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EveryThing'에 해당되는 글 125건

  1. 2017.12.15 2017년12월15일
  2. 2017.12.13 주식설명
  3. 2017.12.13 주식단어
  4. 2017.12.05 LG 스마트 팩토리
  5. 2017.12.02 회귀분석
  6. 2017.11.16 매트릭스투비
  7. 2017.11.07 Team Project SQL
  8. 2017.11.03 CRUD-example(Projectr_AttachFile)
  9. 2017.11.03 CRUD-example(Member_AttachFile)
  10. 2017.11.03 CRUD-example(Exam_AttachFile)

2017년12월15일

주식뉴스 2017. 12. 15. 19:41

No.001 기관 6000억원 순매수에서 장 막판 매도로 전환 FOMC 결과는 예상대로... 은행, IT, 낙폭과대주 주목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과와 '네 마녀의 날'이 동시에 겹치면서 시장이 출렁였다. 코스피는 장중 2510선까지 넘어섰지만 결국 2460선까지 밀리는 등 극심한 변동성을 보였다. 다만 만기 충격 영향은 일시적일 가능성이 높아 코스피 방향성이 돌아서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장 막판 출렁인 시장... 기관 '샀다 팔았다'

14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1.07포인트(0.45%) 빠진 2469.48에 거래를 마쳤다. 그동안 충격이 미미했던 선물옵션 동시 만기일(네 마녀의 날,쿼드러플 데이)의 위력이 제대로 느껴진 시장이었다. 장중 1%까지 상승세를 보이던 시장이 장 막판 상승분을 토해내고 하락으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네 마녀의 날은 주가지수선물과 주가지수옵션, 개별주식옵션과 개별주식선물의 만기가 겹치는 날을 뜻한다. 4가지 파생상품 만기일이 동시에 겹쳐 변동성 확대 요인으로 곱힌다. 3월, 6월, 9월 12월 둘째 주 목요일이 네 마녀의 날이다.

특히 기관은 장중 6000억원 이상을 순매수하면서 코스피 상승을 이끌었지만 장 막판 이 물량을 모두 내던지면서 결국 소폭 매도 우위를 기록했다. 장 막판 대거 매수에 나선 외국인이 약 3680억원 가량을 순매수하면서서 지수 추가 하락을 막았다. 프로그램은 차익과 비차익을 합해 약 500억원 가량의 매도 우위를 기록했다.

다만 만기 충격은 일시적인 것으로 크게 우려할 필요는 없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심상범 미래에셋대우연구원은 "장중 지수가 크게 오른 것은 차익거래로 거품이었고 장 후반과 종가에 이 거품이 사라진 것으로 보면 된다"며"장중 상승세나 장 막판 하락한 것도 차익거래인만큼 만기 충격 이외의 큰 의미를 갖기는 어렵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전균 삼성증권 연구원 역시 "장 종가에 기관 매도 물량이 출회되면서 일시적으로 시장이 출렁였다"며 "다만 만기 충격은 일회성 이벤트인만큼 내일은 대부분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FOMC는 예상대로... 업종 전망은 엇갈려

시장의 관심을 모았던 FOMC 결과는 예상대로였다. 금리는 1.25~1.50%로 0.25포인트 인상했고, 내년 금리 인상 전망을 담은 점도표는 변화가 없었다. 올해와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9월 전망치였던 올해 2.4%, 내년 2.1%에서 각각 2.5%로 상향했다. 서보익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준금리 인상을 확실하게 받아들였던 시장 예상대로 금리 인상이 단행됐다"며 "시장 관심인 내년 금리인상 횟수 전망도 세 번으로 유지됐다"고 말했다.

예상된 결과였다고는 해도 일단 시장은 FOMC 결과를 불확실성 해소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다. 강재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당분간 우려는 접어두고 위험자산 선호도 상승 구간을 즐기면 된다"며 "FOMC를 앞두고 조정받았던 코스피와 이머징 증시도 다시 회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노무라금융투자는 내년 코스피 지수 목표치를 국내외 증권사 전망치 중 가장 높은 3000선으로 예측하기도 했다. 정창원 노무라금융투자 한국리서치 헤드(본부장)는 "올해 초반 코스피 지수를 3000선으로 전망했을 때만 해도 배당성향 50% 등 조건부 희망치였지만 이제 희망 영역이 아니라 예측 영역에 들어섰다"고 주장했다.

남은 연말 주목해야 할 업종에 대해서는 다소 엇갈리는 의견이 나왔다. 다만 금리 인상 수혜주인 은행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시선이 많았다. 은행주는 이날 코스피 하락 속에서도 1.39% 올랐다. IT주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소 엇갈리고 있지만 4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은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날 외국인은 삼성전자(005930), LG전자(066570), SK하이닉스(000660) 등을 집중적으로 사들였다. 운영교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IT주의 경우 FOMC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4분기 실적 기대감이 살아나면서 매수세가 몰리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성장주 우세와 낙폭과대주에 대한 관심을 주장하는 목소리도 있다. 김병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다음 금리인상까지 시간을 고려한다면 성장주 우세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가치주보다는 성장주, 내수주 혹은 수출하는 내수주, 중국관련 소비주의 상대적 관심이 확대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서상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큰 이벤트가 마무리됐다는 점을 고려하면 실적 개선에도 낙폭이 과도했던 업종과 종목에 대한 관심을 둬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No.002 사회책임투자 ETF 속속 출시... 흥행은 아직

한화에 이어 하이운용도 ESG ETF 출시, 삼성,미래 1월 예정... 거래소에 상장심사 신청, ESG ETF 거래량, 순자산 증가 미미.. "흥행 아직", "ESG 투자 평가할 잣대 아직 없어"

환경, 사회책임, 지배구조(ESG) 요인을 고려한 상장지수펀드(ETF)가 속속 출시되고 있다. 한화자산운용이 첫발을 내디딘 데 이어 하이자산운용도 최근 ESG ETF를 내놨고 미래에셋자산운용과 삼성자산운용도 다음 달 출시를 앞두고 있다. 다만 새롭게 출시된 ESG ETF 상품이 아직은 거래량 부진을 겪는 등 시장의 관심을 끌지는 못하는 모습이다.

ESG ETF 잇달아 출시... 삼성, 미래는 1월 예정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하이자산운용은 전날 '하이 FOCUS ESG 리더스 150 ETF'를 상장했다. 이 펀드는 사회책임투자(SRI) 우량기업으로 구성된 'KRX ESG 리더스 150 지수'를 추종한다. 하이자산운용은 지난 4월 공무원연금 출신의 최영권 대표 취임 후 사회책임투자를 운용철학으로 내세워 5월 SRI 액티브펀드를 내놓았고 이번에 패시브인 ESG ETF를 출시했다. 업계에서는 한화자산운용이 ESG ETF를 가장 먼저 내놨다. 지난 8월 말 상장한 'ARIRANG ESG우수기업 ETF'는 비재무적(ESG) 요소와 재무적(스마트베타) 요소를 접목시켰다.

미래에셋자산운용와 삼성자산운용도 내달 관련 상품을 내놓을 예정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ESG ETF 상장을 위해 지난주 한국거래소에 상장심사를 신청했고 삼성자산운용은 이번 주 내로 신청한다. 삼성자산운용 관계자는 "거래소 상장심사 기간을 고려하면 1월 말께 ESG ETF가 상장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 모두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과 계약을 채결, MSCI ESG를 기초지수로 삼는다. 미래에셋자산운용 관계자는 "ESG 투자는 액티브, 패시브, ETF 등으로 할 수 있다"며 "ESG는 우량기업에 장기 투자하는 콘셉트이므로 투자자 입장에서는 수수료가 낮은 ETF가 효율적 대안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ESG ETF 거래량 미미... "흥행까지는 아직" 

다만 아직 ESG ETF가 시장에서의 움직임은 크지 않다. 지난 8월에 상장한 한화자산운용 ESG ETF 거래량 추이를 보면 9월에는 하루 평균 2만주 가까이 거래가 됐으나 10월에는 518주로 급감했고 11월에는 180주에 불과하다. 이달에도 여전히 120주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 펀드의 설정과 환매를 통한 순자산 추이만 봐도 신탁원본액 100억원에서 3개월 남짓한 기간에 19억원 늘었다. 한화자산운용 관계자는 "ESG 투자는 단순한 테마가 아니다"며 "특히나 기관투자자들의 투자가 필수이므로 꾸준한 트랙 레코드를 쌓아갈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 선제적으로 상품을 출시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기초지수가 경쟁사에 비해 ESG 투자에 보다 특화됐다"며 스마트베타 운용을 접목해 기업의 사회공헌 투자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ESG 시장에서도 아직 ETF는 활성화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평이다. 시장조사기관인 씨티 리서치에 따르면 미국의 ESG 자산은 8조7230억달러(약 9520조원) 규모이며 이 가운데 관련 ETF는 60개로 44억달러(약 4조8000억원) 수준이다. 미국에서도 ETF가 차지하는 비주은 미미하다. 한 운용사 관계자는 "ESG 투자 성격을 봤을 때는 수익률만 따져서는 안 되고 투자자 입장에서 또 성과를 무시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며 "국내에서 아직은 ESG투자를 평가할 잣대가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개인보다는 기관투자자들의 자금을 끌어와야 하는데 아직 국민연금에서 스튜어드십 코드 기준을 명확하게 잡지 않아 기관들이 방향을 잡지 못하고 있다"며 "개인투자자들은 상품별 기초지수를 꼼꼼히 따져 투자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No.003 '코스닥 150지수' 세대교체... 신규편입 종목 기세 무섭네

운명 갈리는 편입, 제외 종목... 셀트리온헬스케어 대장주 등극 앞두고 관심

줄기세포 관련주 네이처셀 발표 직후 2배 올라

"변경 이후 펀더멘털 고려... 피에스케이, 코웰패션, 비에이치 실적 기대"

15일 한국거래소의 코스닥 150지수 구성종목 정기변경을 앞두고 교체 종목 간의 운명이 엇갈릴 전망이다. 신규진입 종목 주가는 자금유입 기대감에 수혜를 입은 반면 제외되는 종목은 투자자들의 외면을 감내했다. 이런 가운데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는 코스피로 떠나는 셀트리온(068270)을 대신해 차기 대장주를 예약하고 있어 관심이 뜨겁다. 증권가에서는 정기변경과 관련해 펀더멘털 개선 등을 통한 구체적인 옥석 가리기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14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정기변경을 통해 신규로 편성된 종목은 13개다. 이들은 지난달 23일 한국거래소의 발표 이후 대부분 상승세를 이어갔다. 특히 시가총액 비중이 높은 상장회사를 중심으로 수급효과가 높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작용했다. 

특히 내년 차기 대장주 등극을 앞둔 셀트리온헬스케어의 경우 해당 기간 3.98% 오르며 지수편입을 통한 시너지 효과 기대감을 반영했다. 이 기간 네이처셀(007390)은 105.2% 상승하며 독보적인 존재감을 과시했다. 줄기세포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는 세계 최초 알츠하이머치매  자가줄기세포 치료제 '아스트로스템'의 미국'1/2상' 임상시험에서 첫 환자 대상으로 10회 투여를 완료했다고 지난 4일 밝혔다. 같은 기간 펄어비스(263750)도 15.17% 오르며 코스닥 상장 3개월 만에 시총 순위 8위로 올라섰다.

정기변경에 다른 자금유입 효과는 실제 시행일까지도 유효할 전망이다. 과거 세 차례의 정기변경 이벤트 당시에도 편입 예정종목으로 구성한 포트폴리오는 발표일부터 반영일까지 상승 흐름을 보였다. 다만 정기변경을 통해 지수에서 제외되는 종목은 상대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증권가에서는 기존 유동성이 작은 하위종목이 편출에 따른 강도가 기존 유동성을 넘어가면서 가격 변동폭이 커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증권가에서는 정기변경 이후부터는 펀더멘털을 고려해 투자 종목을 압출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설태현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정기변경 반영일까지 자금유입 기대감으로 상승했다면 반영 후에는 펀더멘털개선 종목에 관심을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정기변경 반영후 편입종목 내에서 순이익이 개선되는 종목은 그렇지 않은 종목에 비해 정기변경 반영일 후 1개월 수익률이 높았다"고 언급했다.

설 연구원은 "시기별로 종목 수는 차이가 있으나 펀더멘털이 개선되는 종목은 3~4개 종목으로 압축된다"면서 올해 2분기와 3분기 실적을 고려해 편입예정 종목 중 실적개선 흐름이 나타나는 기업은 네이처셀, 에스엠코어, 피에스케이, 코웰패션, 비에이치, 미래컴퍼니 등 총 6종목"이라고 했다. 이어 "그중에서 4분기 컨센서스가 있으며 실적개선이 지속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업은 피에스케이, 코웰패션, 비에이치 등 3종목"이라고 언급했다.


No.004 신용거래융자, 증가 전환... 예탁금 24조9312억원

신용거래융자가 증가 전환했으며 예탁금도 증가세를 이어갔다.

15일 한국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14일 기준 신용거래융자 잔액은 전날대비 534억원 늘어난 10조 705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8일 이후 3거래일 만에 증가로 돌아섰다. 시장별로는 유가증권시장 신용거래융자가 전날대비 145억원 증가한 4조7304억원을 기록했다. 코스닥시장도 390억원 늘어난 5조3401억원으로 집계됐다.

예탁금은 2거래일 연속 증가했다. 이날 투자자 예탁금은 24조9312억원으로 전날보다 2221억원 늘었다.


No.005 미래에셋대우, 신세계건설 등과 ESS 펀드 조성 추진

국내 최초 민간 주도... 1차로 500억 조달 나서

신세계건설, 유엠에너지, 사업 참여 및 펀드 투자

미래에셋대우(006800)가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설치를 위한 펀드 조성에 나선다. 신세계건설과 에너지 설비업체 유엠에너지가 ESS 설치, 운영을 맡으며 펀드 투자에도 참여한다. 1차로 500억원 규모 사업을 실시한 후 최대 3000억원 이상으로 프로젝트를 확대할 예정이다.

15일 신세계건설, 유엠에너지, 미래에셋대우, 법무법인태평양, 네모파트너즈NEC는 서울 강남구 한국지식센터에서 차세대 ESS 설치 프로젝트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윤명규 신세계건설 대표이사, 엄주호 유엠에너지 대표이사, 봉원석 미래에셋대우 IB2부문 대표, 윤석호 네모파트너즈NEC 대표이사, 김성진 태평양 대표변호사를 비롯해 각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ESS는 발전소에서 과잉 생산된 전력을 저장해 두었다가 일시적으로 전력이 부족할 때 송전해 주는 저장장치다. 전기에너지를 적게 사용할 때 저장한 다음 필요할 때 공급해 에너지 이용 효율을 향상하며 전력 공급 시스템 안정화에 기여하는 시스템이다. 신세계건설이 사회적책임(CSR) 프로그램 일환으로 ESS 설치 사업을 진행하는 가운데 신재생에너지 사업 투자를 추진하는 미래에셋대우와 에너지 전문기업인 유엠에너지 등의 니즈가 맞아 함께 프로젝트를 추진하게 됐다.

프로젝트 참여사들은 우량 사업지를 발굴한 후 ESS를 설치해 전기 요금을 절감하고 수익을 창출할 계획이다. 신ㅅ계건설과 유엠에너지는 ESS 설치, 운영, 정비(O&M)를 담당하고 미래에셋대우는 투자자금 조달을 위한 금융 자문을 수행한다. 태평양과 네모파트너즈NEC는 각각 프로젝트 관련 총괄 법률자문과 컨설팅을 맡게 된다.

우선 1차로 전기 사용량이 많고 장기, 안정적 운영이 가능한 사업지 위주로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1차 펀드 조성 규모는 500억원으로 내년 2분기까지 조달을 마칠 예정이다. 신세계건설, 유엠에너지가 각각 90억원, 10억원 규모로 펀드 투자에 참여한다. 미래에셋대우는 기관투자가 대상으로 나머지 자금 조달에 나서며 직접 투자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프로젝트가 성공하면 향후 민간 주도의 ESS 프로젝트가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기조로 한 정부의 '3020 계획'목표 달성에도 부합한다는 게 참여사들의 설명이다. 이들은 향후 3000억원 이상까지 사업 규모를 늘려나갈 방침이다. 봉원석 미래에셋대우 IB2부문 대표는 "초대형 IB는 기업금융 분야에서 50% 이상 투자를 해야 하는데 이중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기업금융 분야에 포함된 안정적인 사업 중 하나"라며 "향후 태양열이나 풍력 등을 지속 추진해 신재생에너지 사업 분야 선봉에 서겠다"고 말했다.


No.006 [특징주] 한국테크, 중 자동차 전장부품 공급 소식에

한국테크놀로지(053590)가 중국 스카이워스와 자동차 전장부품 공급계약 소식에 상승세를 보였다.

15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한국테크놀로지는 전날대비 55월(2.08%) 오른 2695원으로 장을 마감했다.

한국테크놀로지는 중국 가전업체 스카이워스와 52억원 규모의 자동차 전장부품 핵심인 디지털클러스터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전날 공시했다.이는 지난해 매출액의 116.33%에 해당하는 규모다.

현대차는 중국 최대 포털싸이트 바이두의 자율주행기술 개발 파트너사로 자율주행을 연구하는 아폴로 프로젝트에 참여하기로 한 상황이다. 스카이워스는 바이두가 추진하고 있는 '자율주행차 공동개발사업' 프로젝트의 파트너로 한국테크놀로지는 스카이워스와 자율주행차 공동개발 사업에 함께 하기로 합의한바 있다.

회사는 이번 공급계약과 자율주행차 공동개발사업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 중국 자동차 전장시장에 안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No.007 카카오, 10억달러 해외투자유치... 주가 리레이팅할까

1.1조 규모 해외DR발행... 싱가폴 시장 상장

글로벌 M&A 통한 신성장동력 확보... 콘텐츠.AI 기업 눈독

"주가 희석 불가피.. 성장잠재력 높아 조정크지 않을 것

카카오가 글로벌 인수합병 추진을 위해 최대 10억 달러(약 1조 1000억원) 규모 해외 투자 유치를 추진한다.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게임,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등 신성장 동력 사업을 확장하는 가운데 주가도 리레이팅할 지 주목된다.

15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카카오(035720)는 전 거래일보다 1.04%(1500원) 내린 14만 250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하지만 해외주식예탁증권(DR) 상장으로 자금유치를 하겠다고 장 종료 후 공시하면서 다음주 주가가 리레이팅 할지 관심사다.

카카오(035720)는 장 종료후 공시를 통해 제 3자 배정 방식을 통해 최대 10억달러의 해외 투자 유치를 추진키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해외 투자자 대상 해외주식예탁증권(GDR)을 발행해 싱가포르증권거래소(SGX)에 상장하는 방식이다. 전체 투자 유치 절차는 내년 2월 초 완료 예정이다.

이번 결정은 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미래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카카오는 회사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성장성, 수익성이 담보된 업체 중심으로 인수, 합병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주요 인수&합병(M&A) 대상은 모바일을 중심으로 한 게임, 웹툰, 음악, 동영상 등 글로ㅓㄹ 콘텐츠 플랫폼 업체다. 인공지능(AI) 등 4차산업 관련 국내외 기업에 대한 원천 기술 투자도 한다.

시장에서는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신규 광고 플랫폼 론칭에 따른 광고 수익 증가가 예상되면서 수익성 개선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카카오택시, 카카오뱅크, 스마트 스피커인 카카오미니 등 신사업 신기술 부문 잠재가치를 있다는 설명이다.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카카오의 4분기 실적컨센서스는 매출액 5408억원, 영업이익 54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9.155, 42.06%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김한경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AI 기반 광고 플랫폼을 론칭하고 다음 포털, 카카오톡, 카카오패밀리앱 등 다양한 광고 채널을 통해 이용자별 맞춤형 마케팅이 가능해지면서 광고매출이 늘어날 것"이라며 "본업인 광고의 반등과 자회사 가치가 구체화됨에 따라 내년에도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헀다. 이어 "카카오 주요 자회사 역시 본격적인 성과를 낼 것"이라며 "내년 상반기 중 카카오페이, 알리페이 가맹점 통합이 예정돼 있어 앱투앱 결제 등 새로운 수익 모델 발굴이 예상되고 모빌리티부문 역시 B2B 업무택시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수익화에 들어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해외DR 발행으로 주가 희석이 불가피해 단기적으로는 주가가 조정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오동환 삼성증권 연구원은 "네이버(NAVER)와 카카오 모두 플랫폼기업으로 어떤 기업을 인수하느냐에 따라 기업가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성장을 위한 결정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해외 DR발행은 실질적인 유상증가이기 때문에 통상 10% 가량 주가 희석이 불가피하다"며 "다만 국내 주식시장이 아니고 싱가폴 시장에서 발행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영향이 상쇄돼 크게 조정받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No.008 미래에셋대우, 7000억 유상증가... 글로벌경쟁력 강화

7000억 규모의 1억 3084만 2000 우선주 발행

내년 1분기 IMA 기준 자기자존 8조 충족 기대

미래에셋대우(006800)가 자기자본 확충에 나선다. 7000억원 규모의 우선주를 발행해 내년 1분기 자기자본 8조원을 확보할 계획이다.

미래에셋대우는 15일 우선주 1억 3084만 2000주를 발행하는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신주 배정 방법은 구주주배정 80%, 우리사주조합 20%다. 주주배정 후 실권주에 대해선 일반공모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한다.

미래에셋대우는 글로벌 투자은행(IB)으로 성장하기 위한 전략으로 오는 2020년까지 자기자본을 10조원 이상으로 늘린다는 계획을 세웠다. 올해 들어 5000억원 규모의 자기주식을 매각했고, 올 9월 말 연결기준 세전순이익 5256억원을 달성하면서 자기자본은 지난해 말 6조 6700억원에서 7조 3300억원으로 늘렸다. 미래에셋대우는 우선주를 발행하는 유상증자를 마무리하는 내년 1분기에는 자기자본이 8조원을 웃돌 것으로 내다봤다. 종합투자계좌(IMA) 사업을 할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자기자본 8조원이 갖는 의미는 크다. IMA는 특별한 인가 과정이 없이 요건을 맞추면 바로 업무를 시작할 수 있다.

미래에셋대우 관계자는 "자기자본을 활용해 글로벌 이눗합병(M&A)을 추진하고 국내외 우량자산 투자를 확대할 것"이라며 "글로벌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모험자본 공급을 화대해 한국경제의 혁신성장에도 기여할 것"이라며 "유상증자를 마무리하면 720%인 레버리지 비율은 660%대로 낮아져 자본건전성 여력이 증대되는 효과도 있다"고 덧붙였다.

미래에셋대우는 증자 이후에도 글로벌 투자은해으로 성장하는데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는 파트너에게 자기주식 매각, 영업실적 개선 등을 포함한 다양한 방법으로 자기자본 확충을 추진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미래에셋대우가 발행하는 배당 ㅜ선주는 최저 배당금을 보장하기 때문에 채권 이자처럼 안정적인 배당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No.009 코넥스, 117개 종목 거래.. 거래대금 1위'엔지켐생과'

15일 코넥스 시장에선 총 154개 종목 가운데 117개 종목만 거래됐다. 거래대금 1위는 엔지켐생명과학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넥스에 상장한 총 154개 종목 중 121개 종목 가격이 형성됐다. 이중 4개 종목은 호가만 제시됐을 뿐 거래로 이어지지 못했다.

전날보다 가격이 오른 종목은 58개였다. 이 가운데 씨티네트웍스 ,굿센,제노텍, 위월드, 에이치엔에스하이텍, 이에스산업, 이엠티, 씨알푸드 등 8개 종목은 가격제한폭까지 올랐다. 하락한 종목은 50개로 에스에이티ㅇ엔지, 메디안디노스틱, 에스엔피제넥틱스, 유비온, 스템랩, 세기리텍, 티에스아이, 앙츠, 유디피, 크로넥스 등 10개 종목은 하한가를 기록했다. 나머지 13개 종목은 보합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거래량은 27만주로 전날보다 4만주 줄었고 거래대금은 27억 1000만원으로 3억 5000만원 감소했다. 거래대금 1위는 엔지켐생명과학으로 8억 9040만원어치 거래됐다. 이어 툴젠(6억 1690만원), 에이비온(2억 1530만원)이 뒤를 이었다.

