는 정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이사회의 승인을 얻도록 할 수 있다.(335조 1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단어  (0) 2017.12.13
Posted by 전설의아이
|

주식단어

주식 2017. 12. 13. 20:53

No.001 주식 

 주식회사는 기업을 설립한 뒤 기업의 가치를 기반으로 한 주식을 발행합니다. 주식회사는 발행한 주식을 증권시장에 유통시켜 기업활동을 영위하는 자본금을 확보하게 되고, 투자등을 목적으로 주식을 취득한(매수) 개인이나 단체는 주주가 되어 보유한 만큼의 권리와 의무(배당금 및 주주총회 의결권)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주식회사의 가치에 따라 주식은 상승하고 하락하며, 주식의 일일 변동폭은 2017년 현재 + 30% 에서 -30% 까지 입니다.


No.002 매수

 주식을 사는 행위를 말합니다. 주식을 보유한 비율에 따라 대주주 혹은 최대 주주가 될 수 있습니다.


No.003 매도

 보유한 주식을 파는 행위를 말합니다. 처음 매수한 주식가격보다 높게 팔면 수익이, 낮게 팔면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No.004 체결/미체결

 매수나 매도 요청을 한 주문이 완료 되었으면 체결, 가격변동 등으로 주문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면 미체결로 구분됩니다. 미체결로 유지 되던 주문은 그 날 주식 시장이 끝나면 주문이 자동 취소가 됩니다.


No.005 MTS/HTS

 MTS는 Mobile Trading System의 약자로 신한아이알파 같은 스마트폰의 모바일 주식거래 가능한 앱을 말합니다. HTS는 Home Trading System의 약자로 신한아이 같은 컴퓨터에 설치된 주식거래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No.006 현재가

 주식은 매수와 매도에 따라 가격이 변동합니다.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주식의 현재 각ㄱ을 현재가 라고 합니다.


No.007 종가

 일반 주식 시장은 9시에 시작되어 3시 30분에 종료 됩니다. 이를 정규장이라 하며 정규장이 끝나면서 정해진 주식의 가격을 종가라고 부릅니다.


No.008 지정가

 주식 매매를 할 때 가격을 지정하여 주문을 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가 3,000원인 주식이 하락할 것 같다는 예상을 한 투자자는 2,900원에 지정가 매수를 주문 할 수 있습니다. 매도나 매수 준문을 할 때 지정한 가격에 하게 되면 그 가격을 지정가 라고 합니다.


No.009 시장가

 주식을 주문 할 때 정해진 가격으로 주문을 넣는 것이 아닌, 주문이 바로 체결 될 수 있는 가격으로 주문을 넣는 방법 입니다. 투자자는 정규장에서 시장가 거래로 즉시 주식을 사고 팔 수 있습니다.


No.010 시간외

 정규장 이외의 시간에 주식거래를 하는 방버빕니다. 정규장이 열리기 전 시간외 거래는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시간외 거래가 이뤄지며, 정규장이 끝난 이후엔 당일 종가를 기준으로 시간외거래 주식을 주문 할 수 있습니다. 시간외 거래에서 시장가 거래는 불가능 합니다.


No.011 신용

 은행에서 신용대출을 받을 수 있는 것처럼, 증권회사가 주식 거래를 위해 고객에게 현금을 융자 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No.012 주문번호

 투자자가 낸 각 주문에는 주문 번호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종목에 같은 매수가로 같은 수량 거래 주문을 할 때 관련 내용을 주문 번호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No.013 시가총액

 상장주식을 시가로 평가하여 회사의 규모를 나타내는 것으로 발행주식수와 주가를 곱하여 시가총액이라 합니다.


No.014 거래대금

 매수와 매도를 통해 다양한 가격으로 거래가 일어 납니다. 거래된 주식의 가격과 거래량을 곱하여 거래대금이라고 합니다. 거래대금을 일별이나 주간, 월별로 비교하여 주식 거래량의 증감세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No.015 외인 

 한국 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주식은 한국인 뿐만 아니라 외국인 역시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외국인들의 거래를 개인, 기관과 구분하여 외인으로 정리합니다.


No.016 기관

 금융회사나 국가의 단체/기관 들도 주식회사의 주식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금융투자(증권 및 선물사), 보험(보험회사), 투신(자문사 및 투자회사), 사모펀드(사모펀드), 은행(은행), 종금(종합금융회사, 상호저축은행), 연기금(연금, 기금 및 공제회), 국가(중앙정부, 지자체 및 국제기구) 등이 있습니다.


No.017 배당

 기업활동을 영위하여 발생한 이익 일부를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게 분배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배당금이 높은 주식이 있는 반면, 상황에 따라 배당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No.018 차트

 주식 가격의 변동성을 다양한 시간별로 기록한 자료입니다. 일별, 주별, 월별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차트는 수급의 변화, 시세의 흐름, 과거의 패턴 및 투자 심리를 담고 있어 주가를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No.019 선물거래

 미래의 일정 시점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매매 할 것을 현재 시점에서 약정하는 거래입니다. 위험 회피를 목적으로 시작 되었으나, 고수익/고위험 투자상품으로 발전했습니다. 선물거래는 거래의 만기일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만기일에는 증시의 변동성이 심해집니다.


No.020 VI

 투자자를 보호하고 개별 주식종목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한 가격 안정 장치입니다. 종목의 체결가격이 일정범위를 벗어날 경우 단일가 매매를 적용하여 일시적인 주가급변을 완화하는 제도 입니다. VI(변동성완화장치)에는 기존 동적변동성완화장치(직전체결가격 대비 3% 이상 변동하면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 와 15년 6월 주식 가격 제한폭이 ±15% 에서 ±30%로 확대 되면서 도입된 정적변동성완화 장치 (전날 종가 또는 장중 직전 단일가와 비교해 10% 이상 가격이 변동하면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가 있습니다.


No.021 서킷 브레이크

 주식시장이나 선물시장에서 주식이나 선물가격의 변동이 지나치게 심할 경우 시장참여자들의 투자판단을 냉정하게 할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매매거래를 중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No.022 사이드카

 경찰의 오톼이 사이드카가 길을 안내하듯이 과속하는 가격이 교통사고를 내지 않도록 유도한다는 의미에서 붙인 이름으로 서킷 브레이크의 전 단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선물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4% 이상 급등락한 시세가 1분간 지속 될 경우, 주식시장의 프로그램 매매호가가 5분간 효력이 정지되는데 이런 조치를 사이드카라고 합니다.


No.023 프로그램 매매

 기관 투자자들이 설정해 놓은 전산 프로그램에 따라 주식을 대량으로 거래하는 것을 말합니다. 증시의 현물과 선물 가격의 괴리감이 있을 경우 투자위험을 줄이기 위해 프로그램 매매가 나오는 경우가 있으며, 단순 투자목적등으로 주식을 확보하거나 메모하기 위해 대량의 프로그램 매매가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No.024 EPS

 순이익을 발행 총주식수로 나눈 값(당기순이익 ÷ 주식수) 으로, 주식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하였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No.025 PER

 주식의 가격을 EPS로 나눈 값(주식가격 ÷ EPS) 입니다. 주식 1주당 수익에 비해 주가가 몇배인지를 알아 볼 수 있으며 주가대비 기업의 수익가치를 따져 볼 때 주로 계산됩니다.


No.026 ROE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값으로 자기 자본이익률 이라고 부릅니다. 투입한 자기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ROE가 10% 이면 100억원의 자본을 투자하여 10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No.027 펀드

 펀드는 투자를 목적으로 모아진 기금을 말하며 영위 방식이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분을 해 볼 수 있습니다.


No.028 적립식/거치식 펀드

 펀드에 자금을 납입하는 방식으로 펀드를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한번에 자금을 펀드에 납입하는 것을 거치식 펀드, 여러번에 나눠 (매달 정해진 날짜를 정하는 방식 등으로) 자금을 펀드에 납입하는 것을 적립식 펀드라고 합니다.