투자자별로 보면 기관 투자가와 개인이 각각 1770만원, 2010만원 순매수를 기록했다. 기타법인과 외국인은 각각 3260만원, 520만원 순매도를 기록했다.

전체 시가총액은 4조7797억원으로 전날보다 478억원 증가했다. 시가총액 상위 1~3위는 에니켐생명과학(3298억원) 툴젠(3152억원) 하우동천(2124억원)등으로 집계됐다.







Posted by 전설의아이
|

주식설명

주식 2017. 12. 13. 20:56

No.001 주식 

 주식회사는 자본단체이므로 자본이 없이는 성립할 수 없다. 자본은 사우너인 주주의 출자이며, 권리와 의무의 단위로서의 주식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주식에는 자본을 구성하는 분자로서의 금액의 뜻과, 주주의 회사에 대한 권리, 의무의 단위인 주주권으로서의 뜻이 있다. 주식과 유사한 것에 합명회사나 합자회사의 지분이 있으나, 주식은 1인이 많이 소유할 수 있는 데 대하여 지분은 각인의 출자분을 각각 하나의 지분으로 하는 점에 양자의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주식과 주권을 혼동하는 일이 많으나, 주권은 주식(주주권)을 표창하는 유가증권이다. 주식을 줄여 '주'라고 하며, 소유자를 '주주'라고 한다.

 자본구성분자로서의 주식 : 주식회사의 자본은 주식으로 분할하여야 하며, 주식의 금액은 균일하여야 한다. (상법 329조). 따라서 주식은 자본을 균일하게 나눈 단위로서의 금액을 표시한다. 자본과 주식의 관련이 밀접하여. 주식은 사원의 출자를 측정하는 단위, 즉 자본의 구성분자로서의 금액을 뜻하게 된다.

 주주의 권리, 의무의 단위로서의 주식 : 회사에 대한 사원의 지위를 지분이라 하는데, 자본단체로서의 주식회사에 있어서의 지분, 즉 주주의 지위를 주식이라 한다. 주주는 주주라는 자격에서 회사에 대하여 여러 권리를 가지며, 출자의무를 부담한다. 이와 같은 여러 권리, 의무를 발생시키는 기초가 되는 회사와 주주간의 법률관계, 주관적으로 말하면 사원의 회사에 대한 법률상의 지위를 주주권이라 한다. 주주권은 자본의 구성분자인 금액으로서의 주식을 단위로 하여 인정되는 것이므로, 주주의 회사에 대한 권리, 의무는 주주권이라는 뜻을 지니는 주식을 단위로 하여 결정된다.


No.002 주주의 권리와 의무

 주주가 회사에 대하여 가지는 법률상의 지위나 권리는 자익권과 공익권으로 나누어진다. 자익권은 주주가 회사로부터 경제적 이익을 직접 받을 수 있는 권리이다. 이에는 이익배당청구권(462조), 잔여재산분배청구권(538조), 이자배당청구권(463조), 주권교부청구권(355조), 주식전환청구권(346~351조), 주식의 명의개선청구권(337조) 등이 있다. 공익권은 회사의 경영에 관여하여 부당한 경영을 방지, 배제하는 권리이다. 이에는 의결권(369조), 주주총회결의 취소를 구하는 권리(376~378조), 주주총회 소집청구권(366조), 이사의 위법행위 유지 청구권(402조), 대표 소송을 제기하는 권리(403조), 회사의 해산을 청구한느 권리 등이 있다.

 주주의 권리는 단독으로 행사할 수 있는 단독주주권과, 일정한 수에 해당하는 주식을 가진 주주만이 행사할 수 있는 소수 주주권으로 나눌 수 있다. 단독주주권에는 의결권, 주주총회 결의의 취소, 무효를 제소하는 권리, 각종 서류열람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396조 2항) 등이 있다. 소수주주권에는 주주총회의 소집을 청구하는 권리(365조), 회사의 해산을 청구하는 권리(227~244조), 청산인의 해임을 청구하는 권리 등이 있다. 주주는 그가 가진 주식의 인수가액을 한도로 책임을 지며(331조), 이외에는 아무런 의무도 지지 않는다. 이것을 주주유한책임의 원칙이라 한다.


No.003 주식의 종류

 주주의 권리는 주식의 수에 비례하여 정하여지고, 각 주식의 내용은 모두 평등하다. 이를 '주주평등의 원칙'이라 한다. 그러나 이것에는 상법상 몇 가지 예외가 인정되어 있다. 

 회사는 정관의 규정에 따라 권리의 내용을 달리하는 주식을 발행함으로써, 주주에게는 다른 종류의 주식을 가지는 주주와 다른 취급을 할 수 있다. 상법은 이익배당이나 잔여재산분배 등에 관하여 그 내용이 다른 수종의 주식을 인정하고 있다(344조), 표준이 되는 주식을 보통주라 하고, 이에 비하여 재산적 내용에 관하여 우선적 지위를 가지는 우선주, 보통주보다 뒤에 배당을 받는 후배주, 이익배당에서는 보통주에 우선하고 잔여재산분배에서는 뒤에 배당하는 경우와 같은 혼합주 등이 있다.

 또 회사가 한때의 자금조달의 필요에 따라 배당우선주를 발행하지만, 일정한 요건하에 이익으로써 소각할 수 있는 상환주식, 수중의 주식을 발행하는 경우에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인정된 전환주식이 인정되고 있다(346~351조)

 회사는 정관으로 배당우선주에 대하여 주주에게 의결권이 없는 것으로 할 수 있으나, 다만 남용을 막기 위하여 의결권 없는 주식의 총수는 전체 발행주식 총수의 1/4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있다.(370조)


No.004 주식의 불가분과 공유

 상법에는 명문의 규정이 없으나, 1개의 주식을 분할하여 그 일부분에 대한 주주는 인정되지 않는다(주식불가분의 원칙) 그러나 1개 또는 여러 개의 주식을 여러 사람의 공유에 속하게 하는 것은 상관없다(주식의 공유) 이것은 주주가 사망하여 여러 사람의 유산상속인이 있는 경우에 볼 수 있다.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주식을 인수하는 때에는 연대하여 납입할 책임이 있다.(333조 1항)

 주식공유의 경우에는 공유자는 주주의 권리를 행사할 사람 1명을 정하여야 한다(333조 2항), 주주의 권리를 행사할 사람이 없는 경우, 공유자에 대한 통지나 최고는 그 중 1명에 대하여 하면 된다.(333조 3항)


No.005 주식과 주권

 주주권을 표시하는 유가증권이며, 이에 의하여 주주권이 양도되고 유통된다. 이와 같은 주주권의 증권화제도는 주식회사의 가장 중요한 경제적 특색의 하나이다. 주권은 단체적, 사원권적 유가증권이고, 어음, 수표와 같이 설권증권이 아니다. 

 특질은 대량증권, 대체증권, 불완전유가증권, 요식증권이 데 있다. 주권은 회사성립 후 또는 신주의 납입기일 후가 아니면 발행하지 못하며,(355조 2항), 이에 위반하면 무효이고 이를 발행한 회사는 손해배상책임을 질 뿐만 아니라, 이사는 과태료의 제재를 받는다(355조 3항, 635조 1항 19호)

 회사는 성립 후 또는 신주의 납입기일 후에 지체없이 주권을 발행하여야 한다(355조 1항), 주권은 권면에 주주명을 기재한 기명주권과 주주명이 기재되지 않은 무기명주권으로 나누어진다. 이 경우에는 사옿간에 전환권이 있다.

 주권은 1매로 어느 정도의 주식수를 표시하는가에 따라, 1주권, 10주권, 100주권 등으로 나누어진다. 주권을 분실한 경우에는 공시최고의 절차에 의하여 무효로 할 수 있고, 제권판결을 받아서 주권의 재발행을 청구할 수 있다.(360조)


No.006 주식의 배당

 주식에 대한 이익분배액을 배당이라 한다. 배당에는 현금배당과 주식배당이 있으나, 거의가 현금배당을 하고 있다. 이익은 대차대조표상의 순재산액에서 자본금과 결산기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및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을 공제한 잔액이다(462조 1항), 회사는 이 이익에서 정관 또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정한 임의준비금과 임원상여금을 공제한 뒤에 이익배당을 할 수 있다. 이익배당은 각 주주의 주식수에 따라 평등하게 지급하여야 한다(464조) 배당은 각 연도말에 대차대조표상에 생기는 이익만을 배당할 수 있다. 영국과 미국 등에서 널리 볼 수 있는 중간배당, 곧 영업연도의 중도에서 장래연도 말에 예상되는 이익을 배당하거나 또는 임의준비금을 지출하여 배당하는 일은 우리 상법상 인정되지 않았다가. 2011년에 신설되었다(462조 3항)


No.007 주식의 발행

 주식은 기본적으로 설립과 증자의 두 경우에 발행된다. 회사설립시에는 정관에 회사의 발행예정 주식의 총수와 설립시에 발행하는 주식의 총수를 기재하여야 하지만 (289조 1항 3,5호), 설립시에 발행하는 주식의 총수는 회사가 발행할 주식 총수의 1/4 이상이어야 한다(289조 2항), 나머지 주식은 회사성립 후에 자금수요에 따라 필요한 한도에서 수시, 기동적으로 발행한다는 것이 수권자본제도의 본령이다. 따라서 회사성립 후 발행예정주식 총수의 범위 내에서 미발행 주식을 발행하는 것을 신주의 발행이라 한다.

 구상법하에서는 주식 전부의 인수가 있어야 하며, 신주발행에는 먼저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로 자본증가의 정관 변경을 하여야 한다는 것과 다른 점이다. 설립에 즈음하여 발행하는 주식은 모두 발기인이 인수하고 이에 의하여 회사를 성립시키는 방법을 발기설립이라 하며, 발기인이 일부를 인수하고, 나머지는 주주를 모집하는 방법을 모집설립이라 한다. 설립이후 회사가 자기자본의 증가에 의하여 장기작므의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이 증자인데, 수권자본의 범위 내에서 미발행 주식이 남아 있는 한 이사회의 결의로써 기동적으로 신주를 발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법에 다른 규정이 있거나 정관으로 주주총회에서 결정하기로 정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않다(416조)

 신주를 발행할 때에는 신주의 종류와 수, 신주의 발행가액과 납입기일, 신주의 인수방법, 현물출자하는 자의 성명과 그 목적인 재산의 종류, 수량가액과 이에 대하여 부여할 주식의 종류와 수, 신주인수권 양도, 신주인수권 증서의 발행과 청구기간 등을 결정하여야 한다.


No.008 주식의 입질, 소각, 병합, 분할

 주식은 재산적 가치가 있으므로 입질할 수 있고, 주권의 존재가 이를 용이하게 한다. 주식을 입질해도 주주로서의 지위는 상실되지 않는다. 다만 회사는 발행주식의 총수의 1/20을 초과하여 자기주식을 질권의 목적으로 받지 못한다. (341조의 3), 기명주식을 질권의 목적으로 할 경우 주권을 질권자에게 교부해야 하며, 질권자는 계속하여 주권을 점유하지 않으면 그 질권으로써 제3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338조), 무기명주식의 입질은 무기명채권에 준하므로, 민법의 원칙에 따라 질권자에게 주권을 교부함으로써 효력이 생긴다(민법 351조)

 주식의 소각이란 특정주식을 절대적으로 소멸시키는 회사의 행위이다. 이것에는 자본감소의 규정에 따라서 하는 경우(상법 343조)와 주주에게 배당할 이익으로써 하는 경우가 있고, 후자에는 다시 특정 주식만이 소각되는 상환주식의 소각(345조)과 모든 주식이 평등하게 소각되는 이익소각(343조 1항 단서)으로 나뉜다.

 주식의 병합은 2개 이상의 주식을 합하여, 주식수의 합계를 병합 전보다 적게 하는 방법이다. 병합은 감자, 합병, 액면금액 변경 등의 경우에 생긴다. 병합의 결과 주식수에 변동이 생기므로, 주권상환을 위하여 회사는 1개월 이상의 기간을 정하여 그 뜻과 기간 내에 주권을 회사에 제출하도록 최고해야 한다. 기간이 만료된 때, 만일 채권자보호절차(232조)가 종료하지 아니한 때에는 그 절차가 종료한 때 효력이 생긴다(440.441조)

 주식의 분할은 자본의 변동없이 주식을 세분하는 것으로 그동안 학설로만 인정하여 오다가 상법의 개정으로 주식분할제도를 도입했다(상법 329의 2). 이로써 회사합병 단계에서 합병당사자인 회사 간의 주가차를 조절할 수 있고, 고가주의 유통성을 회복할 수 있게 되었다.


No.009 주식의 양도

 법률행위에 의하여 주주권인 주식을 이전하는 일을 말하며, 주주는 원칙적으로 자유로이 양도할 수 있다. 이를 주식양도 자유의 원칙이라 한다. 다만 주식의 양도는 정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이사회의 승인을 얻도록 할 수 있다.(335조 1항)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단어  (0) 2017.12.13
Posted by 전설의아이
|

주식단어

주식 2017. 12. 13. 20:53

No.001 주식 

 주식회사는 기업을 설립한 뒤 기업의 가치를 기반으로 한 주식을 발행합니다. 주식회사는 발행한 주식을 증권시장에 유통시켜 기업활동을 영위하는 자본금을 확보하게 되고, 투자등을 목적으로 주식을 취득한(매수) 개인이나 단체는 주주가 되어 보유한 만큼의 권리와 의무(배당금 및 주주총회 의결권)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 주식회사의 가치에 따라 주식은 상승하고 하락하며, 주식의 일일 변동폭은 2017년 현재 + 30% 에서 -30% 까지 입니다.


No.002 매수

 주식을 사는 행위를 말합니다. 주식을 보유한 비율에 따라 대주주 혹은 최대 주주가 될 수 있습니다.


No.003 매도

 보유한 주식을 파는 행위를 말합니다. 처음 매수한 주식가격보다 높게 팔면 수익이, 낮게 팔면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No.004 체결/미체결

 매수나 매도 요청을 한 주문이 완료 되었으면 체결, 가격변동 등으로 주문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면 미체결로 구분됩니다. 미체결로 유지 되던 주문은 그 날 주식 시장이 끝나면 주문이 자동 취소가 됩니다.


No.005 MTS/HTS

 MTS는 Mobile Trading System의 약자로 신한아이알파 같은 스마트폰의 모바일 주식거래 가능한 앱을 말합니다. HTS는 Home Trading System의 약자로 신한아이 같은 컴퓨터에 설치된 주식거래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No.006 현재가

 주식은 매수와 매도에 따라 가격이 변동합니다.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주식의 현재 각ㄱ을 현재가 라고 합니다.


No.007 종가

 일반 주식 시장은 9시에 시작되어 3시 30분에 종료 됩니다. 이를 정규장이라 하며 정규장이 끝나면서 정해진 주식의 가격을 종가라고 부릅니다.


No.008 지정가

 주식 매매를 할 때 가격을 지정하여 주문을 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가 3,000원인 주식이 하락할 것 같다는 예상을 한 투자자는 2,900원에 지정가 매수를 주문 할 수 있습니다. 매도나 매수 준문을 할 때 지정한 가격에 하게 되면 그 가격을 지정가 라고 합니다.


No.009 시장가

 주식을 주문 할 때 정해진 가격으로 주문을 넣는 것이 아닌, 주문이 바로 체결 될 수 있는 가격으로 주문을 넣는 방법 입니다. 투자자는 정규장에서 시장가 거래로 즉시 주식을 사고 팔 수 있습니다.


No.010 시간외

 정규장 이외의 시간에 주식거래를 하는 방버빕니다. 정규장이 열리기 전 시간외 거래는 전일 종가를 기준으로 시간외 거래가 이뤄지며, 정규장이 끝난 이후엔 당일 종가를 기준으로 시간외거래 주식을 주문 할 수 있습니다. 시간외 거래에서 시장가 거래는 불가능 합니다.


No.011 신용

 은행에서 신용대출을 받을 수 있는 것처럼, 증권회사가 주식 거래를 위해 고객에게 현금을 융자 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No.012 주문번호

 투자자가 낸 각 주문에는 주문 번호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종목에 같은 매수가로 같은 수량 거래 주문을 할 때 관련 내용을 주문 번호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No.013 시가총액

 상장주식을 시가로 평가하여 회사의 규모를 나타내는 것으로 발행주식수와 주가를 곱하여 시가총액이라 합니다.


No.014 거래대금

 매수와 매도를 통해 다양한 가격으로 거래가 일어 납니다. 거래된 주식의 가격과 거래량을 곱하여 거래대금이라고 합니다. 거래대금을 일별이나 주간, 월별로 비교하여 주식 거래량의 증감세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No.015 외인 

 한국 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주식은 한국인 뿐만 아니라 외국인 역시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외국인들의 거래를 개인, 기관과 구분하여 외인으로 정리합니다.


No.016 기관

 금융회사나 국가의 단체/기관 들도 주식회사의 주식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금융투자(증권 및 선물사), 보험(보험회사), 투신(자문사 및 투자회사), 사모펀드(사모펀드), 은행(은행), 종금(종합금융회사, 상호저축은행), 연기금(연금, 기금 및 공제회), 국가(중앙정부, 지자체 및 국제기구) 등이 있습니다.


No.017 배당

 기업활동을 영위하여 발생한 이익 일부를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게 분배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배당금이 높은 주식이 있는 반면, 상황에 따라 배당금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No.018 차트

 주식 가격의 변동성을 다양한 시간별로 기록한 자료입니다. 일별, 주별, 월별 등으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차트는 수급의 변화, 시세의 흐름, 과거의 패턴 및 투자 심리를 담고 있어 주가를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No.019 선물거래

 미래의 일정 시점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매매 할 것을 현재 시점에서 약정하는 거래입니다. 위험 회피를 목적으로 시작 되었으나, 고수익/고위험 투자상품으로 발전했습니다. 선물거래는 거래의 만기일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만기일에는 증시의 변동성이 심해집니다.


No.020 VI

 투자자를 보호하고 개별 주식종목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한 가격 안정 장치입니다. 종목의 체결가격이 일정범위를 벗어날 경우 단일가 매매를 적용하여 일시적인 주가급변을 완화하는 제도 입니다. VI(변동성완화장치)에는 기존 동적변동성완화장치(직전체결가격 대비 3% 이상 변동하면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 와 15년 6월 주식 가격 제한폭이 ±15% 에서 ±30%로 확대 되면서 도입된 정적변동성완화 장치 (전날 종가 또는 장중 직전 단일가와 비교해 10% 이상 가격이 변동하면 2분간 단일가 매매로 전환)가 있습니다.


No.021 서킷 브레이크

 주식시장이나 선물시장에서 주식이나 선물가격의 변동이 지나치게 심할 경우 시장참여자들의 투자판단을 냉정하게 할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매매거래를 중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No.022 사이드카

 경찰의 오톼이 사이드카가 길을 안내하듯이 과속하는 가격이 교통사고를 내지 않도록 유도한다는 의미에서 붙인 이름으로 서킷 브레이크의 전 단계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선물가격이 전일 종가 대비 4% 이상 급등락한 시세가 1분간 지속 될 경우, 주식시장의 프로그램 매매호가가 5분간 효력이 정지되는데 이런 조치를 사이드카라고 합니다.


No.023 프로그램 매매

 기관 투자자들이 설정해 놓은 전산 프로그램에 따라 주식을 대량으로 거래하는 것을 말합니다. 증시의 현물과 선물 가격의 괴리감이 있을 경우 투자위험을 줄이기 위해 프로그램 매매가 나오는 경우가 있으며, 단순 투자목적등으로 주식을 확보하거나 메모하기 위해 대량의 프로그램 매매가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No.024 EPS

 순이익을 발행 총주식수로 나눈 값(당기순이익 ÷ 주식수) 으로, 주식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하였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No.025 PER

 주식의 가격을 EPS로 나눈 값(주식가격 ÷ EPS) 입니다. 주식 1주당 수익에 비해 주가가 몇배인지를 알아 볼 수 있으며 주가대비 기업의 수익가치를 따져 볼 때 주로 계산됩니다.


No.026 ROE

 순이익을 자기자본으로 나눈값으로 자기 자본이익률 이라고 부릅니다. 투입한 자기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ROE가 10% 이면 100억원의 자본을 투자하여 10억원의 이익을 냈다는 것을 보여 줍니다.


No.027 펀드

 펀드는 투자를 목적으로 모아진 기금을 말하며 영위 방식이나 목적에 따라 다양한 구분을 해 볼 수 있습니다.


No.028 적립식/거치식 펀드

 펀드에 자금을 납입하는 방식으로 펀드를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한번에 자금을 펀드에 납입하는 것을 거치식 펀드, 여러번에 나눠 (매달 정해진 날짜를 정하는 방식 등으로) 자금을 펀드에 납입하는 것을 적립식 펀드라고 합니다.


No.029 채권형/주식형/혼합형 ...

 펀드가 투자 하는 비율에 따라 펀드를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자본시장법상 펀드 구분 기준은 50%이상 증권에 투자 하면 증권펀드, 50%이상 부동산에 투자하면 부동산 펀드, 100%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면 MMF (Money Market Fund의 약자로 기업어음, 예금증서 등이 단기금융상품으로 구분됨) 비율제한이없는 펀드를 혼합자산 펀드라 합니다. 우리가 자주 듣는 펀드는 대부분 증권펀드로 증권펀드는 다시 주식비율이 60%이상일 경우 주식형 펀드, 채권비율이 60%이상일 경우 채권형 펀드, 주식비율이 50% 이상인 경우 주식혼합형, 채권비율이 50%이상인 경우 채권혼합형으로 구분됩니다.


No.030 공모/사모 펀드

 펀드는 투자자를 모으는 방식에 따라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공모 펀드는 불특정 다수에게 오픈된 공개모집펀드로 인원수 상관없이 누구나 투자 할 수 있는 펀드입니다. 공모펀드는 펀드규모의 10%이상을 한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할 수 없으며, 펀드운용의 결과인 자산운용보고서를 정해진 시기 마다 제출해야 합니다. 사모펀드는 투자자를 49명 이하의 소수인원으로 유지해야 하는 펀드입니다. 동일주식 보유한도 제한 등이 없고, 자산운용보고서 공시 의무 또한 없습니다. 증권시장의 변동성에 발생하는 하락 위험에도 이익을 발생시킬 수 있는 상품목록에 개인투자자를 모아 투자를 진행하는 (하락시 이익을 발생시키는 상품은, 상승구간에서 하락 하는 위험성을 동반) 헤지펀드는 사모펀드로 구분되며 증권에 투자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펀드이자 동시에 하나의 투자회사인 뮤추얼 펀드는 공모펀드입니다.


No.031 국내/해외 펀드

 펀드의 투자 지역이 국내이면 국내 펀드, 해외지역이면 해외 펀드라고 합니다.


No.032 펀드의 이름

 우리의 이름이 '성'과 '이름'으로 구분되는 것처럼 펀드의 이름도 다양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펀드는 다음과 같은 영역으로 구분되어 집니다. 운용사/고유이름/운용전략/순번/투자의 대상/수수료방식

운용사 - 판매를 하는 곳과 달리 펀드를 만들고 운용하고, 펀드의 운용상태를 정기적으로 투자자에게 보내주는 회사

고유이름 - 펀드들은 서로 구분되는 고유의 브랜드명을 가지고 있기도 함

운용전략 - 대표 운용전략을 파악해 볼 수 있음 (ex = 인덱스, 고배당, 글로벌...)

순번 - 순번은 없는 경우도 많음, 펀드규모가 커지면 2~3호 이상 순번이 붙음.

투자의 대상 - 주요 투자 대상을 알려줌

수수료 방식 - 펀드 후미에 붙은 알파벳들은 '펀드 클래스'라고도 부르며 투자자에게 수수료와 보수 판매처 등에 대한 정보를 구분시켜 줍니다. A클래스(선취판매수수료를 부과) B클래스(후취판매수수료를 부과) C클래스(선취,후취 판매수수료 없고, 판매보수만 부과하는 방식) D클래스(선취,후취 판매수수료 모두 부과) E클래스(인터넷 전용 펀드 [ex-'C-e','Ce'등으로 멀티클래스 적용]) 이외에도 다양한 클래스들이 존재하며 투자 방식과 대상을 구분해 줍니다. F클래스(금융기관&전문투자자 관련 펀드) H클래스(장기주택 저축 관련 펀드) I클래스(법인전용 관련 펀드) W클래스(종합자산관리 상품 랩 계좌 전용 펀드) S클래스(특정 온라인페이지에서 판매되는 펀드) P클래스(퇴직연금관련 펀드) C-P클래스(연금저축관련 펀드)


No.033 설정액 or 판매액 

 펀드에 들어온 돈의 총액입니다.


No.034 기준가

 펀드의 현재 가격으로 보시면 됩니다. 기준가를 통해 펀드의 기간별 수익률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No.035 설정일 

 설정이 끝나고 펀드가 시작된 일자 즉, 펀드의 생일입니다.


No.036 환매 

 투자자가 펀드에 투자한 자본을 회수하는 것입니다. 환매금액 지금일은 공휴일을 제외한 영업일 기준입니다.


No.037 모닝스타

 펀드를 평가하는 회사입니다. 모닝스타는 단기적 성과 이외에 과거 수익률과 리스크등을 분석해 각 펀드에 1~5등급을 매깁니다. 모닝스타는 펀드평가 이외에도 글로벌 기업들을 분석하는 애널리스트 활동도 영위합니다.


No.038 보수

 펀드를 운용하는 회사에 지급하는 보수 비용, 판매하는 회사에 제공하는 보수 비용, 사무관리 회사 보수비용 등의 보수 비용이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펀드에 동일하게 보수 비용이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특별한 보수비용이 없는 펀드도 있습니다.


No.039 환매수수료 

 펀드 운용의 안정성을 추구 하기 위해 펀드는 환매수수료 기간을 설정하기도 합니다. 환매수수료 기간보다 빨리 펀드를 환매하면 정해진 환매 수수료를 내야하며 환매수수료는 펀드자금에 편입됩니다.


No.040 판매수수료

 펀드판매사 들의 선취, 후취 수수료 등의 개념입니다.


No.041 코스피

 국내 종합주가지수로서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종목들의 주식가격을 종합적으로 표시한 수치, 상장요건이 까다롭기 때문에 재무상태나 영업흐름이 매우 우량한 편 거의 대기업이 많이 포함


No.042 코스닥

 전자거래시스템으로 운영되는 한국의 장외 주식거래시장, 장권거래소 시장과는 다른 별도의 시장이라 주로 중쇠업 벤쳐기업등 상장되어 있음


No.043 거래량

 주식시장에서 주식이 거래된 양, 주가의 변동을 일으키는 신호로 받아 들임


No.044 주도주

 그 시대의 전망이 있거나 가장 인기있는 종목시장에서 선도로 나아가는 종목


No.045 골든크로스 

 단기이평선이 장기이평선을 상향 돌파할대 쓰는 용어


No.046 데드 크로스 

 이건 반대로 단기이평선이 중장기 이동평균선을 아래로 돌파할 때 쓰는 용어


No.047 액면분할

 주식의 액면가액을 정한 분할비율로 나누어 주식수를 증가시키는 일 액면분할을 하는 이유는 유동성을 확보하여 시장을 활발하게 하기 위함


No.048 순환매

 어떤 주식이 주가가 상승하면 그관련 종목도 주가가 상승하게 되어 순환적으로 매수하려고 하는 분위기가 형성되는 것


No.049 증거금

 일종의 보증금이라고 생각, 내가 살수 없는 주식을 증거금을 냄으로써 주식을 살 수 있음


No.050 예수금

 현재 내가 보유하고 있는 자산(현금)


No.051 턴어라운드주

 기업이 적자상태에 있다가 실적이 개선되어 흑자전환이 예상되는 기업주식


No.052 동전주

 1000원이 안되는 주식


No.053 자전거래

 증권회사가 같은 주식을 동일가격으로 동일수량의 매도, 매수주문을 내어 거래체결시키는 것


No.054 자사주매입

 본인이 속해있는 회사의 주식을 매수하는 것


No.055 우선주

 우선주는 배당을 우선으로 받을 수 있는 주식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고 대신 보통주보다 싸다


No.056 보통주

 흔히 거래하는 주식, 보통주는 의결권이 있다.


No.057 갭

 주가가 갑자기 폭등하거나, 폭락함으로써 나타나는 차트상의 빈공간을 말한다. 돌발적인 악재 또는 호재로 전날 가장 낮은 가격보다 더 하락하거나 최고가보다 더 오를 때 발생하여 투자자들에게는 유용한 정보로 활용된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설명  (0) 2017.12.13
Posted by 전설의아이
|

No.001 Layout 컨설팅

서비스 소개

Layout은 설비의 배치, 현장 작업자의 동선, 자재/제품의 공장 내 물류 흐름을 결정하는 것으로 공장의 생산 효율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비효율적으로 설계된 Layout은 특정 공정에서 Bottleneck을 발생시키고, 복잡한 동선으로 인해 작업자의 능률을 떨어뜨리는 등 전체 생산 효율을 저하시키게 됩니다. 설비가 입고된 이후에 Layout을 변경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일이기 때문에 초기 Layout 설계는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LG CNS는 다양한 산업에서의 현장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고객의 특성에 맞는 생산방식과 이에 따른 최적의 Layout을 제공합니다. 초기 설계한 Layout에 대해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 생산 환경을 가상으로 운영해 봄으로써 운영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검증하고 여러 설계 대안에 대해서는 정량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호 장단점을 비교하여 최적의 Layout를 제시 합니다


수행업무

Layout 기본설계

- 공정 흐름 및 운반 강도 분석

- Block 및 라인 정의

- Block 배치

Layout 상세설계

- 생산 Block 내 세부 설비배치

- 작업자 배치

시뮬레이션을 통한 Layout

- 평가 기준 선정

- Layout 별 가상 생산운영시뮬레이션

- Layout 별 평가 및 장단점 비교


고객제공가치

- 물류의 동적 특성을 고려한 Layout 설계로 운영 단계 Bottleneck을 방지합니다.

- 생산량, 모델별 Lead Time, 작업자 부하율, 설비 가동율, 공정간 재공량 등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전에 검증해 봄으로써 최적의 생산 운영 체계를 구현합니다.

- 유연성 있는 Layout 설계로 향후 공정 운영 조건 변경이 용이합니다.


No.002 공정개선 컨설팅

서비스 소개

기업간의 경쟁은 심화되고 원자재 비용 상승, 환경 규제 강화 등 대외 기업 환경이 악화됨에 따라 많은 제조 기업들은 생산성 및 품질 향상 등 제조 기업 본연의 핵심 역량인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단위 공정 중심의 개선 활동과 함께 전체 최적화 관점에서 비 효율적 요소를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활동이 필요합니다. LG CNS는 전체 최적화 관점에서 현재 운영 중인 공장에 대한 공정, 물류, 장비, 품질관련 사항들을 점검하고 분석하여 생산성 및 품질을 저하하는 요소를 찾아내고 이의 개선 방안을 수립하는 공정 개선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수행업무

현 수준 진단

- 주요 KPI에 대한 현 운영수준 측정

- 목표 대비 Gap 분석

작업 분석

- 작업자/설비 동작 분석

- 정체/Loss 분석

품질 분석

- 품질 불량 현상 파악 및 원인 분석

개선방안 수립

- 공정 운영 시나리오 수립

- 물류 운영 시나리오 수립

- 품질관리 KPI 및 개선 방안 수립


고객제공가치

- 작업 정체와 Loss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생산성 향상에 기여합니다.

- 작업자와 설비간의 배치 최적화하여 불필요한 Loss를 제거합니다.

- 불량 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불량의 근본 원인을 개선합니다.

- 품질관리 Process를 정립하여 지속적 품질관리 기반을 마련합니다.


No.003 공장자동화 컨설팅

서비스 소개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생산 프로세스와 작업자의 작업방식 개선 뿐 아니라 자동화 설비 및 관련 시스템을 도입하여 자동화 생산체계를 적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자동화 생산체계 적용으로 작업자에 따른 생산성 및 품질 편차를 줄이는 한편, 작업자의 근무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습니다. LG CNS는 인당 생산성, 작업자 업무시나리오 및 장비 운영시나리오를 분석하여 자동화 대상 업무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자동화 방안을 수립하는 공장 자동화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수행업무

작업 시나리오 분석

- 작업자 작업 분석

- 설비 운영 분석

- 작업 인원 분석

업무 개선방안 도출

- 수동작업 이슈분석

- 자동화/원격화 방안 도출

- 자동화 Roadmap 수립

자동화 도입 효과 분석

- 정량적 개선 효과 산출

-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증

- 투자 효과 분석


고객제공가치

- 공정 자동화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른 품질 편차를 개선합니다.

- 작업시간 내 작업자의 불필요한 이동 등 Loss Time을 제거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킵니다.

- 원격 운영 체계 적용으로 작업공간이 Fab내에서 사무실로 이동하여 작업자의 근무 환경이 개선됩니다.


No.004 설비표준화 컨설팅

서비스 소개

제조현장은 다수의 공정으로 구성되고, 다양한 장비 업체로부터 많은 장비가 도입됩니다. 따라서, 설비 발주 시 전/후 설비간의 연계와 상 하위 시스템과의 통합을 고려하여 표준 공통사양을 선정하여야 설비 반입 후 공장 Setup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공장에서는 발주주체인 공정 엔지니어가 본인의 담당 공정 중심으로만 사양을 검토하게 되어 공정/장비간 사양이 통일되지 않고 기능, 성능 측면의 편차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장비 발주 후 사양변경으로 투자비가 증가되거나 공장 Setup 일정이 지연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G CNS는 공장 내 도입되는 설비의 기구부, 전장부, 제어부의 Part 및 프로그램을 표준화하고 공용화하는 설비 표준화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수행업무

모듈 Part 사양 및 수량 분석

- 성능별/기능별 Part Grouping

- Part 수량 파악

- 설비개조 유연성 분석

모듈 Part 표준화/공용화 기술 검토

- 표준 Part 사양 및 비용 조사

- 표준 Part 선정

- 설비 관련 문서 표준화 방안 수립

모듈 Part 표준화/공용화 효과분석

-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 MTTR(Mean Time To Repair)분석

- 유지보수 비용 분석

이행 계획 수립

- 표준 Part 적용 설비 사양변경

- 견적/제작 일정 계획수립


고객제공가치

- 설비 별 유사한 Part를 표준화하여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고 유지보수 업무 효율을 향상시킵니다.

- 설비 Part 공용화, 표준화로 공장 Setup 이후에도 공정개조/개선이 용이합니다.

- Best of Breed Parts 적용을 통해 최저 MTTR 및 최고 설비 가동률을 구현합니다.


No.005 에너지절감 컨설팅

서비스 소개

1995년 교토의정서 이후, REACH와 같은 유해물질 규제,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시행 등 전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더불어 에너지 비용이 상승함에 따라 제조업체는 환경규제에 대비한 투자와 함께 제조 원가 상승이라는 두 가지 도전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많은 제조기업에서는 에너지 절감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LG CNS는 전력, 용수 등 공장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 사용을 분석하여 불필요한 에너지 사용을 억제하고 사용된 에너지를 재활용/재사용하는 방안을 수립하는 에너지 절감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수행업무

에너지 사용 평가

- 사용 에너지 비용 산출

- 에너지 Loss 진단 및 관리 수준 평가

에너지 사용 개선/절감 방안 수립

- 전력 절감 방안(설비 운용 시나리오)

- 스팀 재활용 방안

- 폐열 재활용/판매 방안

- 용수 재활용 방안

- 물질 회수 및 재활용 방안

- 열병합 발전 방안

- 연료 대체 활용 방안

투자 효과 분석

- 에너지 절감방안에 대한 ROI 분석


고객제공가치

- 에너지/용수 소모에 대한 체계적인 예측 및 절감 방안 수립으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합니다.

- 에너지/용수의 재활용/재사용 방안, 부산물 및 폐열의 판매 방안 수립으로 자원 낭비를 제거합니다.


No.006 IT 컨설팅

서비스 소개

제조현장은 현장 상황에 따라 매우 다이나믹하게 변화합니다. 이렇게 변화가 심한 현장의 운영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현장 운영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여야 합니다. 즉, 운영상 비효율을 즉시 개선 조치하고 이상 상태를 사전에 감지하여 선 조치 할 수 있는 운영 체계 구현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관리 프로세스 체계 정립과 함께 IT 시스템 구축이 되어야 합니다. LG CNS는 글로벌 제조 기업의 현장 운영 경험과 관련 시스템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최적의 생산 운영 체계 구현을 위한 정보화 전략계획 수립하고 Process Innovation에서부터 솔루션 선정 및 구축에 이르는 전문 IT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수행업무

정보화전략 계획 수립(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 IPR(Information Planning for Reengineering)이라는 고유의 방법론 및 산업 영역에 대한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화 추진 전략과 로드맵을 수립합니다.

PI(Process Innovation

- 생산 프로세스를 분석하여 비효율적 업무를 최적의 프로세스로 개선하고 관리 체계를 수립합니다.

시스템 구축

- 실시간 변화하는 제조환경 대응을 위한 Decision 영역, 제조 실행/제조 물류/설비관리를 위한 Processing 영역, 개별 Equipment 제어를 위한 Control 영역 등 고객의 스마트한 제조 환경과 최고의 Throughput, 최상의 품질을 달성하기 위한 제조 관련 시스템 구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고객제공가치

-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업 전략에 맞춘 생산 영역의 정보화 추진 로드맵을 수립합니다.

- 글로벌 제조 기업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최적의 생산 프로세스를 수립합니다.

- LG CNS의 산업 노하우 및 Best Practice 프로세스가 반영된 산업별 특화 솔루션 제공합니다.


No.007 시스템 통합

서비스 소개

공장은 각기 다른 다양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할 때 생산성을 높이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즉, 전체 시스템을 아우르는 통합 관점의 최적화로 진정한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습니다. LG CNS는 지난 25년간 시스템 통합 전문업체로서 생산시스템 간 통합연계를 통해 많은 고객사의 생산효율 향상에 기여를 해왔습니다. LG CNS는 고객들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컨설팅을 통해 개선점을 찾아 최적의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여 최고의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또한 LG CNS가 제공하는 시스템은 엔지니어링, 설비개발 및 조달, 공장건설과 같은 종합적인 솔루션 제공 관점에서 구축되기 때문에 공정, 물류, 공장환경을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만들어 드립니다.


수행업무

계획 수립

- 프로젝트 범위 설정

- 공정계획 수립

- 조달계획 수립

- 인원계획 수립

- 리스크/이슈 계획 수립

- 품질관리 계획 수립

설계

- 장비/설비 설계

- 부품 주문

- S/W 설계

제작/조립/구현

- 구조물 설치

- 부품 제작 및 검수

- 제어 S/W 구현

설치/테스트

- 장비/설비 설치

- 시운전

- 시험 운영

검수 및 이관

- 교육

- 양산준비

- 최종검수


고객제공가치

- 세계적인 시스템 통합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성시킨 LG CNS의 높은 기술력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패키지 소프트웨어를 개발한 전문가가 직접 지원하여 소프트웨어의 활용도를 극대화합니다.

- 장비/설비, 소프트웨어를 통합 공급하여 문제가 발생 시 빠른 시간에 원인을 찾아 솔루션을 제공해 드립니다.

- 산업별/기술별 전문가들의 지원으로 높은 품질의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 엄격한 프로젝트 관리로 높은 품질과 납기를 준수하여 제공합니다.


No.008 공장운영/유지보수

서비스 소개

생산 시스템은 생산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시스템으로 24시간 무중단 운영이 필요합니다. LG CNS는 다수의 글로벌 제조기업에서 공장 운영을 해 오고 있으며,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안정적 공장 운영을 위한 관리 프로세스와 장애 예방을 위한 솔루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단순 운영 서비스를 넘어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운영상 발생하는 비효율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는 혁신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습니다.


수행업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 고객의 필요에 따른 신규 IT시스템의 개발과 운영을 지원해 드립니다

재해복구 서비스

- 고객의 사업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천재 및 인재로 인해 예기치 않은 상황 발생시 정보시스템 사용불능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재해복구체계를 제공해 드립니다.

보안 서비스

- 고객의 환경에 최적화된 보안 계획을 수립하여 보안관리체계를 개선하고, 안정적으로 고객의 정보자산을 운영/관리해 드립니다.

서비스 데스크 서비스

- 선진사례를 기반으로 고객 비즈니스 환경에 특화 시킨 서비스 데스크 중심의 서비스 관리체제를 제공해 드립니다.

네트워크 서비스

-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솔루션 및 네트워크 인프라를 제공하고 관리/운영해 드립니다.


고객제공가치

- 지속적인 혁신활동과 적극적인 리스크 관리 수해으로 IT 운영수준을 고도화해 드립니다.

- 글로벌 수준의 운영 프로세스와 운영 관리 도구를 제공하여 생산 운영수준을 제고하고 운영 비용을 절감합니다.

- LG CNS의 통합운영관리 체계를 통해 인력 및 조직의 최적화를 이룰 수 있습니다.


No.009 글로벌 생산관리 솔루션 Global MES

솔루션 소개글로벌 시대에 맞추어 많은 제조 업체들이 주요 해외거점에 생산기지를 확보하고 증설하기 위해 공격적인 투자를 진행해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과 인도와 같은 신흥국가들의 성장으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해외 생산기지의 수준이 본사의 수준에 못 미쳐 글로벌 경쟁에 대처하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에 글로벌 운영 효율화 및 경쟁력 확보는 제조 업체들에게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전세계 사업장의 상이한 생산관리체계와 시스템을 통합하여, 전사차원의 생산 전략수립 및 전략의 전개를 시장의 변화에 따라 신속하게 실행하고 효율적인 생산관리와 글로벌 운영을 이루어 내는 것이 필요합니다.

LG CNS는 대내/외적 환경 변화와 IT 기술변화에 대한 능동적 대응의 일환으로써 Global MES를 제공하여, 표준화, 통합화, 단순화 및 가시화를 통한 글로벌 운영 최적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글로벌 표준 프로세스를 수립하고 조직간 협업을 강화하며, 이에 바탕을 둔 표준 아키텍처 기반 MES를 구축합니다.

기준정보, 실적 및 현황 정보는 Global MES에서 통합 관리하여 글로벌 가시성을 가지도록 하며, 실행 영역의 기능과 정보는 “Single Source Multi Instance” 체계의 사업장내 개별 MES에서 운영되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실행이 되도록 합니다.


특장점

국내 최고 글로벌 제조기업의 Global MES 사업/운영 경험제공

- LG 디스플레이, LG 전자 Global 통합 프로젝트에 적용한 MES 표준화/통합화 방안과 함께 24시간 무중단 운영 노하우를 제공합니다.

LG 디스플레이 53개 국/내외 사업장 통합구축경험이 내재된 시스템 설계

- 확장성이 보장된 설계로 전사 Best Practice를 빠르게 전파 가능합니다.

- 유연성있는 설계로 신규 공장 Roll Out 시 짧은 시간에 구축이 가능합니다.

LG CNS의 경험과 기술이 내재된 방법론제공

- 글로벌 표준 프로세스 수립을 위한 가이드를 제공하며, 글로벌 협업관리가 용이하도록 체계를 마련해드립니다.

- 현업중심의 변화관리가 강화된 방법론을 제공하여 새로운 시스템 도입에 따른 업무혼선을 최소화합니다.

- 다양한 시스템 구축 경험에 기반한 강화된 준비점검으로 시스템 오픈시 발생할 수 있는 장애 리스크를 제거합니다.


고객제공가치

신규 공장 MES 구축 비용 절감

- L사 기준으로 약 50% 정도의 비용 절감효과

해외생산기지의 MES 기능 상향 평준화

- 불필요한 업무 제거를 통한 업무 처리 속도 향상

- 공장별 Best Practice 사례의 전 공장 확산 가속화

- 프로세스 및 사양 표준화를 통한 Data 신뢰도 향상

- 수작업 업무 자동화 구현으로 업무 Loss제거

전사 관점의 Global 가시성 확보

- 주요 관리 지표 및 관리 기준 표준화 및 Global 시스템 구축을 통한 전 세계 공장에 대한 가시성 확보


수행 프로젝트

- LG 디스플레이 Global MES 구축


No.010 제조실행 솔루션 ezMES

솔루션 소개

ezMES는 LG CNS가 보유한 다양한 산업별 Best Practice 경험을 구체화하여 생산계획 및 실적관리, 진척현황 모니터링 및 품질을 관리하는 솔루션입니다. 경영 환경 심화에 따른 제조 경쟁력 확보가 기업생존의 필수조건으로 여겨지는 최근의 상황에서 ezMES는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도와드립니다. ezMES를 통해 생산계획의 실행상태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관리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통합된 생산현장 정보의 공유를 통한 협업으로 업무효율이 향상될 것입니다. 특히, ezMES는 ISA-95, MESA에서 요구하는 MES 국제표준을 준수하고, LG CNS의 글로벌 제조기업 운영 노하우를 바탕으로 개발되어 ezMES 솔루션을 활용한 MES 구축은 제조 경쟁력 향상의 지름길이 될 것입니다.

ezMES는 LG CNS가 자체 개발한 개발 및 통합운영플랫폼 BizActor를 기반으로 개발지원 도구, 사용자 화면(통합/현장 UI)으로 구분되며 다양한 모델링 도구를 통하여 빠르고 쉽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동차 산업, 전자부품, 제약, LED 사업에 대해서는 LG CNS의 Best Practice 경험을 기반으로 몇 가지 기준정보 입력만으로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산업 특화 Ready Made 제조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ezMES for Automotive

- ezMES for AutoParts

- ezMES for LED

- iPharm MES


특장점

Ready-made Solution

- LG CNS의 성공경험이 내재화된 산업특화 업무 프로세스 및 기능을 제고하고 업무별 조회/분석/추적이 가능한 200종 이상의 검증된 표준 GUI로 Customizing을 최소화시킨 솔루션 입니다.

Easy Soution

- 빠르고 쉽고 간단히 구축할 수 있는 모델링 도구를 기본으로 제공하고 기술특허 등록된 LG CNS의 Workflow 엔진인 "BizActor"를 탑재하여 복잡한 Business Logic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Global Standard Solution

- MES 국제표준인 ISA-95, MESA 가이드라인을 준수하여 생산/품질/설비/자재 영역별 8대 관리기능을 내장하였으며, 제약솔루션인 iPharm MES는 제약 GMP 가이드라인인 cGMP, kGMP, FDA 21 CFR Part 11, CSV(Computer System Validation)를 모두 준수한 글로벌 수준의 솔루션입니다.


고객제공가치

- ezMES는 산업별 특화기능 내재화를 통한 customizing 최소화로 시스템의 구축 기간을 단축하고, 이를 통해 투자비용을 낮추어 드립니다. 또한, LG CNS의 선진 기업 운영 노하우를 함께 제공하여 제조관리 능력을 글로벌 베스트 수준으로 향상시켜드립니다. 표준화된 통합 플랫폼 적용으로 시스템의 안전성 및 확장성을 보장합니다.

Operators

- 오자재 투입에 의한 재작업 Loss 감소

- 데이터 수집/분석 시간 감소

- 문제 발생시 명확한 원인 추적

- 실시간 생산현장 정보 공유로 내부 생산성 향상

Managers

- 고객 요구에 대한 대응력 강화

- 신속하고 일관성 있는 현장 데이터의 공유

- 이에 따른 의사결정의 신속화

- 생산현장의 Visibility 확보

MES Developers

- 개발 생산성 향상(No Coding)

IT Department

- 시스템 안정성 확보

- 성능 향상 및 확장 용이


수행 프로젝트

-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미국 알라바마 공장

- 현대 모비스 미주공장, 플라스틱 사출 라인

- 만도 미주, 중국(북경/소주/천진), 인도 공장

- 한라공조 평택공장

- 말레이시아 프로톤 자동차

- 이란 파스코드로 자동차

- LG 이노텍 LED 중국 Huizhou 혜주/구미/파주 공장

- LG 이노텍 PCB 구미공장

- LG 화학 유리 파주/중대형 전지 오창 공장

- LG 산전 금속형 파이프 장항공장

- 외교통상부, 전자여권 제조 시스템

- LG 이노텍 차량 전장 구미/평택 공장


No.011 설비제어솔루션 ezControl

솔루션 소개

ezControl은 프로그래밍에 대한 지식 업이도 쉽고 빠르게 구축 가능한 PC 기반의 생산/물류/유틸리티 설비 제어 솔루션입니다. ezControl은 표준 기능으로 제공하는 모델링 tool과 Simulation tool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생산 설비를 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장셋업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산업 표준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는 Driver를 제공하여 다양한 설비와 손쉽게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며, PLC 레벨의 안정성과 실시간 제어 기능을 제공합니다.