No.029 채권형/주식형/혼합형 ...

 펀드가 투자 하는 비율에 따라 펀드를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자본시장법상 펀드 구분 기준은 50%이상 증권에 투자 하면 증권펀드, 50%이상 부동산에 투자하면 부동산 펀드, 100%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면 MMF (Money Market Fund의 약자로 기업어음, 예금증서 등이 단기금융상품으로 구분됨) 비율제한이없는 펀드를 혼합자산 펀드라 합니다. 우리가 자주 듣는 펀드는 대부분 증권펀드로 증권펀드는 다시 주식비율이 60%이상일 경우 주식형 펀드, 채권비율이 60%이상일 경우 채권형 펀드, 주식비율이 50% 이상인 경우 주식혼합형, 채권비율이 50%이상인 경우 채권혼합형으로 구분됩니다.


No.030 공모/사모 펀드

 펀드는 투자자를 모으는 방식에 따라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공모 펀드는 불특정 다수에게 오픈된 공개모집펀드로 인원수 상관없이 누구나 투자 할 수 있는 펀드입니다. 공모펀드는 펀드규모의 10%이상을 한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할 수 없으며, 펀드운용의 결과인 자산운용보고서를 정해진 시기 마다 제출해야 합니다. 사모펀드는 투자자를 49명 이하의 소수인원으로 유지해야 하는 펀드입니다. 동일주식 보유한도 제한 등이 없고, 자산운용보고서 공시 의무 또한 없습니다. 증권시장의 변동성에 발생하는 하락 위험에도 이익을 발생시킬 수 있는 상품목록에 개인투자자를 모아 투자를 진행하는 (하락시 이익을 발생시키는 상품은, 상승구간에서 하락 하는 위험성을 동반) 헤지펀드는 사모펀드로 구분되며 증권에 투자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펀드이자 동시에 하나의 투자회사인 뮤추얼 펀드는 공모펀드입니다.


No.031 국내/해외 펀드

 펀드의 투자 지역이 국내이면 국내 펀드, 해외지역이면 해외 펀드라고 합니다.


No.032 펀드의 이름

 우리의 이름이 '성'과 '이름'으로 구분되는 것처럼 펀드의 이름도 다양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펀드는 다음과 같은 영역으로 구분되어 집니다. 운용사/고유이름/운용전략/순번/투자의 대상/수수료방식

운용사 - 판매를 하는 곳과 달리 펀드를 만들고 운용하고, 펀드의 운용상태를 정기적으로 투자자에게 보내주는 회사

고유이름 - 펀드들은 서로 구분되는 고유의 브랜드명을 가지고 있기도 함

운용전략 - 대표 운용전략을 파악해 볼 수 있음 (ex = 인덱스, 고배당, 글로벌...)

순번 - 순번은 없는 경우도 많음, 펀드규모가 커지면 2~3호 이상 순번이 붙음.

투자의 대상 - 주요 투자 대상을 알려줌

수수료 방식 - 펀드 후미에 붙은 알파벳들은 '펀드 클래스'라고도 부르며 투자자에게 수수료와 보수 판매처 등에 대한 정보를 구분시켜 줍니다. A클래스(선취판매수수료를 부과) B클래스(후취판매수수료를 부과) C클래스(선취,후취 판매수수료 없고, 판매보수만 부과하는 방식) D클래스(선취,후취 판매수수료 모두 부과) E클래스(인터넷 전용 펀드 [ex-'C-e','Ce'등으로 멀티클래스 적용]) 이외에도 다양한 클래스들이 존재하며 투자 방식과 대상을 구분해 줍니다. F클래스(금융기관&전문투자자 관련 펀드) H클래스(장기주택 저축 관련 펀드) I클래스(법인전용 관련 펀드) W클래스(종합자산관리 상품 랩 계좌 전용 펀드) S클래스(특정 온라인페이지에서 판매되는 펀드) P클래스(퇴직연금관련 펀드) C-P클래스(연금저축관련 펀드)


No.033 설정액 or 판매액 

 펀드에 들어온 돈의 총액입니다.