특장점

다양한 설비 통합 제어

- 대부분의 산업 표준 기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60 여종 이상의 장비 Library를 제공하며, LCD, PDP, LED, Solar, 물류센터의 대부분 장비에 대해 Library를 기본 제공합니다.

PC 기반 실시간 제어

- Thread 기반 병렬 제어 및 제어모듈 독립을 통한 분산제어와 Fail-over 지원으로 PC기반 제어에서 PLC 수준의 안정성과 속도를 제공합니다.

쉽고 유연한 제어 플랫폼

- LG CNS 자체 기술인 BizActor기반의 모델러와 Simulation Tool을 통해 빠르고 쉽게 제어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며, 표준화된 제어/통신 사양으로 제어시스템 및 타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가 용이합니다.


고객제공가치

ezcontrol은 내장된 모델링 Tool을 통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손쉽게 구현하고, 단기간에 신뢰성 있는 설비 제어 시스템을 구축합니다.

Equipment Maker

- 설비 자체 기능 구현에 집중

- 안정적 시스템 도입/통합 기능

- 제어 엔지니어 확보 부담 감소

Factory Owner

- 조기 셋업/지속적인 개선

- 유연한 공정 구성/ 안정적 운영을 통한 생산성 향상

- 통합 제어를 통한 공간 절약

System Developer

- Architecture 고민 없는 모델링 기반 S/W 개발

- 내재화된 다양한 사업의 Repository Module 를 통해 개발 최소화

Maintenance Engineer

- 다양한 Tool을 통한 신속한 장애 대응

- 개조/개선 시 변경 용이


수행프로젝트

- LG 실트론 CIM 구축

- LG 전자 1, 2기 Solar Cell ECS 구축

- LG 이노텍 MOCVD 로딩센터

- LG 디스플레이 ECS(Equipment Control System)구축

- GE Healthcare DXID 공장 Loader 제작 및 공급

- LG 이노텍 표준 Loader ECS

- LG 실트론 Shipping Compiler 제어기

- 동서울, 전주 우편 집중국 소포 분류기, 대한 통운 소포 분류기 등

- LG 화학 Glass EIF

- LG 이노텍 파주/광주 공장 EIF


No.012 통합관제솔루션 ezUMS

솔루션 소개

ezUMS는 품질향상의 목표아래 모든 환경 및 Utility 설비들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로 생산장비가 최적의 조건에서 운영되게 하는 솔루션입니다. 또한, 공장 전체 뿐만 아니라 공정 단위까지 에너지 사용량을 모니터링하여 에너지 절감을 가능케 하는 솔루션입니다. 언제, 어디에서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한 Web Base HMI(Human Machine Interface) 툴과 다양한 장비제어를 위해 장비 제어 솔루션인 ezControl이 내장되어 있으며, 고객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석도구를 기본으로 제공합니다.


특장점

언제 어디서나 손쉬운 접속

- Web 기반 솔루션으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의 설치가 불필요하며, 모바일 기기의 OS에 상관없이 클라우드 앱을 통해 접속이 가능합니다.

다양한 설비 및 시스템과의 유연한 통신

- ezControl 기반으로 다양한 설비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며, 제조 현장의 단위 업무 시스템과도 유연하게 통신이 가능합니다.

편리한 구축 및 사용

- 가젯, 위젯 기능을 통해 쉽고 편리한 사용자 UI를 제공하며, 자동화 도구 및 재사용 컴포넌트를 통해 쉽고 빠르게 구축이 가능합니다.


고객제공가치

- 초기 시스템 도입시 뿐만 아니라, 향후 유지 보수 및 업그레이드 시에도 짧은 시간에 구축이 가능하여 비용을 절감하여 드립니다.

Operators

- 현장 원격/통합 모니터링으로 대응 시간 단축

- 실시간 분석 기능으로 빠른 원인 분석 및 대응 가능

- 보고서 작성 시간 절감

- 설비 유지 보수의 편리성 제공

Managers

- 원격/통합 설비 상태 정보 제공

- 에너지/설비 관련 보고서 제공

- 현장과 신속한 소통 채널 제공

ezUMS Developers

- 개발 생산성 향상

IT Department

- 시스템 안정성 확보

- 시스템간 연계/통합성 확보

- 성능 향상 및 확장 용이


수행 프로젝트

- LG 전자 PDP A2/A3

- LUSEMLED 공장

- LG 디스플레이 UMC(Utility Monitoring Center) 구축

- LED Lighting Control

- UPS 모니터링


No.013 비즈니스로직 통합플랫폼 BizActor

솔루션 소개

BisActor는 모델링 기반의 서버 구축 및 운영 플랫폼으로 개발자 도움 없이 설계자가 원하는 모든 비즈니스 Logic을 Diagram과 Wizard를 통해 구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손쉽게 검증 테스트 및 서버기반 서비스를 할 수 있는 통합환경을 제공합니다.

Smart Factory 솔루션이 '빠르고, 쉽고,간단히'를 구현하는데 근간이 되는 BizActor는 No Coding을 지향하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술로 다양한 산업영역에 적용되어 그 기술성을 인정받았습니다. 국내 특허획득 patent Number: 제 10-1061326호

비즈니스 로직을 작성하는 화면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복잡한 코딩이 아닌 순서도(FlowChart)생성으로 실행버전을 만들어 냅니다. 이는 기존의 개발방식인 설계서, 소스, 실행버전의 여러 단계를 거치는 복잡한 업무를 생략하고, 설계서가 곧 실행버전이 되는 획기적 방식으로 각 단계간 해석 오류를 방지하여 일관성을 유지합니다. 또한, 혼재되어 있던 비즈니스 로직과 기술코드를 완전히 분리하고, 로직변화를 위해 기존의 생성, 테스트, 배포의 단계를 클릭 한번으로 처리가능케 하여 업무의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특장점

시각적 모델링 도구를 통한 쉬운 구현

- Diagram & Wizard 방식의 시각적 모델링 UI 제공하여, 개발자가 아닌 사람도 단순한 모델링만으로 기능이 구현되어 설계서 작성, 소스 코딩, 컴파일 및 배포 등의 모든 작업이 생략 가능합니다.

실시간 변경 기술을 통한 신속한 요구사항 반영

- 비즈니스 Logic 생성 및 변경 즉시 Click 한번으로 검증 테스트가 가능하며 서버기반 서비스 제공 및 서비스의 상태 제어도 Click 한번으로 실현이 가능합니다.


고객제공가치

Biz, 솔루션 측면

- 비즈니스모델 다양화

- 쉬운 정제를 통한 BP 확보

- 최적 BP 활용을 통한 고객 가치 창조

프로젝트/운영 측면

- 완벽한 공정 분리 제공

- 혁신적 생산성/운영 편리성 제공

- 모든 비즈니스 Logic의 시각화

- 신속/품질 향상을 통한 이행/운영 안정화

- 고객이 원하는 시스템 신속 제공

유지비 측면

- 기술기반과 Logic의 분리

- 업무 전문성 만으로 유지 가능

- 혁신적 구축 환경을 통한 고객의 유지비용 경감


No.014 LG CNS OPC UA

솔루션 소개

LG CNS OPC UA는 여러 업체의 다양한 플랫폼간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OPC UA(Open Platform Communication UnifiedArchitecture)표준 규격을 준수하여 구현된 솔루션입니다. LG CNS OPC UA는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구성되었으며, 센서나 디바이스로부터 ERP 시스템이나 클라우드에 이르기까지 원할한 통신이 가능합니다. LG CNS OPC UA는 유연하고 독립적이기 때문에, Industry 4.0의 구현을 가능하게 해줄 것입니다. 2016년 9월 LG CNS는 OPC Foundation의 멤버로 가입을 하였고, 2017년 7월에는 OPC Foundation로부터 제품 인증을 받았습니다.


특장점

OPC UA Server

- 자바 콘솔 프로그램, 기본 주소 공간 모델 제공

- UA 호환 디바이스 데이터 수집

- Method 등록 및 클라이언트로부터 피호출 실행

- Method 호출시 JDK 기반 개발된 사용자 BizLogic 등록실행

- 주소공간(Field Device 및 Device Relation)런타임 모델링

- 모델링 정보 XML 저장 및 로딩

- Automation ML 모델링데이터(xml) 호환

- Value/Envent History 관리 기능

- 개발/운영환경 자바(Java 1.8)

OPC UA CLient

- 자바 Management UI 제공, 일반 사용자 모드와 관리자 모드로 구분

- 관리자모든 : OPC UA Server에 접속, Server 주소공간 모델링, Method 등록 및 클라이언트로부터 피호출 실행

- 일반 사용자 모드 : Server 주소 공간 모델 탐색, 조회 Server 데이터 읽고 쓰기, 이벤트 조회 및 모니터링

- 개발/운영환경 자바(Java 1.8), 닷넷 클라이언트 DLL 제공


OPC UA

OPC UA(Unified Architecture)는 OPC Foundation에서 제공하는 표준화된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개별적인 OPC Classic 사양의 모든 기능을 하나의 확장 가능한 프레임 워크로 통합하는 플랫폼 독립적이고 서비스 지향적인 아키텍처 입니다. 이 규정은 OPC Classic과 호환 가능합니다.


UA Scope

제조 소프트웨어 영역(Field Device, 제어시스템, MES, ERP 등)에 응용가능한 공통 인프라 모델 제공

- Information Model : 객체 의미, 동작, 구조 표현

- Message Model : 응용프로그램간 상호작용

- Communication Model : 끝점간 데이터 교환

- Conformance Model : 시스템간 호환 보장

- Security Model : 3 Level 보안 모델 제공


UA Security

3 Level 보안 모델 제공

- User Level : User Authentication

- Application Level : Exchange digitally signed certification

- Transport Level : Message encryption

COM/DCOM 기술 탈피

- DCOM의 보안모델을 사용하지 않고 지정포트를 사용한 통신

- 플랫폼 독립성, Windows 이외의 OS 플랫폼에서 실행가능


Design Goal

통합된 확장 가능한 주소 공간 및 서비스 모델 제공

- Alarm & Events와 History 통합을 위한 주소공간

- 통합 주소공간에 접근을 위한 서비스 셋 제공



오늘날 제조업체들은 제품의 생산성과 품질수준 향상 등 제조경쟁력 강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조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보다 효율적이고 최적화된 솔루션은 무엇일까요?

 

기존 공장의 모습과 IT기술이 접목된 스마트 공장에서의 변화를 보겠습니다.

기존의 수많은 공장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떤 공장은 초기 공장 설계 결함으로 생산에서의 비효율이 발생할 수 있고 , 또 어떤 공장은 공장 환경에 맞지 않는 운영시스템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

이로 인해 중대한 제품품질 저하 뿐만 아니라 생산비용의 증가를 야기하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G CNSIT기술을 활용하여 최적화된 Smart Factory 솔루션을 개발하였습니다.

 

지금부터 LG CNS가 제공하는 Smart Factory 솔루션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먼저 최적의 공장을 만들기 위해 기획단계에서 레이아웃 설계, 물류/제조 라인설계, 설비표준화 설계 후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공장 운영환경을 설계합니다.

그 후 LG CNS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Smart Factory 솔루션을 적용합니다.

Smart Factory 핵심솔루션은 ezMES, ezControl, ezUMS등의 S/W 솔루션과 ezSCrane, ezConveyor, ezVision 등의 지능화 설비 솔루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ezMES는 생산계획에 따른 실적을 실시간으로 정확히 관리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생산현황 정보를 실시간 공유함으로써 업무 효율을 향상시킵니다.

LG CNS는 과거 20년간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성공적으로 MES를 구축한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ezMES는 이러한 성공 경험 바탕의 다양한 산업별 Best Practiceembedded된 산업별 특화 솔루션입니다.

 

ezControl은 공장내 모든 생산/물류/Utility 설비의 정밀제어를 PLC 수준의 실시간 제어가 가능한 PC 기반 제어 솔루션 입니다.

ezControl을 통해 이기종의 복잡한 장비 라인을 고객이 원하는 모습으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모델링툴과 시뮬레이션 기능이 기본 제공되어 빠르고 쉽게 제어 시스템을 구축할수 있습니다.

 

ezUMS는 모든 환경 및 Utility 설비들이 최적의 상태에서 운영될 수 있도록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며 공장 전체 뿐만 아니라 공정단위까지 에너지 사용량을 파악하여 에너지 사용을 조절합니다.

IT기술을 접목하여 개발한 ezSCrane, ezConveyor 등의 물류 설비와 Vision 알고리즘을 적용한 ezVision등의 지능화된 설비를 제공합니다.

또한 이러한 설비들은 생산 운영시스템과 통합되어 설비의 전체적인 효율을 극대화합니다.

그리고, 생산 운영 최적화를 위해 실시간으로 작업을 지시하거나 물류 흐름을 제어하고, 불량제품을 실시간적으로 감지 후 Feedback하는 Advanced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렇게 적용된 Smart Factory 솔루션은 지속적인 진단과 모니터링을 통해 공장의 생산환경을 최적화시킵니다.

LG CNS Smart Factory 솔루션을 도입한 공장은 무엇이 좋아졌을까요?

 

첫째, 투자 대비 생산성이 극대화됩니다.

둘째, 에너지 및 운영 비용 절감을 통해 원가 경쟁력이 향상됩니다.

셋째, 공장의 운영환경을 최적화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킵니다.

Smart Factory 솔루션은 공장의 생산환경을 개선하는 가장 최적화된 방법을 제공합니다.

LG CNS Smart Factory 솔루션으로 여러분의 공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해 보십시오.

LG CNS가 여러분을 도와드리겠습니다.


'Legend 개발자 > 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트릭스투비  (0) 2017.11.16
와디즈 FAQ  (0) 2017.09.25
Posted by 전설의아이
|

No.001 변수의 수준

명목변수(nominal variable) [범주형변수]: 

- 측정대상의 특징을 구분만 할 수 있는 변수이다. 명목변수에서는 변수값들 간에 서열이나 크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 예: 성별(1.남자, 2.여자), 거주지역(1.경기도, 2.충청도, 3.전라도, 4.경상도) 

서열변수(ordinal variable) [범주형변수]:

- 변수값들 간에 순서(서열)가 존재하는 변수이다. 순서 사이의 거리가 같다고 할 수 없기 때문에 변수값들의 정확한 크기는 알 수는 없으며 따라서 사칙연산도 불가능하다.

- 예: 1.매우 만족, 2.만족, 3.불만족, 4.매우 불만족

등간변수(interval variable) [연속변수]:

- 변수값의 순서뿐만 아니라 순서 사이의 가격을 알 수 있는 변수다. 등간변수는 비율변수와 달리 절대값 0이 존재하지 않는다.

- 예: 지능지수, 생활만족도

비율변수(ratio variable) [연속변수]:

- 등간변수의 모든 특성에 더하여 절대값 0이 포함된 변수이다. 따라서 비율변수에서는 사칙연산이 완전히 가능해진다. 

- 예: 소득, 가족 수


No.002 알아야 할 단어들

사례수 (N) : 말 그대로 사례수이다.

중간값 (median) : 위치 대푯값의 하나로. 통계 집단의 관측값을 크기순으로 배열 했을 때 전체의 중앙에 위치하는 수치. 예를 들면, 주어진 n개의 자료에 대해 n이 홀수인 경우 크기가 (n+1)/2번째 값. n이 짝수인 경우 크기가 n/2번 째 또는 (n/2)+1 번째 값을 중간값이라고 한다.

평균 (Mean) : 각 사례에서 나온 점수들의 합 나누기 사례수를 하면 평균이 나온다.

편차 (deviation) : 편차는 자료값 또는 변량과 평균의 차이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편차를 살펴보면 자료들이 평균을 중심으로 얼마나 펴져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자료값이 평균보다 크면 편차는 양의 값을, 평균보다 작으면 음의 값을 갖는다. 편차의 크기는 차이의 크기를 나타낸다.

분산 (variance) : 통계에서 주어진 변량이 평균으로부터 떨어져있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의 한 종류, 즉 편차의 평균을 구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분산을 구하기 위해서 편차를 제곱을 한 후 평균을 구한다. 그 이유는 편차를 모두 더하면 그 합이 0이 되므로 평균을 구하는 의미가 사라져 버리기 때문이다.

표준편차 (Std. Deviation) : 자료의 분산의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 평균값과 각 자료의 값의 차(편차)를 제곱하여 그것을 산술 평균한 값의 제곱근으로 구함. (분산에 루트씌우는 것이 표준편차) 표준 편차가 작은 것은 평균값 주위의 분산의 정도가 작은 것을 나타냄. 점수집합 내에서 점수들 간의 상이한 정도를 나타내는 산포도 측정 도구, 표준편차가 클수록 평균값에서 이탈한 것, 표준편차가 작을수록 평균값에 근접한 것, 변수값이 평균값에서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를 알 수 있음. 표준편차를 시그마로 표시한다.

표준오차 (Std. Error Mean) : 표본추출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차와 연관된 것으로 추정량의 정도를 나타내는 측정 도구, 표본이 모집단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것, 각 표본들의 평균과 전체 평균 간의 간격, 표준오차가 작을수록 표본의 대표성이 높다., 표본오차는 표본평균의 표준편차라고도 한다. 

공분산(covariance) : 확률변수의 기댓값과 분산이 확률분포에 대한 정보를 주듯이 두 확률변수 사이에 정의된 공분산은 두 확률 변수의 선형관게에 대한 정보를 알려 준다. 확률변수 X가 평균으로부터 큰 값을 가질 때, Y 역시 큰 값을 가지는 경향이 생기면 둘 사이의 공분산은 양의 값을 갖는다. 공분산의 부호를 통하여 두 변수의 선형관계를 대략적으로 추측할 수 있다. 공분산은 두 변수의 측정 단위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므로 공분산의 크기 자체로 두 확률변수의 선형관계를 판단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선형관계를 판단하는 수치로는 공분산을 표준화한 상관계수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x평균, y평균을 구한 후, x-x평균, y-y평균을 구한 후나온 좌표(x-x평균,y-y평균)의 좌표 X,Y를 곱한 것의 평균을 구하는 것이 공분산이다.]


No.003 t-검증 (t-test)

t-검증은 이분변수와 연속변수로 결합된 변수관계를 검증할 때 사용한다. 

t-검정은 두 집단의 평균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할 때 사용하는 분석기법이다. 두 집단의 평균값에 차이가 있을 때 이 차이가 정말 집단간 차이에서 발생한 차이인지 아니면 우연(chance)이나 오차(error)로 말미암아 발생한 차이인지를 통계적으로 가려내는 것이다.

"남녀간에 소득의 차이가 있을까?", "과외를 받은 학생과 그렇지 못한 학생간에는 수능점수에 차이가 있을까?"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때 t-검증을 사용한다.

t-검증을 하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례수, 평균, 표준편차, 표준오차 값이 표로 나온다. 우리는 실험집단의 평균과 통제집단의 평균을 비교하여 그 차이의 값을 구할 수가 있다. 만약 그 차이가 충분히 큰 차이라면 우리는 정말로 두 집단간에 차이가 있다고 확신할 수 있을 것이다. 반대로 그 차이가 충분히 크지 않다면 이는 오차나 우연에서 발생한 차이라고 의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어느 정도의 차이를 '충분히' 큰 차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바로 그 충분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통계프로그램은 사례수와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원래값'을 통계적으로 판단 가능한 '표준값'으로 만들어 주는데 이 과정을 가리켜 표준화 과정이라 한다. 결국 t-검증의 핵심은 표준화점수(standardized score) 즉 t점수(t score)를 얻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표준화점수란 한마디로 통계적 자신감을 반영한 수치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사례수가 중요한데 그 이유는 사례수에 따라 연구자는 측정결과에 자신감을 가질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정리를 하자면 비록 두 집단간 평균차이가 같더라도 

표준편차가 크면 ↔ 통계적 자신감 감소 : (반비례)

사례수가 많으면 ↔ 통계적 자신감 증가 : (비례)

t score를 구하는 공식을 표현해 보자. 우선 식에 들어갈 요소들을 정리해보면 두 집단 간의 평균차이는 (M1 -M2)로, 각 집단의 사례수는 n1과 n2로 그리고 자료의 분포 즉 표준편차는 S1과 S2로 각각 표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공식은 아래와 같다.

이 식을 통해서 분자(M1-M2)가 커질수록, 각 집단의 표준편차(S)가 작아질수록 그리고 사례수(n)가 커질수록 t값은 증가한다는 것을 할 수 있다. 결국 t-검증이란 표준편차와 사례수를 고려하여 두 집단간 평균차이를 통계적으로 비교 가능한 수치 즉 t 점수(t-score)로 바꾸어 주는 것을 말한다.


No.004 분산분석 ANOVA (선 분산분석, 후 집단간 평균 비교)

t-검증에서는 두개의 집단을 가지고 비교를 하였다. 그럼 집단이 두개 이상이면 어떻게 해야할까? t검증을 3번에 걸쳐서 하는 방법이 있으나 집단의 갯수가 늘어나면 계산량이 많아진다. 그러므로 여러 집단의 평균들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검증할 때 사용하는 통계기법을 분산분석 (analysis of variance)이라고 하며 간단히 ANOVA라고 부른다.

t-검증에서 우리는 평균차이를 검증할 때 표준화점수(t점수) 즉 통계적 유의미성을 판단할 수 있는 점수를 얻기 위해서 집단의 분산(표준편차)과 사례수를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 특히 같은 차이라 하더라도 집단들의 퍼진 정도에 따라 통계적 유의미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았다. 다행히도 두 집단간 평균비교에서는 하나의 공식에 평균차이, 분산 그리고 사례수를 모두 대입하여 한번에 결과(t점수)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아쉽게도 세 집단 이상에서는 이들을 한꺼번에 분석할 수 있는 공식이 아직까지 개발되지 못하였다. 그래서 우선은 분산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서 차이가 발견되면 따로 집단 간 평균들을 비교하는 2단계의 분석을 거치게 되는 것이다.

SPSS로 ANOVA 분석을 하면 상자그림이 나온다. 상자그림의 길이는 각 집단의 분산을 나타내고 상자안에 굵은 선은 각 집단의 평균을 나타낸다. 

 각 집단의 분산이 큰 경우와 각 집단의 분산이 작은 경우를 살펴보았을 때, 후자가 전자보다 더 큰 차이가 나는 것 처럼 느껴질 것이다. 그 이유는 분산이 크면 박스의 길이가 커지고 분산이 작으면 짦아지기 때문이다. 즉 t-검증과 같은 원리로 집단간 차이가 같더라도 각 집단들의 분산이 작으면 그 차이가 우연이나 오차에서 온 것이 아니라고 자신할 수 있는 반면 각 집단들의 분산이 크면 그 자신감이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각 집단들의 분산을 합한 수치를 가리켜 집단내평균제곱(mean squares within group, MSW) 또는 집단내분산이라고 한다.

 분산이 같다는 가정하에, 각 집단간 평균차이가 작은 경우와 각 집단간 평균차이가 큰 경우를 볼 때, 후자가 전자보다 집단들간의 차이에 더 자신감을 갖게 된다. 왜냐하면 전자에서 집단들 간의 평균차이가 작은데(박스들이 좁게 펴져 있다) 반해 후자는 집단들 간의 평균차이가 크기(박스들이 넓게 펴져 있다) 때문이다. 이렇게 각 집단들이 퍼져있는 정도 즉 집단들 간의 평균차이를 계산한 수치를 가리켜 집단간평균제곱(mean squares between groups, MSB) 또는 집단간분산이라고 한다.

정리를 하자면 

집단내분산(MSW)↑↔ 평균들의 차이에 대한 자신감↓ (반비례) 

집단간분산(MSB)↑↔ 평균들의 차이에 대한 자신감↑ (비례)

평균이 같을 때 분산이 작으면 자신감 상승, 평균이 다를 때 분산이 같으면 평균차가 큰 것에 자신감 상승, 그림을 통해서 퍼져있으면 자신감 상승 집중되어 있으면 자신감 하락

집단간분산(MSB)과 집단내분산(MSW)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사례수와 집단의 수가 자유도(degree of freedom : df)라는 개념으로 포함된다. 즉 자유도란 주어진 조건 하에서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는 점수, 변인의 수 또는 한 변인의 범주의 수이다. 기호는 df를 사용한다. 통계적 분석에서는 제한조건의 수와 표본의 수의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어떠한 제한 없이 임의로 세 개의 숫자를 써보라고 한 경우에는 세 개의 숫자를 완전히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으므로 자유도 df=3이다. 

t-검증에서 두 집단간 평균차이, 분산 그리고 사례수로 표준화된 점수(t점수)를 얻었듯이 집단간분산(MSB)과 집단내분산(MSW)을 가지고 역시 여러 집단들간의 평균차이를 통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점수를 얻을 수 있다. 바로 이 점수를 가리켜 F값(F-value)이라고 한다. 두 분산의 비율과 자유도가 주어져 있을 때 F분포표에 의존해 통계적 유의성을 판단하기 때문에 이 통계치를 F값이라고 부르며 이러한 검증방법을 F-검증(F-test)이라고 부른다.

ANOVA 분석을 SPSS로 할 경우 표에는 집단간분산(Between Groups)값과 집단내분산(within groups)값이 나와 있을 것이고 집단간분산 나누기 집단내분산을 한 값인 F값도 바로 옆칸에 나와 있을 것이다. F값 바로 옆칸에 나온 유의미값을 통해 F값이 얼마나 유의미 한지 알려준다. 0.000에 가까울 수록 유의미하다. F값의 경우 집단간 차이가 전혀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 항상 집단간분산이 집단내분산보다 크기 때문에 기준은 1이 된다. 즉 1보다 커질수록 집단간분산이 집단내분산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곧 집단간의 차이가 우연이나 오차에 의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F-검증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어느 집단에서 차이가 나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사후비교(post hoc comparison)을 실시하고 통상 Tukey HSD와 Duncan 방법을 사용한다. SPSS에서 체크 후 실행을 하면 모든 집단을 1:1로 비교한 결과를 보여준다. 해당 표에서 Sig. 가 0.000에 가까울 수록 유의미 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No.005 상관관계 correlation 분석

두 연속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해야 할 때, 주로 연속변수로 이루어진 변수들의 관계를 분석할 때 사용하는 기법이 상관관계 (correlation) 분석이다. 두 변수가 일관된 형태로 변할 때 우리는 두 변수간에 관계가 있다고 한다. 한마디로 상관관계분석이란 변수들간 선형관계(linear relationship)의 방향(direction)과 강도(strength)를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신장과 체중의 관계는 변화의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이 둘은 정적상관관계(positive correlation)라고 한다. 반면 한 변수가 증가(감소) 할 때 다른 변수가 감소(증가) 한다면 이는 부적상관관계(negative correlation)라고 한다.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가장 초보적인 방법은 산점도(scatter plot)를 그러보는 것이다. 만약 점들의 분포가 우상향(우하향)하면 두 변수는 정적(부적) 관계가 있는 것이고 점들의 분포가 직선에 가깝게 나타나면(넓게 펴져있으면) 두 변수는 관계강도는 강한(약한) 것이다. 

상관계수(r)의 특징

- 항상 -1에서 1사이의 갑을 갖는다.

- +는 정적관계를 -는 부적관계를 나타낸다.

- 절대값이 0에 가까울수록 상관관계가 낮은 것이고 절대값이 1에 가까울수록 상관관계가 높은 것이다.

- r=1 또는 -1은 두 변수의 관계가 완전한 직선을 이룬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관계수를 구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다.

위의 공식을 보면 (n-1) 과 표준편차(S)는 항상 양수이기 때문에 전체 식의 부호를 결정하는 것은 결국 분자가 된다. 즉 두 변수가 같은 방향으로 변하는 경향이 크다면 r은 양수가 되고 다른 방향으로 변화하는 경향이 크다면 r은 음수가 된다. 이와 같은 원리로 변수간 관계의 방향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두 변수가 각각의 평균으로부터 움직이는 정도를 곱하여 모두 더하고 이 값을 자유도(n-1)로 나누어 준 값을 가리켜 공분산 (covariance)이라고 한다. 위의 공식의 분자부분이 공분산이다.

한편 공분산(두 변수가 함께 변하는 정도)을 각 변수의 표준편차(분산)로 나누어 주었다. 앞서 t-검정에서 본 것과 같이 분산(표준편차)으로 나누어 주는 것을 가리켜 표준화시킨다고 한다. 통계에서 표준화시킨다 함은 단위가 다른 변수들을 비교하기 위해 동일한 단위로 변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관관계 분석시 반드시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다. 상관계수는 단지 두 변수의 관계가 직선에 얼마나 가까운지 만 알려주기 때문에 곡선과 같은 비선형관계(nonlinear relationship)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상점(outlier): 변수의 분포에서 비정상적으로 분포를 벗어난 값이다. 각 변수의 분포에서 극단값을 갖는 경우나 자료에 타당도가 없는 경우, 비현실적인 변수값들이 이에 해당한다.

상관분석은 이상점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는다 즉, 이상점에 대한 저항성(resistance)이 약하다는 것이다.


No.006 회귀분석

회귀분석이란 하나의 종속변수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독립변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통계기법이다.

일반적으로 연구자는 변수들간의 관계 특히 인과관계에 관심을 갖는다. 회귀분석에서는 독립변수가 원인으로 그리고 종속변수가 결과로 간주된다.

회귀분석이 사회과학에서 자주 사용되는 이유는 바로 결과(종속변수)에 대한 여러 원인(독립변수)들을 한꺼번에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회귀분석에서는 종속변수에 대한 개별 독립변수들의 순수한 영향(pure effect)을 따로따로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각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의 변화에 기여하는 정도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단순회귀모형(simple regression) : 독립변수가 하나인 회귀분석

중다회귀모형(multiple regression) : 독립변수가 여러 개인 회귀분석

상관관계는 단지 두 변수의 관계가 얼마나 직선에 가까우며 그 방향성은 어떠한지를 우리에게 알려준다. 이를 하나의 방정식(equation)으로 나타내면 1차 함수인 선형방정식(linear equation)이다. y=a+bx 식에서 a는 절편(intercept)을 나타내고 b는 기울기(slope)를 나타낸다. 즉 이 식은 x가 1만큼 변할 때 y는 b만큼 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b가 +이면 증가함수가 되고 -이면 감소함수가 된다. 

선형방정식을 사용해서 변수의 관계를 나타낸다는 것은 두 변수의 관계가 직선이라는 것을 가정한 것인데 직선의 가장 큰 특징은 방향이 언제나 일정하다는 것이다. 즉 기울기가 양인 직선은 어느 점에서나 항상 증가하고 기울기가 음인 직선은 어느 점에서나 항상 감소한다. 또한 그 변화율이 어느 점에서나 항상 일정하다. 그러므로 회귀분석이란 결국 변수간의 관계를 가장 잘 대표하는 선형방정식(회귀식)을 찾는 과정이다.

회귀식 y=a+bx에서  y를 예측치(predicted vaue)라고 했을 때 데이터의 실제 y값을 관측치(observed value)라고 한다. 여기서 예측치와 관측치의 차이를 오차(error) 또는 잔차(residual)라고 한다. 그러므로 오차 = 관측치 - 예측치 라는 식이 나온다. 오차가 가장 적다는 것은 모든 점들을 대표하는 회귀식을 찾았다는 뜻이므로 오차들의 합이 가장 작은 선을 찾아야 한다. 오차들을 더할 때 양수와 음수가 합치면 의미가 없기 때문에 오차들을 제곱하여 양수로 만들고 난 후 그 값들을 모두 더해준다.

물론 제곱 대신 절대값을 사용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절대값을 사용하여 계산하면 회귀선이 한 쪽으로 치우치는 경우 즉 모든 오차가 - 또는 +로 나오는 경우도 실제 오차의 합은 최소로 계산되어 우리가 원하는 바람직한 회귀선(모든 사례의 중앙을 관통하는)을 도출 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회귀식을 추정하는 기본원리는 오차들을 제곱하여 이들의 합을 최소로 만드는 선형방정식을 찾는 것이라 하겠다. 이렇게 오차들을 모두 제곱하여 합한 값을 가리켜 오차제곱합(sum of squares error : SSE)이라고 부른다. 이를 간단히 표현해 보면 다음과 같다.

최소제곱법(ordinary least square: OLS)이란 일반최소제곱법이라고도 불리며 오차제곱합(sum of squares error: SSE)이 최소인 방정식(y=a+bx)을 회귀식으로 추정하는 방식을 말한다. 물론 최소제곱법 말고도 가중최소제곱법(weighted least squares)이나 2단최소제곱법(two-stage least squares)과 같이 회귀식을 추정하는 방식들은 다양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소제곱법(OLS)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이유는 계산 과정이 비교적 간단하고 대부분의 자료에 무리 없이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소제곱법을 사용하여 방정식을 구할 때 기울기b를 구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다.

이 식을 말로 풀어보자. 먼저 분자에서는 모든 x의 값에서 x의 평균을 빼고 모든 y의 값에서 y의 평균을 빼주어 이 둘을 곱한 값들을 다 합한다. 그리고 분모에서는 모든 x의 값에서 x의 평균에서 빼주고 이를 제곱한 값들을 모두 합한다. 여기서 분자를 (n-1)로 나누어 주면 바로 상관분석에 소개하였던 x와y의 공분산(convariance)이 된다. 또한 분모를 (n-1)로 나누어 주면 이는 곧 x의 분산이 된다. 따라서 분모와 분자를 모두 (n-1)로 나누어 주면(분모와 분자에 같은 수를 곱하거나 나누어도 분수자체에는 아무 변화가 없다) 결국 회귀식의 기울기(b)는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의 공분산을 독립변수의 분산으로 나눈 것이 된다.

이 공식을 통해서 회귀식의 기울기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공분산과 비례하고 독립변수의 분산과 반비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공분산이 일정할 때 독립변수의 분산이 클수록(분포가 넓게 퍼져있을수록) 회귀식의 기울기는 작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구해진 B값을 가리켜 회귀계수(regression coefficient)라고 한다.

이제 절편만 구하면 된다. 기울기를 알았기 때문에 회귀선이 반드시 지나는 한 점만 알 수 있다면 절편은 쉽게 구할 수 있다. 다행히도 이미 통계학자들은 최소제곱법으로 구해진 회귀선은 반드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평균(x평균,y평균)이 교차하는 점을 지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간단히 절편을 구할 수 있다. [y평균]=a+b[x평균] → a=[y평균]-b[x평균] 즉 이미 구해진 기울기를 독립변수의 평균에 곱하고 이를 다시 종속변수의 평균에서 빼주면 된다.

위의 과정을 통해서 구해진 회귀식이 바로 오차제곱합을 최소화시키는 회귀식이라 할 수 있다.

y=a+bx라는 단순회귀식의 값이 나온 후 해석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x가 양수일 경우 x가 1 증가할 때마다 b만큼 증가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회귀식에서 절편(a) 그 자체는 유용한 정보를 주지 못한다.
















Posted by 전설의아이
|

No.001 매트릭스투비 회사소개

"전자구매시스템에서 수출입시스템까지" 글로벌 비즈니스 파트너 매트릭스투비

 고객의 가치실현을 최우선으로 하는 매트릭스투비는 고객 중심 솔루션전문 기업입니다.

 매트릭스투비는 PI(Process Innovation) 컨설팅, 전자구매솔루션, 전자무역솔루션, Marketplace 솔루션 등을 제공하여 고객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파트너입니다.

 매트릭스투비는 고객의 가치실현 및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최적화된 컨설팅 능력과 소룰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SCM영역에서 글로벌 솔루션 구축 경험과 노하우를 통하여 고객과 성장하고 있습니다.

 고객사의 글로벌 경쟁력과 IT기술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으며, 매트릭스투비는 기업 내 플랫폼을 제공하는 혁신적 기업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회사개요

회사명 : (주) 매트릭스투비

설립년도 : 1987.04.25

직원 수 : 50명

소재지 :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 30길 28 마리오타워 513호 (우편번호 : 08389)


주사업영역

전자구매 사업

- 통합구매솔루션(Matrix*SRM)

- 통합고객관리솔루션(Matrix*CSM)

- 통합거래중계솔루션(Matrix*Market)

- 전자계약시스템(Matrix*DC)

- 전자입찰시스템(Matrix*e-Bid)

전자무역사업

- 외환상역/물류/통관/환급EDI

- 전자무역솔루션(Matrix*Trade)

- 중국특화업무솔루션(등기수책/핵소관리)

- 외환상역(로컬) ASP 서비스사업

- Matrix*e-BIZ HUB

FTA관련 사업

- FTA원산지판정 시스템

- FTA가치사슬 최적화 컨설팅

- FTA e-learning

전자무역국책 사업 

- PAA 동아시아 네트워크 구축사업

- u-Trade Hub 구축사업

- 동북아 G-SCM 구축사업

전자공인인증서

- 국내 3대 CA 공인인증 RA대행 서비스

- 전자세금계산서(Matrix*Bill)구축 및 ASP서비스 


No.002 무역

개요

 매트릭스투비 무역 (수출입/통관/환급/FTA) 솔루션은 내/외부의 비즈니스 환경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기간(내부)시스템과 독립(Independence)적인 플랫폼에서 자유롭게 운영 되며, 기업 내/외부 데이터의 자동연계(Portal, EDI/XML, System to System Interface 등) 를 통해 무역의 전 과정을 프로세스상 단절 없이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Global Single Solution”을 제공합니다.


솔루션 구성도

 매트릭스투비의 “eBusiness Solution Suite” 는 다양한 프로세스의 무역업무 처리를 위하여 단위기능별 모듈화된 솔루션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전자무역(EDI)시스템을 기본적으로 장착하고 있어 외부 기관과의 국내/외 표준 인터페이스를 지원합니다.

- 수출입(전자무역) : 수입관리, 수출관리, 로컬거래, 무역포털, 외환,상역(EDI), 수출보험(EDI)

- 대 세관업무: 전자통관(EDI), 보세화물(EDI), 관세환급(EDI)

- FTA Compliance : FTA원산지 판정, 기관발급(EDI), 협력사 포털



No.003 수출입

개요

 매트릭스투비 수출입(전자무역)관리 솔루션은 기업 내 수출입 업무를 자동으로 처리하여 그 결과를 Legacy 또는 ERP와 완벽하게 연동ㆍ통합하는 진정한 의미의 전사적 통합 무역관리 솔루션입니다. 또한 EDI 전자문서 송수신을 통해 대외 기관과의 시스템 연계를 지원함으로써 Paperless를 통한 무역업무의 One-Stop Process 처리를 지원합니다. 

 매트릭스투비는 글로벌 무역/물류 업무에 적합한 최적의 시스템을 단일 기술, 단일 플랫폼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 적용뿐만 아니라 해외지사에도 적용하여 본지사간의 거래를 “Global Single Solution”으로 지원하며, 필요한 경우 해외 현지특화업무를 시스템에 적용하여 글로벌 확장 모듈을 제공합니다.


솔루션 구성도

 수출입(전자무역)관리 솔루션은 수입관리, 수출관리, 로컬거래, 무역포털, 외환·상역(EDI), 수출보험(EDI) 모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무역의 다양하고 복잡한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해 시스템 셋업 정보와 기준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시스템 사용의 유연성 및 편의성을 제공합니다. 
 또한 각각의 모듈은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확장모듈(전자통관, 관세환급, FTA 등)을 추가적으로 연계하여 적용할 수 있습니다.



수출입(전자무역)관리 솔루션

솔루션 주요기능

 매트릭스투비 수출입(전자무역)관리 솔루션은 하나의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자체 기술로 개발한 전자무역 전문 솔루션입니다. 28년간 다양한 산업군의 기업을 대상으로 안정성과 전문성을 검증 받은 솔루션으로 지속적인 R&D투자를 통해 최적화된 솔루션을 개발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업무 범위에 따라서 각 모듈을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각 모듈은 시스템간 연계되어 있습니다.


특장점

- 무역거래형태별 프로세스 지원

- 수출입 부대비용 관리

- 구매진행정보의 Visibility 확보

- 내부시스템과의 안정적인 연계

- 외부시스템과의 글로벌 표준연계

- 다양한 통계자료

- 전문적, 체계적인 유지보수


전자무역 EDI 솔루션 연계 기관


No.004 대 세관업무

개요

 매트릭스투비의  세관업무 지원 솔루션은 화주와 관할 세관간의 통관/환급관련 신고업무를 전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솔루션으로서 ‘수출통관/수입통관/보세구역/관세환급‘업무 등을 지원합니다. 또한 수출입(전자무역) 솔루션과 관련 Data(C/I,B/L)를 연계하여 문서작성이 가능하고 통관완료 후 전자통관 솔루션의 면장정보를 관세환급 솔루션의 Data로 Interface하여 효율적인 세관업무를 지원합니다.


솔루션 구성도

 對 세관업무 지원 솔루션은 수출통관, 수출갈음, 수입통관, 보세공장, 보세창고, 관세환급 모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세관업무 지원 솔루션은 ERP 및 Legacy와의 Interface 모듈을 제공하여 Data 구성이 용이하고 각종 출력물/엑셀 Download /History 기능 등을 통한 최적화된 업무를 지원합니다.
 또한 각각의 모듈은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수출입 (수출,수입,로컬,외환·상역) 솔루션과도 연계하여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무역업무 전체 프로세스를 시스템으로 처리하도록 지원합니다.



전자통관 솔루션

솔루션 주요기능

 전자통관 솔루션은 화주와 관할 세관간의 EDI 통관업무를 전자 신고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솔루션으로서 수출통관/수입통관/ 수출물품반입확인업무 등을 지원하며 수출입시스템에서 C/I와 B/L Data를 연계하여 문서작성이 가능하고 통관완료 후 면장정보를 관세환급시스템 Data로 Interface하여 효율적인 환급업무를 지원합니다.


시스템 구성도


특장점

- [보안] 통관 Data 내부 시스템 보관/관리

 통관담당자는 통관업무 발생 시 자체 통관시스템을 이용하여 통관 처리를 할 수 있으며, 관세사 의뢰를 필요로 하는 통관의 경우 관세사에 의뢰 통보를 하고, 접수받은 관세사는 통관서버에 접근하여 통관을 처리함

- [효율] 통관업무처리의 효율성 제고

- 통관 업무 프로세스 변경에 따른 업무 시간 단축

- 내부 시스템을 활용한 통관 처리로 업무 흐름 파악 용이

- 관세사는 내부시스템에 접근하여 통관 업무 별도 없이 처리

- 면허 정보 전달 필요 없이 DB에서 참조하여 환급 업무진행

- [정책] 관세청 온라인 통관 검색

- [환급] 환급업무 처리의 효율화 및 오류방지

- [기타] Paperless, Seamless 업무처리


도입효과

 기업의 전자통관은 무역프로세스 중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구간으로 ‘관세청’ 연계 업무를 지원하고 전자무역의 오프라인 흐름을 온라인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 업무효율 : 전자통관으로 업무처리 시간 단축 및 수출입 원가 개선 효과 → 업무 처리시간 단축

- 즉시통관 : 내부시스템과 연동, 통관서류자동작성, 통관 단일화/표준화 구현 → 내부시스템 연동, 종이서류 절차 생략

- 통관정보 : 수출입 원가 분석, 관세율 추이 분석, 관세환급 DB로 활용 → 통관 정보 내부 자료 활용

- 보안강화 : 관세사 대행을 위하여 통관 기초서류를 외부 반출에 대한 부담 → 정보 유출 예방


관세환급 솔루션

솔루션 주요기능

 관세환급 솔루션은 무역시스템의 최종업무단계로서 수출업체의 소요량을 근거로 해당 수출실적과 수입 시 발생하는 세액에 대하여 환급업무를 전자적으로 처리하고, ERP 및 Legacy와의 Interface 모듈을 제공하여 Data 구성이 용이하고 각종 출력물/엑셀 Download/History 기능 등을 통한 최적화된 관세환급 업무를 지원합니다.


시스템 구성도

특장점

 Matrix*관세환급은 3,500여 개 기업에 납품된 제품으로 안정성과 시스템 접합성이 뛰어난 제품입니다. 내부 ERP 정보와 연계를 통한 기준정보 관리에서 수출·수입 면장 관리를 체계적으로 지원해 주고 있으며, 관세청 양수도 업무를 지원해 주기 위한 로컬업무 영역을 포함하고 있어 하나의 솔루션으로 최종 환급액 신고까지의 처리가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원가배분을 위한 맞춤형 로직과 근거서류관리를 통해 사후 관리가 가능토록 제작되어 있습니다. 조직분리에 따른 복수의 독립사업자 관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도입효과

 대부분 기업들이 관세환급에 관한 관심 부족과 전문인력 부족으로 환급을 제대로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매트릭스투비가 제공하는 관세환급시스템은 현재의 업무를 표준화, 간소화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관세환급을 통해 원활한 자금확보를 지원해 드릴뿐만 아니라, 매월 수백~수천 건의 수출입 면장을 자동화 처리하여 업무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도모해 드리고 있습니다.

1. 시스템 통합으로 자원관리의 통합화

- ERP+수출입관리+관세환급 시스템과 통합으로 One Stop Process 실현

- 시스템 통합으로 정보/기술/비용의 통합관리 기능

2. 업무 효율화로 자금확보의 원활화

- 시스템 효율화를 통한 수출입통관 및 관세환급 업무의 원활한 운용

- 신속한 관세환급으로 원활한 자금확보

- 관세법령 개정이나 MIG 변황에 따른 신속한 대응 가능

- 무역서식의 전산 통합화(EDI)로 대고객 서비스 향상 및 관세청등 무역관련 기관과의 업무처리 간소화

3. 수작업의 자동화를 통한 업무 개선

- 무역서식의 표준화를 통한 업무처리 개선

- 월 수천건 수출연장, 수입면장 → 자동화

- 월 마감 → 시스템 인터페이스로 자동처리

- 월 수백여건 사후정산 → 자동화

- 양수도 업무 → EDI 자동화

4. 업무처리시간 단축

- ERP와 전자통관 및 관세환급시스템과 연동으로, 이중입력방지 및 업무처리시간 축소

- 업무처리와 동시에 예상환급액 산정이 가능한 신속한 자금관리


No.005 전자구매

개요

 Matrix*Procurement는 기업내부의 다양한 형태의 구매 프로세스를 지원하며, 구매요청, 입찰, 계약관리, 발주관리, 납품관리, 기성관리, 정산관리, 입고관리까지의 전반적인 구매영역에 대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또한 업무포탈 내에 포탈을 통하여 유관부서 및 협력사와의 협업기능을 제공 합니다. 원부자재 구매/설비구매/공사구매/용역구매/소모성자재구매에 대한 물품별 특성에 따른 구매기능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솔루션 구성도

Matrix*Procurement시스템은 고객사의 ERP 및 그룹웨어시스템과 유기적 연계를 통하여 구매업무의 효율화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주요 기능

회사/조직 - 멀티법인의 구매업무를 지원하기 위한 구매조직 편성 기능을 제공

사용자/권한 - 사용자정보 관리, 권한관리, 단위업무편성 등을 지원

품목분류 - 고객사의 구매품목의 분류체제 지원, SG그룹과 매핑기능 지원

SG분류 - SG그룹의 분류체계, SG그룹의 편성 및 담당자 배정 기능 제공

협력사관리 - 협력사 업체정보관리, 담당자정보에 대한 정보관리 기능 제공

품목관리 - 구매품목에 대한 정보관리 기능 제공

구매요청관리 - 요청부서의 구매요청서를 접수하고 소싱처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

입찰관리 - 구매요청서를 접수 받아 입찰(공개경제, 제한경쟁, 지명식)을 통해서 물품을 소싱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

전자계약관리 - 공인인증서(PKI)를 기반으로 한 서식기반 전자계약기능을 제공

발주관리 - 발주서를 포탈을 통해서 협력사에 전달하는 기능 제공

기성관리 - 선급금, 기성관리 기능 제공을 통해서 대금지급에 대한 관리 기능 제공

납품/입고관리 - 납입지시, 납품서관리 및 ERP 입고처리 기능을 제공

보증보험관리 - 구매유형별 업무단계별로 보증증권사 연계를 통한 증권발행업무 제공

정산관리 - 공사 및 설비구매시 협력사와의 종료처리를 위한 대금지급 정산업무를 지원


특장점

정체구매프로세스 지원

- 구매업무 전체를 통합 지원하는 Single Window기반 솔루션

- 구매요청, 입찰, 계약관리, 발주관리, 납품관리, 기성관리, 정산관리, 입고관리까지의 내자구매 전체 프로세스를 지원

- 수출용 원부자재 구매에 대한 기능 지원

- 전자계약 기능 지원 및 보증증권사 연계

확장형 솔루션

- 구매요청, 오퍼관리, 발주관리, 대금지급계획, 선적관리

- 수입면허관리, 보세화물관리, 입고관리, 재비용관리 기능 지원

- 외자구매 시 물류기업과 협업할 수 있는 기능 제공

- 매트릭스투비의 전체 솔루션과 통합 적용 가능 함

  (수출시스템, 통관시스템, 고나세환급, FTA, 보세공장 등)

업무 효율화

- 구매업무의 온라인화를 통한 통합관리

- 구매 리드타임의 단축 및 위험요소 감지

- 구매 역량강화를 통한 원가절감

통합구매

- 그룹사의 통합 구매를 지원할 수 있는 조직구성

- 원부자재 구매 이외 설비/공사구매 지원

- 자재코드가 생성되기 이전의 텍스트 구매를 지원 함

- 다국어/멀티브라우저 지원


No.006 마켓플레이스

개요

 Matrix*마켓플레이스 솔루션은 고객사의 상품구매를 위한 상품검색/주문/입고/정산 프로세스와 신규상품/구매요청/견적의뢰/견적제출/구매단가계약/판매단가계약 등의 On-line 시스템을 제공함.