No.034 기준가

 펀드의 현재 가격으로 보시면 됩니다. 기준가를 통해 펀드의 기간별 수익률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No.035 설정일 

 설정이 끝나고 펀드가 시작된 일자 즉, 펀드의 생일입니다.


No.036 환매 

 투자자가 펀드에 투자한 자본을 회수하는 것입니다. 환매금액 지금일은 공휴일을 제외한 영업일 기준입니다.


No.037 모닝스타

 펀드를 평가하는 회사입니다. 모닝스타는 단기적 성과 이외에 과거 수익률과 리스크등을 분석해 각 펀드에 1~5등급을 매깁니다. 모닝스타는 펀드평가 이외에도 글로벌 기업들을 분석하는 애널리스트 활동도 영위합니다.


No.038 보수

 펀드를 운용하는 회사에 지급하는 보수 비용, 판매하는 회사에 제공하는 보수 비용, 사무관리 회사 보수비용 등의 보수 비용이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펀드에 동일하게 보수 비용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특별한 보수비용이 없는 펀드도 있습니다.


No.039 환매수수료 

 펀드 운용의 안정성을 추구 하기 위해 펀드는 환매수수료 기간을 설정하기도 합니다. 환매수수료 기간보다 빨리 펀드를 환매하면 정해진 환매 수수료를 내야하며 환매수수료는 펀드자금에 편입됩니다.


No.040 판매수수료

 펀드판매사 들의 선취, 후취 수수료 등의 개념입니다.


No.041 코스피

 국내 종합주가지수로서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종목들의 주식가격을 종합적으로 표시한 수치, 상장요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재무상태나 영업흐름이 매우 우량한 편 거의 대기업이 많이 포함


No.042 코스닥

 전자거래시스템으로 운영되는 한국의 장외 주식거래시장, 장권거래소 시장과는 다른 별도의 시장이라 주로 중쇠업 벤쳐기업등 상장되어 있음


No.043 거래량

 주식시장에서 주식이 거래된 양, 주가의 변동을 일으키는 신호로 받아 들임


No.044 주도주

 그 시대의 전망이 있거나 가장 인기있는 종목시장에서 선도로 나아가는 종목


No.045 골든크로스 

 단기이평선이 장기이평선을 상향 돌파할대 쓰는 용어


No.046 데드 크로스 

 이건 반대로 단기이평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로 돌파할 때 쓰는 용어


No.047 액면분할

 주식의 액면가액을 정한 분할비율로 나누어 주식수를 증가시키는 일 액면분할을 하는 이유는 유동성을 확보하여 시장을 활발하게 하기 위함


No.048 순환매

 어떤 주식이 주가가 상승하면 그관련 종목도 주가가 상승하게 되어 순환적으로 매수하려고 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는 것


No.049 증거금

 일종의 보증금이라고 생각, 내가 살수 없는 주식을 증거금을 냄으로써 주식을 살 수 있음


No.050 예수금

 현재 내가 보유하고 있는 자산(현금)


No.051 턴어라운드주

 기업이 적자상태에 있다가 실적이 개선되어 흑자전환이 예상되는 기업주식


No.052 동전주

 1000원이 안되는 주식


No.053 자전거래

 증권회사가 같은 주식을 동일가격으로 동일수량의 매도, 매수주문을 내어 거래체결시키는 것


No.054 자사주매입

 본인이 속해있는 회사의 주식을 매수하는 것


No.055 우선주

 우선주는 배당을 우선으로 받을 수 있는 주식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고 대신 보통주보다 싸다


No.056 보통주

 흔히 거래하는 주식, 보통주는 의결권이 있다.


No.057 갭

 주가가 갑자기 폭등하거나, 폭락함으로써 나타나는 차트상의 빈공간을 말한다. 돌발적인 악재 또는 호재로 전날 가장 낮은 가격보다 더 하락하거나 최고가보다 더 오를 때 발생하여 투자자들에게는 유용한 정보로 활용된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설명  (0) 2017.12.13
Posted by 전설의아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