구성도


특장점

확장성, 투명성, 편의성 제공

- 다국어 지원(기본 탑재 언어 : 한글,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 고객사별 다양한 프로세스 셋팅 가능(결제관리, 예산관리, 상품독점/제외관리 등)

- 업무별 유연한 결재선관리(기본결재선, 조직별결재선, 금액결재선, 상신예외자)

- 고객사 주문 편의성, 투명성 제공(예산체크, 결재상신 기능)

- 업무지원 기능 강화(대량 벌크업로딩, 조회결과 필드 Sort/엑셀다운 제공)

검증된 Solution

- 아이마켓코리아, 행복나래 등 대형 마켓플레이스 업체에 성공적인 구축

- 다양한 환경(OS, WAS, DB)의 구축사례를 통한 안정된 솔루션 입증


구축사례

IMK 중국합자법인 거래시스템 구축

    • - 구축기간 : 2013년 8월 ~ 2014년 4월(9개월)
    • - 특징 : 고객사별 독점/제외 기능 제공, 검색엔진으로 다양한 검색 적용

IMK 베트남법인 구매대행시스템 구축

    • - 구축기간 : 2015년 1월 ~ 2015년 6월(6개월)
    • - 특징 : 고객사별 표준/고정/계약판가 관리, 삼성계열사 I/F 연계

행복나래 차세대시스템 구축

    • - 구축기간 : 2015년 6월 ~ 2016년 4월(11개월)
    • - 특징 : SAP ERP연동(MM,SD,FI,CO,EIS), SK계열사 I/F 연계, 모바일 연계


No.007 SRM

개요

 Matrix*SRM(Supplier Relation Management)는 최적의 공급망관리를 위한 공급사와의 현업기능 강화를 위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1. 선진화된 협력사 관리

- 협력업체 온라인 Pool관리 기능

- 협력업체 등급화 및 그룹화 전략

- 협력업체 역량평가를 통한 차별화 정책

2. 전략구매 수립

- SG그룹/평가기준 설정

- 전략적 SG평가(SI, RA)

- 역량평가(Credit, Cost, Delivery, Response, Quality)

- KPI 및 Dashboard 기능 제공


솔루션 구성도

 Matrix*SRM는 고객사의 공급망 전체에 대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기능을 탑재하고 있으며, Matrix*Procurement의 확장형 모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더불어 전략구매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서 기간계 시스템 및 대외시스템들과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습니다.

- Matrix*Procurement 확장 기능

- 전략적 협력업체와 시스템간 연계 기능 제공


요 기능

전략수립 - SG정의, SG평가대상, 협력업체 평가/차별화관리, 평가시트 기능 제공

협력업체관리 - 온라인 Pool기능, 포탈기능 제공, SG별 평가기준/차별화, 가입심사 기능 제공

전략특성평가 - SI, RA평가, SRS분석 기능

협력업체 평가 - KPI 설정에 따른 성과분석 기능 제공 Credit, Cost, Delivery, Quality, Response


특장점

SRM(Supplier Relation Management)은 고객사의 협력업체와의 전략적 협업관계 구축을 통하여, 전체 공급망의 최적화 및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하는 전략입니다.

전략수립

- SG별 전략

- 협력업체 차별화 전략

- SG 그룹 / EG 그룹에 따른 대상 설정

- 평가정의

협력업체 평가

- 협력업체 그룹화(잠재업체/거래업체)

- 평가방법/평가항목

- Segmentation(잠재 → 거래  중요  우수)

- 전략적 중요 품목에 대한 평가 수행(SI분석)

- 평가방법(실태/실적/정량/정성평가)

협력업체 그룹화 전략은 5단계로 구분되어 지며, SG별 협력업체 Pool을 대상을 진행됩니다.

1. SI평가

2. RA평가

3. SRS분석

4. 수행평가

5. 차별화전략


No.008 글로벌특화

해외무역 개요

 Matrix 솔루션은 아시아(베트남, 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EU권, 미주(미국,멕시코,브라질) 구축 경험을 바탕으로 글로벌특화 솔루션을 지원합니다. 
 현지 유관 기관 및 법제에 맞게 통관, 외환 업무를 제공합니다.


특장점

언어 확장성, 유연성 제공

- 다국어 지원, 현지통화단위 지원, 서식 표기법 등 각각의 Business Logic 변경에 유연하게 대처 가능

- 현지 유관 기관 및 법제에 맞는 기능 제공

- 현지 리포트 제공 및 콘솔


No.009 통관정보 서비스

개요

 관세청 통관정보를 정확하게 관리하고자 하는 기업의 요구를 반영하여 기업의 내부업무관리 및 관세환급 등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관세청 통관정보(자사실적)를 통계교부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기업에 데이터로 직접 전달하는 서비스를 통계교부기관과의 협약을 통해 독점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업무 구성도

수출입기업 업무지원을 위한 정보서비스의 확대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기업의 의견을 수렴하고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절차


연계용 전용엔진 Trass*EBMS

통관 자사실적 정보를 안정적으로 수신하여 DataBase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전용엔진 Trass*EBMS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Trass*EBMS는 암호화된 표준전자문서로 수신된 통관정보를 복호화 하여 Data로 저장하는 기능까지를 제공하는 검증된 전자문서 전용 송수신 엔진 입니다


서비스적용사

현대그룹 계열사, 한화그룹 계열사, 코오롱 그룹 계열사, 삼성그룹 계열사, SK그룹 계열사, LG그룹 계열사, 효성그룹, LS, 대우인터네셔널, 현대글로비스 외 다수


No.010 공인인증 서비스

개요

 무역거래용 및 전자계약에 필요한 법인용 공인인증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본 서비스는 발급기관인 ‘한국무역정보통신 (KTNET)’ 공인인증사업을 대행하는 형태로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서비스 구성도

- 특수목적용 공인인증서 서비스 : 무역용 공인인증서 발급/재발급/갱신 서비스

- 일반용 공인인증서 서비스 : 금융/전자계약 등 범용 공인인증서 발급/재발급/갱신 서비스.

- PKI Tool kit : 전자계약용 등 기업 서버용 공인인증 툴 킷 (Non ActiveX)


서비스 가입 절차

STEP 1 인증서 신청하기

1. 온라인 신청서 작성 및 출력(http://raadmin.tradesign.net)

2. 인증서 요금결제(실시간이체, 가상계좌, 카드결제)

3. 신청서 기재사항 확인 후 인감날인 구비서류 준비

STEP 2 서류 제출하기

1. 전화로 방문일정 상의 후 신청인 직접 내방(신청서, 관련서류 제출 및 신원확인)

2. 찾아가는 서비스 이용(신청인이 직접 제출이 어려운 경우에 등록 대행 기관 직원 (우체국 등) 이 방문하여 서류 접수하는 서비스이며 1주일 정도 소요)

STEP 3 인증서 발급받기

1. 인증서 발급

2. 메일로 보내드린 참조번호/인가코드 입력

3. 신청인 암호 설정 후 발급 완료


공인인증 서비스 요금


No.011 ITO 서비스

개요

 ITO ( Information Technology Outsourcing ) 기업환경에 맞는 시스템 구축에서 유지보수 전담조직을 통해 사후관리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운영 최적화를 위한 운영인력 파견사업으로 고객 가치 실현을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 체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고객지원 서비스 구성도


고객지원 정책

하자보수

- 프로젝트 수행 후, 솔루션 셋업 후 개시

- 계약조건에 따라 명시된 기간 동안 진행

- 프로젝트 수행 범위 또는 솔루션의 하자가 발생한 경우 지원

유지보수

- 프로젝트 완료 이후 무상 기간이 종료한 후 계약조건에 따라 개시

- 정기점검, 업그레이드 패치 (당사정책에 따라 무상 부분에 대해 행함)

- 프로젝트 수행 범위 내 하자 유지보수. (변경 발생 시 기술협의를 통해 무상지원 여부 결정)

운영대행

- 운영대행 계약 시점 개시

- 하자/유지보수와 별도로 운영 계약 체결

- 해당 업무 시스템에 대해 유지보수 업무 + 변경 발생에 대한 지원. (지원범위 계약 명시)

Call Charge

- 서비스 요청 발생 시점

- 해당 건에 대한 기술지원 규모를 산정하고 견적 후 지원


No.012 웹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MWF)

개요

 MWF(Matrix2b Web application Framework)는 매트릭스투비 웹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Java 기반의 경량 컨테이너로서 MVC(Model View Controller) 아키텍처와 객체 지향 개념이 적용되었으며, 다양한 템플릿과 XML 편집 툴을 제공하여 쉽고 빠른 웹 페이지 제작을 지원합니다.


구성도


특장점

생산성

- 다양한 템플릿과 XML 편집 툴을 통한 쉽고 빠른 화면 개발

- 파일 첨부, 메일 발송, 결재 등 자주 쓰이는 공통 모듈에 대한 API 제공

확장성

- 대부분의 RDBMS 사용 지원(Oracle, SQL Server, PostgreSQL 등)

- 사용자가 설정한 국가에 해당하는 언어와 시간, 숫자/통화 표시

- Legacy 시스템과의 손쉬운 데이터 교환(공통 인터페이스 모듈 제공)

편의성

- 즐겨찾기, 엑셀 업로드/다운로드, PDF 다운로드 등 다양한 편의 기능 제공

- 화면 별 항목 표시 여부, 순서, 고정 컬럼 등을 사용자가 직접 설정

- 사용자 그룹 별 메뉴, 버튼 제어 등 세부 권한 관리 기능 제공

안정성

- 웹 표준 준수, 크로스 브라우징 지원

- 국내의 주요 보안 권고 사항 준수

  (안전행정부 S/W 개발보안 가이드, OWASP Top 10, CWE/SANS Top25등)

- S/W 품질 검사 솔루션을 도입하여 지속적인 품질 검사 실시


서비스 적용 사례

 삼성전자 및 그룹 계열사, 현대자동차 및 그룹 계열사, 한화그룹 계열사, 코오롱그룹 계열사, SK그룹 계열사, LG그룹 계열사, 효성그룹 계열사, LS, 대우인터내셔널, 현대글로비스 외 다수


No.013 전자문서 교환 엔진(EBMS)

개요

 EBMS(ebXML Messaging Service)를 도입하면 기업 간 비즈니스 데이터 교환을 통해 협업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Matrix*EBMS 솔루션은 일반적인 기업 간 협업 뿐만 아니라 관세청, 은행, 국세청 등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기본적으로 지원하며 어댑터 모듈을 사용하여 내부 Legacy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도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주요 기능

- SOAP 메시지 생성 및 송수신

- 비즈니스 데이터 형식 변환

- Legacy 시스템과의 데이터 연계

- XML 전자서명, 암호화

- 사서함, 인증서 관리

- 송수신 메시지 모니터링, 통계 현황 제공

- 오류 모니터링(웹, 이메일, SMS) 및 재처리


특장점

- 다양한 데이터 형식에 대한 변환 지원(DB, XML, Text 등)

- 유관기관과의 손쉬운 연계 지원(관세청, 은행, 무역통계진행원, 국세청 드얘

- 멀티 쓰레드 사용으로 빠른 속도 보장

-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를 통한 대용량 데이터 송수신 안정성 확보

- 메시지 Polling 수신 지원

- 데이터 수집 → 변환 → 메시지 생성 →송수신 등 일련의 과정에 대한 추적 기능 제공

- Binary 파일 송수신 지원

- 웹 콘솔을 통한 업무 데이터 생성 룰, 변환 스크립트 관리 등 다양한 편의 기능 제공


서비스 적용 사례

 삼성전자 및 그룹 계열사, 현대자동차 및 그룹 계열사, 한화그룹 계열사, 코오롱그룹 계열사, SK그룹 계열사, LG그룹 계열사, 효성그룹 계열사, LS, 대우인터내셔널, 현대글로비스 외 다수


No.014 솔루션

Matrix*Solution


No.015 고객센터 안내

1. 고객센터 업무 절차

 SMS, e-mail 또는 전화 등의 문의를 통해 상담요청이 접수되시면 관련 담당자에게 문제 해결을 위한 업무 지시가 내려지며 문제 처리가 완료된 후 고객님께 전화 또는 e-mail, SMS를 통해 안내해드립니다.


2. 고객센터 이용 안내

 월요일부터 금요일은 오전 9시 ~ 오후 6시

- 수출입, 통합구매, 외환상역, 서비스 관련 문의 : 02-890-6742

- 통관, 환급, FTA, 관세청 관련 문의 : 02-890-6725

제춤문의는 상담요청을 이용하시면 더욱 빨리 해당 제품 담당자가 바로 연락을 드립니다.

- 제품관련 문의 : 02-890-6706 | sales@matrix2b.com

- 업무제휴 문의 : 02-890-6706 | sales@matrix2b.com


3. 유지보수 신청

유지보수의 기간

 자사 상품(패키지, 솔루션)을 구입 또는 구축하신 고객님 중 제품 업그레이드 및 오류 발생 시 원격지원/전화/방문 등을 통해 업무상의 불편한 점을 해결해 드립니다.

무상 유지보수 - 솔루션 구축 후 1년

유상 유지보수 - 무상 유지보수 기간이 지난 후

A/S방법

 유지보수 기간 중 고객센터 콜 서비스를 통해 제품 A/S가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원격지원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또한 계약형태에 따라 업무담당자가 직접 방문하여 문제점을 해결해 드리기도 합니다. 단, 출장비용이 추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4. 원격지원 도우미

 고객님의 PC를 원격으로 접속하여 신속하게 해결해 드립니다.




ETC - 용어정리


통관 Customs Clearance

 관세법에서 정한 절차를 이행하여 물품을 수출, 수입 또는 반송하는 것을 말한다.

 수출 또는 수입하려는 물품은 모두 세관의 통관절차를 거쳐야 한다. 한국은 1996년 6월 이전에는 세관이 수출입 신고를 받고 적법 요건을 심사 및 검사하여 일일이 면허하던 수입면허제를 운영하다가 1996년 7월부터 수출입 신고 수리제를 시행하고 있다. 현행 관세법에 따르면, 수출-수입에 있어서 법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허가-승인, 표시 등의 구비조건을 요하는 물품은 세관장에게 그 조건을 구비하였음을 증명하여야 한다. 구비조건에 대한 세관장의 확인이 필요한 수출입 물품에 대하여는 그 물품과 확인방법, 확인절차 등의 필요한 사항을 관세법 시행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미리 공고하여야 한다. 수출, 수입 또는 반송하고자 하는 물품은 관세법에 따라 해당 물품의 품명, 규격, 수량 및 가격과 그밖에 목적지, 원산지, 선적지 등 관세법 시행령이 정하는 사항을 세관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신고인은 화주 또는 관세사 등의 명의로 하되, 수출신고의 경우에는 화주에게 해당 물품을 제조하여 공급한 자의 명의로 할 수 있다. 신고인은 신고할 때 과세자료 외에 선하증권 사본 또는 항공화물운송장 사본 등 관세법 시행령이 정하는 서류를 제출하여야 한다. 세관에서는 해당 물품과 대금 영수 방법에 대하여 대외무역법, 식물방역법, 가축전염병예방법, 외국환거래법,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류 등 관련 법령에 의한 수출입 요건과 상표권 침해 여부, '멸종위기에 처한 동식물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의 대상 물품 여부, 원산지 표시 등을 이행하였는지를 확인한다. 세관장은 적법하게 이루어진 신고에 대하여 지체없이 이를 수리하고 신고필증을 교부하여야 하고, 국가관세종합정보망의 전산처리설비를 이용하여 신고를 수리하는 경우에는 관세청장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신고인이 직접 전산처리설비를 이용하여 신고필증을 교부받을 수 있다. 수입신고가 수리된 물품은 내국물품이므로 보세구역에서 즉시 반출할 수 있다. 수출신고가 수리된 물품은 수리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우리나라와 외국간을 왕래하는 운송수단에 적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적재 일정 변경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통관지 세관장에게 적재 기간의 연장 승인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여행자의 휴대품이나 탁송품 또는 별송품, 우편물, 종교용품, 자선용품, 장애인용품, 정부용품, 소액물품, 이사물품 등 관세법에 따라 면세되는 물품, 국제운송을 위한 컨테이너 등에 대하여는 신고를 생략하거나 관세청장이 정하는 간이신고로 대체한다.


전자문서교환 EDI Electronic Data Interchange

 기업간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교환하기 위해 지정한 데이터와 문서의 표준화 시스템이다.

 이메일, 팩스와 더불어 전자상거래의 한 형태이며, 기업간 거래에 관한 데이터와 문서를 표준화하여 컴퓨터 통신망으로 거래 당사자가 직접 전송, 수신하는 정보전달 시스템이다. 주문서, 납품서, 청구서 등 무역에 필요한 각종 서류를 표준화된 상거래서식 또는 공공서식을 통해 서로 합의된 전자신호로 바꾸어 컴퓨터 통신망을 이용하여 거래처에 전송한다. 그러므로 국내 기업간 거래는 물론 국제무역에서 각종 서류의 작성과 발송, 서류정리절차 등의 번거로운 사무처리가 없어져 처리시간의 단축, 비용의 절감 등으로 제품의 주문, 생산, 납품, 유통의 모든 단계에서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다. 단, 전자문서교환의 대상은 컴퓨터가 직접 읽어서 해독가능하고 인간의 개입없이 다음의 업무처리를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주문서, 영수증 등과 같은 정형화된 자료가 대상이다. 이것은 미국의 운송업계에서 문서의 전송지연 및 중복처리로 인한 비효율성을 해결하기 위해 1975년에 처음 도입하였고, 1978년 운송업계의 전자문서교환 표준을 제정하였다. 국제연합에서는 1960년부터 국제연합 유럽경제위원회 아래 대외무역서류 간소화 및 표준화 작업팀을 구성하여 무역서류의 간소화와 표준화를 추진하고, 1963년에 무역서류상 반복해서 나타나는 기재항목의 배열에 대한 표준서식 설계도를 제정하였다. 1987년 3월 유인, 행정, 무역 및 운송에 관한 EDI 국제표준이 제정되었다. 그 후 1990년 5월 본격적인 EDI 통신표준인 X.435권고안이 제정되었다. 한국은 1987년에 처음 도입하였다. 전자문서에는 데이터 요소들의 문자열이 포함되는데, 그 각각은 가격이나 제품모델번호 등과 같이 개별적 사실들을 표현하며 구획문자에 의해 분리된다. 여기서 전체의 문자열을 데이터 세그먼트라고 부르는데, 헤더와 트레일러에 의해 틀이 만들어진 하나 이상의 데이터 세그먼트들은 전송단위인 트랜잭션 세트를 이룬다. 하나의 트랜잭션 세트는 흔히 전형적인 한 장의 무역서류나 양식 내에 포함되어 있을 만한 항목들로 구성된다. 전자문서교환에서 사용하는 구제적인 통신표준은 X.435, ANSI의 X12 등 3~4가지 중X.435가 표준으로 사용되었다가, 현재 국제연합이 중심이 되어 만든 UN/EDIFACT의 표준을 따르고 있다. 국내에서는 X.400MHS 시스템을 이용한다. 발주자측의 이점으로는 정보가 단시간에 수주자측에 도달함으로써 납품까지의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되고 정보가 서류화되지 않음으로써 인위적인 실수를 피할 수 있고, 그에 따른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수주자측의 이점으로는 정보가 컴퓨터를 통해 직접 전송되어 오므로 수주에 필요한 시간을 대푹 단축할 수 있고 사람이 개재되는 작업이 감소되므로 실수에 따른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원산지판정기준 [참고 http://www.tradenavi.or.kr/ ]

 수입물품 원산지 판정의 일반적 기준은 '완전생산기준'과 '실질적 변형기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완전생산기준이란 수입물품의 전부가 하나의 국가에서 채취 또는 생산된 물품인 경우 해당물품의 생산국을 원산지로 하는 기준으로, 주로 천연생산물에 적용이 됩니다. 실질적변형기준은 물품의 생산, 제고, 가공과정이 2개국 이상의 국가가 관련된 경우 최종적으로 실질적 변형을 원산국으로 하는 것으로서 다음 3가지 기준으로 판정하고 있습니다. 

a. 세번변경기준 : 원재료의 세번과 상이한 세번의 제품을 생산한 국가를 원산지로 함

b. 부가가치기준 : 특정한 비율이상의 부가가치를 생산한 국가를 원산지로 함

c. 가공공정기준 : 제품의 주요한 공정이 일어난 국가를 원산지로 함

 현행 대외무역법령상 수입물품의 원산지 판정기준은 세번변경기준(HS6단위변경)을 원칙으로 하되 예외적으로 일부 품목(카메라, 소, 돼지, 의류, 섬유 등 대외무역관리규정 별표9에 규정)에 한하여 부가가치기준 및 가공공정 기준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HS6단위가 변경된 경우라도 단순가공활동을 수행한 국가는 원산지로 하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합니다. 단순가공의 예시에는 통풍, 건조 또는 단순가열, 냉동, 냉장, 손상부위의 제거, 이물질제거, 세척, 기름칠, 녹방지 또는 보호를 위한 도색, 도장, 거르기 또는 선별, 정리, 분류 또는 등급선정, 시험 똔느 측정, 표시나 라벨의 수정 또는 선명화, 가수, 희석, 흡습, 가염, 가당, 전리, 각피, 탈각, 씨제거 및 신선 또는 냉장 육류의 냉동, 단순절단 및 단순혼합, 도축, 펴기, 압착 등이 해당됩니다.

 관세청에서는 원산지를 확정하기가 쉽지 않은 수입물품의 정확한 원산지 판정을 받고자 하시는 분들을 위해 원산지판정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니 관세청 특수통관과(042-481-7644)로 문의하시면 자세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FTA 원산지증명서 발급 [참고 http://www.tradenavi.or.kr/ ]

 FTA 원산지 증명서란 수출물품이 FTA 협정에서 정한 원산지기준을 충족하였음을 확인하는 서류로서 수입국에서 FTA 특혜관세를 적용받기 위해 통관 시 제출하는 서류입니다. 발급방식에 따라 기관발급 또는 자율발급으로 구분됩니다.


적하목록취합시스템(MFCS)

가. 적하목록 취합시스템의 구축배경

 적하목록이란 국내에 입출항하는 모든 선박이나 항공기에 적재된 화물의 총괄목록으로 화물의 총량관리를 위하여 생성된 화물정보이며, 적하목록 취합시스템(mFCS : ManiFest Consolidation System)은 적하목록을 세관에 제출해야하는 운항선사/항공사를 대신하여 용선사 및 포워더들의 화물목록을 취합하여 제출하도록 지원해주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다. MFCS의 태동은 세관의 화물관리 방식이 기존의 개별화물정보인 B/L에 의한 화물관리에서 적하목록에 의한 관리로 개편('96. 7. 1)된 시점에서 비롯되었다. 수출화물의 선(기)적 연계 관리 및 수입화물의 총량 재고관리를 위하여 모선단위의 취합된 적하목록의 제출이 요구 되었으나, 선사 및 항공사는 Master B/L단위의 자체 화물관리만을 위한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었으므로, 부산에서 개최된 'EDI형 해상수출입 보세화물관리 업무절차개선안'에 대한 최종 설명회('96. 2. 28)에서 포워더 및 용선사단위 화물정보 취합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96. 3월 관세청 지도과(현 수출입물류과) 주관의 '적하목록 개정관련 실무협의반'이 구성되어 적하목록취합 및 화물관리절차 개정안을 최종 확정하고, 곧바로 시스템 개발에 착수하여 '96.12월 항공부문, 97.4월에는 해상부문 적하목록 취합대행서비스를 시작하였다. MFCS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왔다. 첫째, 선사/항공사의 Master B/L 단위의 적하목록과 포워더의 House B/L 단위의 혼재화물적하목록을 자동취합함으로써 운송 업계간의 개별적 전산환경 구축문제를 해결하고, 입력대행소를 운영하여 전산환경이 열악한 포워더의 전산구축 비용부담 절감 및 항공부문의 야간 및 공휴일 입력대행을 통하여 업무편의를 제공하였다. 둘째, 항공사로부터 항공업계 문서교환표준인 CARGO-IMP 전자문서(FFM, FWB, FSB, CIR)를 수신하여 MASTER 적하목록을 생성하고, 관세청 제출표준인 UN/EDIFACT 문서로 변환함으로써 항공사의 화물시스템 변경을 최소화하였다. 셋째, 화주배정 DB구축을 통한 항공사의 MFCS 화면배정 및 포워더 배정업무 자동화를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적하목록 서류를 기반으로 한 배정장소 서면분류작업은 폐지되었다. 넷째, 물류업체별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선사/항공사,포워더,보세운송사,관세사,장치장, 검수회사,하역업체,은행, 무역업체 등 화물정보 수요업체간의 정보공유 및 paperless에 기여하여 왔다. 구체적인 일례로 보세구역, 보세운송사, 검수회사, 하역업체, 관세사 등에게 적하목록 정보를 file 형태로 제공하여 보세구역 반출입, 보세운송신고, 수입통관업무의 신속 및 정확화를 도모하고, 무역업체를 위한 E-Mail/Fax 방식의 수입화물 도착통지 서비스 및 Web 방식의

 수입화물 추적정보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나. MFCS를 이용한 화물업무 처리절차

1. 항공사는 적하목록을 작성하여 CARGO-IMP 표준전자문서인 FFM/FWB/FSB/CIR을 SITA/ARINC 등의 국제항공망을 통하여 MFCS로 전송하고, MFCS는 MASTER 적하목록을 변환 생성한다. 선사는 MASTER 적하목록을 작성, 포워더는 HOUSE 적하목록을 작성하여 MFCS로 전송한다.

2. 제출된 MASTER, HOUSE 적하목록을 MFCS에서 자동취합하고 미제출된 HOUSE 적하목록은 입력대행소가 입력대행한다. 또한 분류실은 MFCS에서 화면분류작업을 하고, 입력대행소는 수하인코드화 작업을 한다.

3. 항공사는 적하목록 취합여부를 확인후, 출항은 출항익일 세관근무시간까지, 입항은 입항 24시간전까지(항공화물 및 일본, 중국 등의 근거리 해상화물은 입항전까지) 세관으로 적하목록을 전송한다.

4. 세관의 적하목록심사 및 관리대상화물선별 내역을 MFCS에 반영하고, 항공사는 하선신고서를 MFCS에서 세관으로 전송하여 수리를 득한다.

5. 하역업체는 MFCS에서 분류작업지시서/하기신고서를 출력하여 하역작업 및 실물 분류작업을 수행한다.

6. 보세운송사/보세구역/검수회사는 업무처리를 위한 화물정보를 MFCS에서 수신하여 보세운송신고와 반출입신고 및 하선결과 이상보고서를 생성한다.

7. 항공사/ 포워더는 적하목록 처리상태를 MFCS에서 실시간으로 조회하고 세관오류 통보 및 하기/ 하선결과이상보고 정보를 공유한다.


선적서류 Shipping Document

 화물을 선적한 것을 증명하는 서류의 총칭. 국제무역에서는 이 선적서류의 원본을 매매하는 것에 의해서 상품거래를 행한다. 담보 물건으로써 중요한의미를 갖는 한편 수입 수출을 위한 통관을 할 경우에도 사용된다. 중요한 선적서류에는 선하증권(B/L), 송장(Invoice), 포장명세서(Packing List), 해상보험증권(Marine Insurance Policy)이 있고 보조서류는 원산지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 영사송장(Consular Invoice) 검사증명서(Inspection Certificate) 등이 있다.


선하증권 B/L(Bill of Lading)

 화주와 선박회사간의 해상운송 계약에 의하여 선박회사가 발행하는 유가증권이다. 다시 말하면 선주가 자기 선박에 화주로부터 의뢰받은 운송화물을 적재 또는 적재를 위해 그 화물을 영수하였음을 증명한다. 그리고 동 화물을 도착항에서 일정한 조건하에 수하인 또는 그 지시인에게 인도할 것을 약정한 유가증권.


항공화물운송장 AWB(Air Waybill)

 항공회사가 화물을 항공으로 운송하는 경우에 발행하는 화물수취증으로 해상운송에서의 선하증권(B/L)에 해당되며 항공운송장 또는 항공화물수취증이라고도 부른다. 유가증권이 아닌 단순한 화물수취증임.


화물선취보증장 L/G(Letter of Guarantee)

 수입물품은 이미 도착하였으나 운송서류가 도착하지 않을 경우 운송서류 내도 이전에 수입상과 개설은행 이 연대보증한 보증서를 선박회사에 선하증권의 원본 대신 제출하고 수입화물을 인도받는 보증서. 항해일수 짧은 국가로 부터 수입할 시 수입화물보다 선적서류가 늦게 도착하는 경우에 납기 등의 사항으로 수입화물의 긴급 인수를 요하거나 보관료 등의 비용절감을 위하여 활용되고 있음.


상업송장 C/I(Commercial Invoice)

 매도인이 매수인 앞으로 해당 거래물품의 특성과 내용명세 등의 주요사항을 상세히 명기한 것으로 수출자에게는 대금청구서로서의 역할을 하고, 수입자에게는 매입명세서로서 역할을 하여 수입신고시 과세가격의 증명자료가 된다.


포장명세서 P/L(Packing List) 

 선적화물의 포장 및 포장 단위별 명세와 단위별 순중량, 총중량, 그리고 화인 및 포장의 일련번호 등을 기재함으로써 포장과 운송, 통관상의 편의를 위하여 매도인이 매수인에게 발행하는 명세서로서 송장을 보충하는 역할을 한다.


보험증권 I/P(Insurance Policy)

 운송에 부수해서 발생하는 각종의 위험에 의해 화물 및 기타의 재산이 손해를 입은 경우를 대비하여 보험을 부보한 경우, 보험 계약의 성립과 그 내용을 증명하기 위하여 보험 회사가 작성하여 기명 날인한 후 보험 계약자에게 교부하는 증권으로서 계약 확인의 증거가 되는 것이다. 계약서는 유가증권이 아닌 단순한 증거 증권인데 통상 배서 내지 인도에 의하여 양도된다.


원산지증명서 C/O(Certificate of Orign)

 화환어음의 부대서류로서 수출물품의 원산지를 증명하는 국적확인증서의 성격을 가진 통관에 필요한 서류 이며 적성국의 생산물 인가를 판별할 목적으로 이용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수입상품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양허세율이나 구정세율을 적용시킬 때의 기준으로 이용되는 객관적인 서류이다.


검사증명서 I/C(Inspection Certificate) 

 수출품의 품질, 포장, 재료 등을 대하여 수입자가 지정한 검사기관 또는 전문 검사기관이 검사하여 상품이 완전한 것임을 증명하기 위해 검사기관이 발행하는 증명서이다. 검사기관에 대한 명시가 없는 경우에는 수출자가 작성한다.


권리포기선하증권 Surrender B/L

 화물의 도착지에서 선하증권 원본의 제시없이 전송(Fax) 받은 사본으로 화물을 인수 받을 수 있도록 발행된 선하증권으로, 단지 B/L에 Surrender 스탬프를 찍어 B/L상의 수화인이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비유통성 물품인수증인 것입니다. Surrender, Surrendered, Telex release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스위치 비엘 Switch B/L

 중계무역(삼각무역, 삼국간무역)에 주로 사용되는 B/L로서 중계업자가 원수출자를 노출시키지 않기 위하여 화물을 실제 수출한 지역에 속한 선사, 포워더가 발행한 B/L을 근거로 제3의 장소에서 Shipper(원수출자)를 중계업자로 교체하여 발급받는 B/L을 말한다.


복합운송주선인, 포워더, 포워딩업체 Forwarding Company(Forwarder)

 일반적으로 운송수단을 직접 소유하지 않은 채 운송을 위탁한 고객의 화물을 인수하여 수하인에게 인도 할 때까지의 집화, 입출고, 선적, 운송, 보험, 보관, 배달 등의 업무를 주선 또는 수행 하거나 복합운송체제하에 스스로 운송계약의 주체자가 되어 복합운송인으로서 복합운송증권을 바랭하여 전구간의 운송책임을 부담하는 운송주선인을 말한다.


선박회사, 선사 Shipping Company

 자체 선박을 가지고 있거나 제휴선사와 공동배선을 통하여 운송을 Service하는 실질적인 Carrier를 말한다. 즉, 선박을 이용하여 운송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대한 보수로서 운임을 취득하는 것을 업으로는 운송인을 말한다.


FCL(Full Container Load) Cargo

 1개의 컨테이너를 채우기에 충분한 양의 화물을 말한다.


LCL(Less than Container Load) Cargo

 컨테이너 1개를 채우기에 부족한 소량화물을 말하며, FCL과 반대되는 개념임.


CO-Loading

 포워더가 자체적으로 집하한 LCL화물이 FCL화물로 혼재되기에 부족한 경우 동일, 목적지의 LCL화물을 보유 하고 있는 타 포워더에게 Joint Consolidation을 의뢰하여 화물을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수송하는 방법


혼재작업 CONSOL(Consolidation)

 컨테이너선 운송단위인 컨테이너 한 대를 채우지 못하는 소량화물(LCL화물)을 모아서 한 개의 컨테이너를 구성하는 작업


부두외 컨테이너 야적장 ODCY(Off Dock Container Yard)

 컨테이너 장치자으로서 부두에서 떨어진 곳에 위치한 장치장.


내륙컨테이너 기지 ICD(Inland Container Deport)

 내륙통관기지로서 컨테이너 집하, 통관수속등의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곳.


컨테이너 집하장 CY(Container Yard)

 컨테이너를 인수, 인도하고 보관하는 장소를 말한다. 부두밖의 CY는 ODCY, 부두안의 CY는 On-Dock CY(일반적 CY라 칭함)


컨테이너화물 집화소 CFS(Container Freight Station)

 선사나 대리점이 선적할 화물을 화주로부터 인수하거나 양화된 화물을 화주에게 인도하기 위하여 지정한 장소


CFS 작업료 CFS Charge

 LCL화물을 운송하는 경우 선적지 및 도착지의 CFS에서 화물의 혼적 또는 분류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비용임(하역료, 검수료, 화물정리비, 보관료 등)


운임산출중량(항공) C/W(Chargeable Weight)

 운임계산의 기준이 되는 중량을 말한다. 통상, 화물의 실제중량(실중량)과 용적중량(6.000cm3제곱 = 1kg) 중 무거운 쪽이 Chargeable Weight로 계산된다.


운임톤(해상) R/T(Revenue Ton)

 용적이나 전량 또는 가격 어느쪽이든 간에 운임계산의 기초가 되는 운임톤(Freight Ton) 이라고도 한다. 흔히 용적이나 중량 중 높은 운임을 산출해 낼 수 있는 쪽의 톤수를 말한다.


화물인도지시서 D/O(Delivery Order)

 선박회사나 포워더가 화물보관자인 CY, CFS 혹은 보세창고로 하여금 D/O 소지인에게 화물을 인도할 것을 지시하는 비유통서류이다. 수입자가 선사로부터 D/O를 교부받기 위해서는 선사나 포워더에게 선하증권 원본을 제시해야 하며 아울러 운임 등 각종 비용 정산도 끝나야 한다. Surrender B/L일 경우 실화주 확인 필


서류 발급비 D/F, D/O Fee, DOC Fee (Documentation Fee)

 선사나 포워더가 일반관리비 보전을 목적으로 수출시 선하증권을 발급해 줄때, 수입시는 화물인도지시서 (D/O)을 발급해줄때 징수하는 비용


터미날화물처리비 THC(Terminal Handling Charge)

 컨테이너화물이 CY에 입고된 순간부터 본선의 선측까지, 반대로 수입시는 본선의 선측에서 CY 게이트를 통과하기까지 화물의 이동에 따르는 비용 OTH: Terminal Handling Charge at Origin, DTH: Terminal Handling Charge at Destination


화물입향료 W/F, WFG(Wharfage)

 해양수산부가 항만법의 하위법령인 [무역항의 항만시설사용 및 사용료에 관한 규정]에 의해 부두를 거쳐 가는 모든 화물에 징수하는 요금


컨테이너세 CON'T TAX (Container Tax)

 부산시가 컨테이너 배후도로 건설을 위해 지방세법 개정을 통해 한시적 부가하는 목적세, 일종의 지역개발세임(2006.12말 폐지)


유류할증료 BAF(Bunker Adjustment Factor)

 선박의 주원료인 벙커유의 가격변동에 따른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부과하는 요금. FAF와 동일한 개념


유류할증료 FAF(Feul Adjustment Factor)

 선박의 주원료인 벙커유의 가격변동에 따른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부가하는 요금. BAF와 동일한 개념


긴급유류할증료 EBS(Emergency Bunker Surcharge)

 전쟁이나 분쟁, 산유국의 담합 등으로 유가가 평소폭보다 폭등하는 현상이 발생될 시 선사에서 운항비를 보존하기 위하여 긴급 부가하는 할증료(잠정 : 일본)


긴급유류할증료 CBR(Critical Bunker Recovery)

 전쟁이나 분쟁, 산유국의 담합 등으로 유가가 평소폭보다 폭등하는 현상이 발생될시 선사에서 운항비를 보존하기 위하여 긴급 부가하는 할증료. (잠정 :남중국, 동남아)


유류할증료(항공) FSC(Fuel Surcharge)

 국제 유가의 급격한 상승으로 단위 구간에 대한 운송비용의 증가에 따라서 항공사에서 각 화물에 대하여 추가로 받는 운송비를 말한다. 항공사 마다 약간의 적용 규정이 다르고 IATA Area별로 지정이 되어 있다.


통화할증료 CAF(Currency Adjustment Factor)

 운임표시통화의 가치하락에 따른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도입된 할증료. 선사의 손실보전을 위한 요금


보안할증료 SSC(Security Surcharge) 

 항공기 안전 점검, 위험지역 항해에 부과되는 요금


미 관세청의 적하목록시스템 AMS(Automatic Manifest System)

 미국 입항 화물을 사전에 전자 문서로 미 세관(CBP)에 신고하는 제도. 신속한 통관을 돕는 취지에서 출발 했지만 최근 테러방지 목적으로 사전에 화물을 검사하는 기능이 더 강화 되었음.


미국세관사전신고수수료 AMS Charge(Adivice Manifest Security Charge

 Automatic Manifest System Charge


성수기할증료 PSS(Peak season Surcharge)

 성수기 물량 증가로 컨테이너 수급불균형 및 항만의 혼잡 심화에 따른 비용 상승에 대한 할증료이다.


전쟁할증료 WRS(War Risk Surcharge)

 전쟁 위험지역에 화물운송을 위해서 위험부담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부과되는 할증료


착지불수수료(항공) CCF(Collect Charge Fee)

 항공에서 수입화물의 운임이 착지불될 시 해당포워더가 출발지 국가에 대금 송금이나 환리스크 등을 보존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2%~5%를 부과하는 일종의 환가료개념임


컨테이너청소료(해상) CCF(Container Cleaning Fee)

 화물의 특성에 따라 적입 전 또는 적입 후에 컨테이너의 청소를 요구하게 되는 경우 부과하는 비용ㅇ CCC(Container Cleaning Charge) 라고도 한다.


중량초과할증료 WCS(Weight Surcharge)

 Over Weight Surcharge, Heavy Weight Surcharge, Container Overweight Surcharge로 표기 운항선복에 비해 선적물량이 Over하여 중량을 규제하여 선복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중량화물에 대한 할증료 선사별 상이하며 선사들의 추가 운임수익을 제고하기 위한 비용항목임


항만혼잡세(체선료) PCS(Port Congestion Surcharge)

 선박 혼잡으로 인해 선박이 채선되는 경우 선박회사나 정기선 운임동맹이 하주에게 부과하는 비용


자유장치기간 Free Time

 본선에서 양하된 화물을 CFS나 CY에서 보관료 없이 장치할 수 있는 일정한 허용기간을 말한다. 참고로 각 해운동맹들은 각자의 양하지에서 터미널 상황을 고려하여 free time 기간을 책정하고 있다.


체화료/체선료 Demurrage Charge

 체화료(화주거래): 화주가 허용된 시간(Free Time)을 초과하여 컨테이너를 CY에서 반출해 가지 않을 경우 선박회사에 지불해야 하는 비용. 

 체선료 : 적하 또는 양하일수가 양적된 정박기간(Laydays)을 초과하는 경우 용선자에게 지불하는 것으로 하루(1일) 또는 중량톤수 1톤당 얼마를 지불하는 비용


지체보관료 Over Storage Charge

 CFS 또는 CY로부터 화물 또는 컨테이너를 무료기간(free time)내에 반출해 가지 않으면 보관료를 징수한다. 또한 무료기간 종료 후 일정기간이 지나도 인수해 가지 않으면 선사는 공매 처리할 권리를 가지며, 창고료 부대비용 이체를 화주로부터 징수한다.


지체료 Detention Charge

 화주가 컨테이너 또는 트레일러를 대여받은 후 규정된 시간(Free Time)내에 반환을 못할 경우 벌과금으로 운송업체에게 지불해야하는 비용임.


(D/O 전송료) EDI Charge

 수입화물의 효율적인 반출을 위해 도입된 D/O 전산화 이후 Forwarder가 화주들을 대리하여 보세장치장에 D/O을 전송할 경우 발생하는 EDI 사용료(D/O 전송료) : 항공


취급수수료(포워더) H/C(Handling Charge)

 포워더가 선하증권(B/L)의 적하목록 전송(EDI), 화물도착통지(A/N), 해외 교신 등의 서비스에 발생되는 행정적인 비용 일부는 EDI Charge로 계산하는 곳도 있음.


화물취급수수료(대행업체)

 화주가 관세사, 운송사, 포워더 등의 대행업체를 통하여 화물인수에 따른 통관 및 운송등의 업무를 대행 요청할 경우 대행업체가 통관의뢰, D/O수령, 화물 인수, 내륙운송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수수료.


Shoring & Lashing 

 화물을 선적하여 운항중 선박의 동요 등으로 인하여 화물의 손해방지나 선작의 안전확보를 목적으로 화물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하는 적화고정작업(Securing)


Shoring Charge

 컨테이너에 적입된 화물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목재, 파이프등을 사용하여 화물의 위치를 고정하거나 구획하는 비용


Lashing Charge

 컨테이너에 적입된 화물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프, 와이어, 체인, 대철등을 사용하여 화물의 위치를 고정하는 비용


Drayage Charge

 LCL 컨테이너 화물을 분류, 보관하기 위하여 부두 또는 CY에서 배정된 CFS나 보세창고까지 보세운송하는 구간 운송비, 이송비용은 화주의 화물 용적 또는 중량에 따라 나눠서 청구되며, 인천항에서만 발생되는 항목임.


BOTOC(Busan Container Terminal Operation Company)

 부산컨테이너 부두 운영공사 : 자성대부두


PECT(Pusan East Container Terminal)

 신선대 부두


항만유지미(미국) HMF(Harbor Maintenance Fee)

 수입품이 미국의 항만을 이용하여 미국내로 수입될 때, 항만사용, 즉 반입승인, 내륙운송 승인 등에 따른 수수료를 징수하는 것을 뜻함. 수입화물 가격의 0.125%가 부과됨. 해상(OCEAN)만 한하여 적용


물품취급수수료(미국) MPF(Merchandise Processing Fee)

 미국이 수입물품의 통관 시 부과하는 물품취급수수료. 동 수수료는 물품의 원산지에 따라 차별적으로 부여 하고 있어 (NAFTA 회원국, 이스라엘, 최빈국, 캐리비안 경제개발국 등은 제외되고 있음), 예외국이 아닌 경우 비관세장벽으로 구분될 수 있음. 수수료는 송장금액의 0.21%로 송장 건당 최저 25달러에서 최고 485달러를 부과하고 있음. 해상, 항공 공히 적용


ACC(Alameda Corriodr Charge)

 Alameda Corridor 개통과 관련해 건설비용의 일부를 사용자가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Alameda Corridor 경유여부에 관계없이 LA항과 롱비치항을 경유하는 화물에 대한 ACC를 부과함. Alameda Corridor : LA롱비치항과 LA동부 철도터미널을 연결하는 화물전용 철도루트


파나마운하통과료 PCS(Panama Canal Surcharge

 파나마운하통과료



'Legend 개발자 > 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스마트 팩토리  (0) 2017.12.05
와디즈 FAQ  (0) 2017.09.25
Posted by 전설의아이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CREATE TABLE "TEAM3"."ACCOUNT" 
   (    "PROJECT_NUM" NUMBER(9,0NOT NULL ENABLE, 
    "BANK" VARCHAR2(20 BYTE), 
    "ACCOUNT_NUM" VARCHAR2(40 BYTE), 
     CONSTRAINT "IDX_ACCOUNT_PK" PRIMARY KEY ("PROJECT_NUM")
  USING INDEX PCTFREE 10 INITRANS MAXTRANS 255 COMPUTE STATISTICS NOCOMPRESS LOGGING
  TABLESPACE "USERS"  ENABLE, 
     CONSTRAINT "IDX_ACCOUNT_FK0" FOREIGN KEY ("PROJECT_NUM")
      REFERENCES "TEAM3"."PROJECT" ("PROJECT_NUM") ENABLE
   ) SEGMENT CREATION DEFERRED 
  PCTFREE 10 PCTUSED 40 INITRANS MAXTRANS 255 NOCOMPRESS LOGGING
  TABLESPACE "USERS" ;
 
   COMMENT ON COLUMN "TEAM3"."ACCOUNT"."PROJECT_NUM" IS '프로젝트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ACCOUNT"."BANK" IS '은행명';
   COMMENT ON COLUMN "TEAM3"."ACCOUNT"."ACCOUNT_NUM" IS '계좌번호';
   COMMENT ON TABLE "TEAM3"."ACCOUNT"  IS '계좌정보';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CREATE TABLE "TEAM3"."CATEGORY" 
   (    "CATEGORY_NUM" NUMBER(2,0NOT NULL ENABLE, 
    "NAME" VARCHAR2(20 BYTE), 
    "Depth" NUMBER(2,0), 
    "HIGH_NUM" NUMBER(2,0DEFAULT NOT NULL ENABLE, 
    "Order" NUMBER(2,0), 
    "USE_YN" CHAR(BYTE), 
     CONSTRAINT "IDX_CATEGORY_PK" PRIMARY KEY ("CATEGORY_NUM")
  USING INDEX PCTFREE 10 INITRANS MAXTRANS 255 COMPUTE STATISTICS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ENABLE
   ) SEGMENT CREATION IMMEDIATE 
  PCTFREE 10 PCTUSED 40 INITRANS MAXTRANS 255 NOCOMPRESS LOGGING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
 
   COMMENT ON COLUMN "TEAM3"."CATEGORY"."CATEGORY_NUM" IS '카테고리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CATEGORY"."NAME" IS '카테고리명';
   COMMENT ON COLUMN "TEAM3"."CATEGORY"."Depth" IS '차수';
   COMMENT ON COLUMN "TEAM3"."CATEGORY"."HIGH_NUM" IS '상위카테고리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CATEGORY"."Order" IS '순서';
   COMMENT ON COLUMN "TEAM3"."CATEGORY"."USE_YN" IS '사용여부';
   COMMENT ON TABLE "TEAM3"."CATEGORY"  IS '카테고리';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CREATE TABLE "TEAM3"."EXAM" 
   (    "NUM" NUMBER(9,0NOT NULL ENABLE, 
    "PROJECT_NUM" NUMBER(9,0), 
    "ID" VARCHAR2(30 BYTE) NOT NULL ENABLE, 
    "STEP" NUMBER(1,0DEFAULT 1
    "MEMBER_NAME" VARCHAR2(20 BYTE), 
    "REG_DATE" DATE, 
    "FILE_IDX" NUMBER(9,0), 
     CONSTRAINT "IDX_EXAM_PK" PRIMARY KEY ("NUM")
  USING INDEX PCTFREE 10 INITRANS MAXTRANS 255 COMPUTE STATISTICS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ENABLE, 
     CONSTRAINT "IDX_EXAM_FK0" FOREIGN KEY ("ID")
      REFERENCES "TEAM3"."MEMBER_DETAIL" ("ID") ENABLE, 
     CONSTRAINT "IDX_EXAM_FK1" FOREIGN KEY ("PROJECT_NUM")
      REFERENCES "TEAM3"."PROJECT" ("PROJECT_NUM") DISABLE, 
     CONSTRAINT "IDX_EXAM_FK2" FOREIGN KEY ("STEP")
      REFERENCES "TEAM3"."EXAM_STATE" ("STEP") ENABLE, 
     CONSTRAINT "IDX_EXAM_FK4" FOREIGN KEY ("NUM")
      REFERENCES "TEAM3"."PRE_EXAM" ("NUM") ENABLE
   ) SEGMENT CREATION IMMEDIATE 
  PCTFREE 10 PCTUSED 40 INITRANS MAXTRANS 255 NOCOMPRESS LOGGING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
 
   COMMENT ON COLUMN "TEAM3"."EXAM"."NUM" IS '심사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EXAM"."PROJECT_NUM" IS '프로젝트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EXAM"."ID" IS '회원아이디';
   COMMENT ON COLUMN "TEAM3"."EXAM"."STEP" IS '단계';
   COMMENT ON COLUMN "TEAM3"."EXAM"."MEMBER_NAME" IS '회원이름';
   COMMENT ON COLUMN "TEAM3"."EXAM"."REG_DATE" IS '심사등록일';
   COMMENT ON COLUMN "TEAM3"."EXAM"."FILE_IDX" IS '파일번호';
   COMMENT ON TABLE "TEAM3"."EXAM"  IS '심사';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REATE TABLE "TEAM3"."EXAM_ATTACHFILE" 
   (    "NUM" NUMBER(9,0NOT NULL ENABLE, 
    "FILE_IDX" NUMBER(9,0NOT NULL ENABLE, 
    "ORIGINE" VARCHAR2(100 BYTE), 
    "ATTACH" VARCHAR2(100 BYTE), 
    "FILE_SIZE" NUMBER(10,0), 
    "PATH" VARCHAR2(50 BYTE) DEFAULT '/upload'
    "FILE_TYPE" VARCHAR2(30 BYTE) DEFAULT 'image/png'
    "REG_DATE" DATE, 
     CONSTRAINT "IDX_EXAM_ATTACHFILE_PK" PRIMARY KEY ("NUM""FILE_IDX")
  USING INDEX PCTFREE 10 INITRANS MAXTRANS 255 COMPUTE STATISTICS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ENABLE
   ) SEGMENT CREATION IMMEDIATE 
  PCTFREE 10 PCTUSED 40 INITRANS MAXTRANS 255 NOCOMPRESS LOGGING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
 
   COMMENT ON COLUMN "TEAM3"."EXAM_ATTACHFILE"."NUM" IS '심사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EXAM_ATTACHFILE"."FILE_IDX" IS '파일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EXAM_ATTACHFILE"."ORIGINE" IS '업로드파일명';
   COMMENT ON COLUMN "TEAM3"."EXAM_ATTACHFILE"."ATTACH" IS '서버파일명';
   COMMENT ON COLUMN "TEAM3"."EXAM_ATTACHFILE"."FILE_SIZE" IS '파일사이즈';
   COMMENT ON COLUMN "TEAM3"."EXAM_ATTACHFILE"."PATH" IS '저장경로';
   COMMENT ON COLUMN "TEAM3"."EXAM_ATTACHFILE"."FILE_TYPE" IS '확장자';
   COMMENT ON COLUMN "TEAM3"."EXAM_ATTACHFILE"."REG_DATE" IS '등록일';
   COMMENT ON TABLE "TEAM3"."EXAM_ATTACHFILE"  IS '심사첨부파일';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CREATE TABLE "TEAM3"."EXAM_STATE" 
   (    "STEP" NUMBER(1,0NOT NULL ENABLE, 
    "STATE" VARCHAR2(30 BYTE), 
     CONSTRAINT "IDX_EXAM_STATE_PK" PRIMARY KEY ("STEP")
  USING INDEX PCTFREE 10 INITRANS MAXTRANS 255 COMPUTE STATISTICS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ENABLE
   ) SEGMENT CREATION IMMEDIATE 
  PCTFREE 10 PCTUSED 40 INITRANS MAXTRANS 255 NOCOMPRESS LOGGING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
 
   COMMENT ON COLUMN "TEAM3"."EXAM_STATE"."STEP" IS '단계';
   COMMENT ON COLUMN "TEAM3"."EXAM_STATE"."STATE" IS '상태';
   COMMENT ON TABLE "TEAM3"."EXAM_STATE"  IS '심사상태';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CREATE TABLE "TEAM3"."INVESTMENT" 
   (    "ID" VARCHAR2(30 BYTE) NOT NULL ENABLE, 
    "PROJECT_NUM" NUMBER(9,0NOT NULL ENABLE, 
    "REWARD_NUM" NUMBER(9,0NOT NULL ENABLE, 
    "TOTAL" NUMBER(10,0), 
    "ADDR" VARCHAR2(500 BYTE), 
    "CARD_NUM" VARCHAR2(30 BYTE), 
    "CARD_EXDATE" VARCHAR2(10 BYTE), 
    "CARD_PWD" VARCHAR2(BYTE), 
    "CARD_BIRTH" NUMBER(6,0), 
     CONSTRAINT "IDX_INVESTMENT_PK" PRIMARY KEY ("ID""PROJECT_NUM""REWARD_NUM")
  USING INDEX PCTFREE 10 INITRANS MAXTRANS 255 COMPUTE STATISTICS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ENABLE, 
     CONSTRAINT "IDX_INVESTMENT_FK0" FOREIGN KEY ("ID")
      REFERENCES "TEAM3"."MEMBER_DETAIL" ("ID") ENABLE, 
     CONSTRAINT "IDX_INVESTMENT_FK1" FOREIGN KEY ("PROJECT_NUM""REWARD_NUM")
      REFERENCES "TEAM3"."REWARD" ("PROJECT_NUM""REWARD_NUM") ENABLE
   ) SEGMENT CREATION IMMEDIATE 
  PCTFREE 10 PCTUSED 40 INITRANS MAXTRANS 255 NOCOMPRESS LOGGING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
 
   COMMENT ON COLUMN "TEAM3"."INVESTMENT"."ID" IS '회원아이디';
   COMMENT ON COLUMN "TEAM3"."INVESTMENT"."PROJECT_NUM" IS '프로젝트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INVESTMENT"."REWARD_NUM" IS '리워드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INVESTMENT"."TOTAL" IS '총금액';
   COMMENT ON COLUMN "TEAM3"."INVESTMENT"."ADDR" IS '배송지';
   COMMENT ON COLUMN "TEAM3"."INVESTMENT"."CARD_NUM" IS '카드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INVESTMENT"."CARD_EXDATE" IS '카드유효기간';
   COMMENT ON COLUMN "TEAM3"."INVESTMENT"."CARD_PWD" IS '비밀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INVESTMENT"."CARD_BIRTH" IS '생년월일';
   COMMENT ON TABLE "TEAM3"."INVESTMENT"  IS '투자';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REATE TABLE "TEAM3"."MEMBER_ATTACHFILE" 
   (    "ID" VARCHAR2(30 BYTE) NOT NULL ENABLE, 
    "FILE_IDX" NUMBER(9,0NOT NULL ENABLE, 
    "ORIGINE" VARCHAR2(100 BYTE), 
    "ATTACH" VARCHAR2(100 BYTE), 
    "FILE_SIZE" NUMBER(10,0), 
    "PATH" VARCHAR2(50 BYTE) DEFAULT '/upload'
    "FILE_TYPE" VARCHAR2(30 BYTE) DEFAULT 'image/png'
    "REG_DATE" DATE, 
     CONSTRAINT "IDX_MEMBER_ATTACHFILE_PK" PRIMARY KEY ("ID""FILE_IDX")
  USING INDEX PCTFREE 10 INITRANS MAXTRANS 255 COMPUTE STATISTICS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ENABLE
   ) SEGMENT CREATION IMMEDIATE 
  PCTFREE 10 PCTUSED 40 INITRANS MAXTRANS 255 NOCOMPRESS LOGGING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
 
   COMMENT ON COLUMN "TEAM3"."MEMBER_ATTACHFILE"."ID" IS '회원아이디';
   COMMENT ON COLUMN "TEAM3"."MEMBER_ATTACHFILE"."FILE_IDX" IS '파일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MEMBER_ATTACHFILE"."ORIGINE" IS '업로드파일명';
   COMMENT ON COLUMN "TEAM3"."MEMBER_ATTACHFILE"."ATTACH" IS '서버파일명';
   COMMENT ON COLUMN "TEAM3"."MEMBER_ATTACHFILE"."FILE_SIZE" IS '파일사이즈';
   COMMENT ON COLUMN "TEAM3"."MEMBER_ATTACHFILE"."PATH" IS '저장경로';
   COMMENT ON COLUMN "TEAM3"."MEMBER_ATTACHFILE"."FILE_TYPE" IS '확장자';
   COMMENT ON COLUMN "TEAM3"."MEMBER_ATTACHFILE"."REG_DATE" IS '등록일';
   COMMENT ON TABLE "TEAM3"."MEMBER_ATTACHFILE"  IS '회원첨부파일';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CREATE TABLE "TEAM3"."MEMBER_CLASS" 
   (    "CODE" NUMBER(2,0NOT NULL ENABLE, 
    "NAME" VARCHAR2(10 BYTE), 
     CONSTRAINT "IDX_MEMBER_CLASS_PK" PRIMARY KEY ("CODE")
  USING INDEX PCTFREE 10 INITRANS MAXTRANS 255 COMPUTE STATISTICS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ENABLE
   ) SEGMENT CREATION IMMEDIATE 
  PCTFREE 10 PCTUSED 40 INITRANS MAXTRANS 255 NOCOMPRESS LOGGING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
 
   COMMENT ON COLUMN "TEAM3"."MEMBER_CLASS"."CODE" IS '회원구분코드';
   COMMENT ON COLUMN "TEAM3"."MEMBER_CLASS"."NAME" IS '회원구분명';
   COMMENT ON TABLE "TEAM3"."MEMBER_CLASS"  IS '회원분류';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CREATE TABLE "TEAM3"."MEMBER_DETAIL" 
   (    "ID" VARCHAR2(30 BYTE) NOT NULL ENABLE, 
    "CODE" NUMBER(2,0DEFAULT 10 NOT NULL ENABLE, 
    "MEMBER_NAME" VARCHAR2(20 BYTE) NOT NULL ENABLE, 
    "COMPANY_NAME" VARCHAR2(40 BYTE), 
    "PWD" VARCHAR2(30 BYTE), 
    "BIRTH" DATE, 
    "TEL" VARCHAR2(20 BYTE), 
    "EMAIL" VARCHAR2(30 BYTE), 
    "ADDR" VARCHAR2(50 BYTE), 
     CONSTRAINT "IDX_MEMBER_DETAIL_PK" PRIMARY KEY ("ID")
  USING INDEX PCTFREE 10 INITRANS MAXTRANS 255 COMPUTE STATISTICS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ENABLE, 
     CONSTRAINT "IDX_MEMBER_DETAIL_FK0" FOREIGN KEY ("CODE")
      REFERENCES "TEAM3"."MEMBER_CLASS" ("CODE") ENABLE
   ) SEGMENT CREATION IMMEDIATE 
  PCTFREE 10 PCTUSED 40 INITRANS MAXTRANS 255 NOCOMPRESS LOGGING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
 
   COMMENT ON COLUMN "TEAM3"."MEMBER_DETAIL"."ID" IS '아이디';
   COMMENT ON COLUMN "TEAM3"."MEMBER_DETAIL"."CODE" IS '회원구분코드';
   COMMENT ON COLUMN "TEAM3"."MEMBER_DETAIL"."MEMBER_NAME" IS '이름';
   COMMENT ON COLUMN "TEAM3"."MEMBER_DETAIL"."COMPANY_NAME" IS '회사명';
   COMMENT ON COLUMN "TEAM3"."MEMBER_DETAIL"."PWD" IS '비밀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MEMBER_DETAIL"."BIRTH" IS '생년월일';
   COMMENT ON COLUMN "TEAM3"."MEMBER_DETAIL"."TEL" IS '핸드폰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MEMBER_DETAIL"."EMAIL" IS '이메일';
   COMMENT ON COLUMN "TEAM3"."MEMBER_DETAIL"."ADDR" IS '주소';
   COMMENT ON TABLE "TEAM3"."MEMBER_DETAIL"  IS '회원상세';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CREATE TABLE "TEAM3"."PRE_EXAM" 
   (    "NUM" NUMBER(5,0NOT NULL ENABLE, 
    "ID" VARCHAR2(30 BYTE) NOT NULL ENABLE, 
    "EX1" NUMBER(1,0), 
    "EX2" NUMBER(1,0), 
    "EX3" NUMBER(1,0), 
    "EX4" NUMBER(1,0), 
    "EX5" VARCHAR2(20 BYTE), 
    "EX6" VARCHAR2(500 BYTE), 
    "EX7" VARCHAR2(20 BYTE), 
    "EX8" VARCHAR2(20 BYTE), 
    "EX9" VARCHAR2(20 BYTE), 
    "EX10" VARCHAR2(30 BYTE), 
    "EX11" VARCHAR2(50 BYTE), 
    "EX12" VARCHAR2(50 BYTE), 
    "EX13" VARCHAR2(100 BYTE), 
    "EX14" VARCHAR2(100 BYTE), 
    "EX15" VARCHAR2(100 BYTE), 
     CONSTRAINT "IDX_PRE_EXAM_PK" PRIMARY KEY ("NUM")
  USING INDEX PCTFREE 10 INITRANS MAXTRANS 255 COMPUTE STATISTICS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ENABLE
   ) SEGMENT CREATION IMMEDIATE 
  PCTFREE 10 PCTUSED 40 INITRANS MAXTRANS 255 NOCOMPRESS LOGGING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
 
   COMMENT ON COLUMN "TEAM3"."PRE_EXAM"."NUM" IS '심사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PRE_EXAM"."ID" IS '아이디';
   COMMENT ON COLUMN "TEAM3"."PRE_EXAM"."EX1" IS '1번';
   COMMENT ON COLUMN "TEAM3"."PRE_EXAM"."EX2" IS '2번';
   COMMENT ON COLUMN "TEAM3"."PRE_EXAM"."EX3" IS '3번';
   COMMENT ON COLUMN "TEAM3"."PRE_EXAM"."EX4" IS '4번';
   COMMENT ON COLUMN "TEAM3"."PRE_EXAM"."EX5" IS '5번';
   COMMENT ON COLUMN "TEAM3"."PRE_EXAM"."EX6" IS '6번';
   COMMENT ON COLUMN "TEAM3"."PRE_EXAM"."EX7" IS '7번';
   COMMENT ON COLUMN "TEAM3"."PRE_EXAM"."EX8" IS '8번'
   COMMENT ON COLUMN "TEAM3"."PRE_EXAM"."EX9" IS '9번';
   COMMENT ON COLUMN "TEAM3"."PRE_EXAM"."EX10" IS '10번';
   COMMENT ON COLUMN "TEAM3"."PRE_EXAM"."EX11" IS '11번';
   COMMENT ON COLUMN "TEAM3"."PRE_EXAM"."EX12" IS '12번';
   COMMENT ON COLUMN "TEAM3"."PRE_EXAM"."EX13" IS '13번';
   COMMENT ON COLUMN "TEAM3"."PRE_EXAM"."EX14" IS '14번';
   COMMENT ON COLUMN "TEAM3"."PRE_EXAM"."EX15" IS '15번';
   COMMENT ON TABLE "TEAM3"."PRE_EXAM"  IS '예비심사';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CREATE TABLE "TEAM3"."PROJECT" 
   (    "PROJECT_NUM" NUMBER(9,0NOT NULL ENABLE, 
    "ID" VARCHAR2(30 BYTE), 
    "CATEGORY_NUM" NUMBER(2,0), 
    "TITLE" VARCHAR2(30 BYTE), 
    "REG_DATE" DATE DEFAULT SYSDATE, 
    "NAME" VARCHAR2(30 BYTE), 
    "INTRODUCTION" VARCHAR2(2048 BYTE), 
    "START_DATE" DATE, 
    "END_DATE" DATE, 
    "TARGET" NUMBER(10,0), 
    "COLLECTION" NUMBER(10,0), 
    "INVESTOR" NUMBER(10,0), 
    "USE_YN" CHAR(BYTE), 
    "FILE_IDX" NUMBER(9,0), 
     CONSTRAINT "IDX_PROJECT_PK" PRIMARY KEY ("PROJECT_NUM")
  USING INDEX PCTFREE 10 INITRANS MAXTRANS 255 COMPUTE STATISTICS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ENABLE, 
     CONSTRAINT "IDX_PROJECT_FK0" FOREIGN KEY ("CATEGORY_NUM")
      REFERENCES "TEAM3"."CATEGORY" ("CATEGORY_NUM") ENABLE, 
     CONSTRAINT "IDX_PROJECT_FK1" FOREIGN KEY ("ID")
      REFERENCES "TEAM3"."MEMBER_DETAIL" ("ID") ENABLE
   ) SEGMENT CREATION IMMEDIATE 
  PCTFREE 10 PCTUSED 40 INITRANS MAXTRANS 255 NOCOMPRESS LOGGING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PROJECT_NUM" IS '프로젝트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ID" IS '회원아이디';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CATEGORY_NUM" IS '카테고리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TITLE" IS '제목';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REG_DATE" IS '프로젝트등록일';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NAME" IS '프로젝트이름';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INTRODUCTION" IS '소개';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START_DATE" IS '시작일';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END_DATE" IS '마감일';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TARGET" IS '목표금액';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COLLECTION" IS '현재모금액';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INVESTOR" IS '투자인원';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USE_YN" IS '사용여부';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FILE_IDX" IS '파일번호';
   COMMENT ON TABLE "TEAM3"."PROJECT"  IS '프로젝트';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REATE TABLE "TEAM3"."PROJECT_ATTACHFILE" 
   (    "PROJECT_NUM" NUMBER(9,0NOT NULL ENABLE, 
    "FILE_IDX" NUMBER(9,0NOT NULL ENABLE, 
    "ORIGINE" VARCHAR2(100 BYTE), 
    "ATTACH" VARCHAR2(100 BYTE), 
    "FILE_SIZE" NUMBER(10,0), 
    "PATH" VARCHAR2(50 BYTE) DEFAULT '/upload'
    "FILE_TYPE" VARCHAR2(30 BYTE) DEFAULT 'image/png'
    "REG_DATE" DATE, 
     CONSTRAINT "IDX_PROJECT_ATTACHFILE_PK" PRIMARY KEY ("PROJECT_NUM""FILE_IDX")
  USING INDEX PCTFREE 10 INITRANS MAXTRANS 255 COMPUTE STATISTICS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ENABLE
   ) SEGMENT CREATION IMMEDIATE 
  PCTFREE 10 PCTUSED 40 INITRANS MAXTRANS 255 NOCOMPRESS LOGGING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_ATTACHFILE"."PROJECT_NUM" IS '프로젝트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_ATTACHFILE"."FILE_IDX" IS '파일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_ATTACHFILE"."ORIGINE" IS '업로드파일명';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_ATTACHFILE"."ATTACH" IS '서버파일명';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_ATTACHFILE"."FILE_SIZE" IS '파일사이즈';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_ATTACHFILE"."PATH" IS '저장경로';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_ATTACHFILE"."FILE_TYPE" IS '확장자';
   COMMENT ON COLUMN "TEAM3"."PROJECT_ATTACHFILE"."REG_DATE" IS '등록일';
   COMMENT ON TABLE "TEAM3"."PROJECT_ATTACHFILE"  IS '프로젝트첨부파일';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CREATE TABLE "TEAM3"."REPLY" 
   (    "RNO" NUMBER(9,0NOT NULL ENABLE, 
    "PROJECT_NUM" NUMBER(9,0NOT NULL ENABLE, 
    "REPLYER_ID" VARCHAR2(30 BYTE) NOT NULL ENABLE, 
    "REPLYER_NAME" VARCHAR2(20 BYTE) NOT NULL ENABLE, 
    "REPLYTEXT" VARCHAR2(1000 BYTE) NOT NULL ENABLE, 
    "REG_DATE" DATE DEFAULT SYSDATE NOT NULL ENABLE, 
    "UPDATE_DATE" DATE DEFAULT SYSDATE NOT NULL ENABLE
   ) SEGMENT CREATION IMMEDIATE 
  PCTFREE 10 PCTUSED 40 INITRANS MAXTRANS 255 NOCOMPRESS LOGGING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
 
   COMMENT ON COLUMN "TEAM3"."REPLY"."RNO" IS '댓글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REPLY"."PROJECT_NUM" IS '프로젝트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REPLY"."REPLYER_ID" IS '댓글작성자(ID)';
   COMMENT ON COLUMN "TEAM3"."REPLY"."REPLYER_NAME" IS '댓글작성자(이름)';
   COMMENT ON COLUMN "TEAM3"."REPLY"."REPLYTEXT" IS '댓글내용';
   COMMENT ON COLUMN "TEAM3"."REPLY"."REG_DATE" IS '댓글작성일자';
   COMMENT ON COLUMN "TEAM3"."REPLY"."UPDATE_DATE" IS '댓글수정일자';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CREATE TABLE "TEAM3"."REWARD" 
   (    "PROJECT_NUM" NUMBER(9,0NOT NULL ENABLE, 
    "REWARD_NUM" NUMBER(9,0NOT NULL ENABLE, 
    "NAME" VARCHAR2(30 BYTE) NOT NULL ENABLE, 
    "PRICE" NUMBER(10,0), 
    "ITEM" VARCHAR2(100 BYTE), 
    "MIN" NUMBER(10,0), 
    "COUNT" NUMBER(10,0), 
     CONSTRAINT "IDX_REWARD_PK" PRIMARY KEY ("PROJECT_NUM""REWARD_NUM")
  USING INDEX PCTFREE 10 INITRANS MAXTRANS 255 COMPUTE STATISTICS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ENABLE, 
     CONSTRAINT "IDX_REWARD_FK0" FOREIGN KEY ("PROJECT_NUM")
      REFERENCES "TEAM3"."PROJECT" ("PROJECT_NUM") ENABLE
   ) SEGMENT CREATION IMMEDIATE 
  PCTFREE 10 PCTUSED 40 INITRANS MAXTRANS 255 NOCOMPRESS LOGGING
  STORAGE(INITIAL 65536 NEXT 1048576 MINEXTENTS MAXEXTENTS 2147483645
  PCTINCREASE FREELISTS FREELIST GROUPS BUFFER_POOL DEFAULT FLASH_CACHE DEFAULT CELL_FLASH_CACHE DEFAULT)
  TABLESPACE "USERS" ;
 
   COMMENT ON COLUMN "TEAM3"."REWARD"."PROJECT_NUM" IS '프로젝트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REWARD"."REWARD_NUM" IS '리워드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REWARD"."NAME" IS '리워드이름';
   COMMENT ON COLUMN "TEAM3"."REWARD"."PRICE" IS '리워드금액';
   COMMENT ON COLUMN "TEAM3"."REWARD"."ITEM" IS '아이템';
   COMMENT ON COLUMN "TEAM3"."REWARD"."MIN" IS '최소금액';
   COMMENT ON COLUMN "TEAM3"."REWARD"."COUNT" IS '갯수';
   COMMENT ON TABLE "TEAM3"."REWARD"  IS '리워드';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CREATE TABLE "TEAM3"."STORY" 
   (    "PROJECT_NUM" NUMBER(9,0NOT NULL ENABLE, 
    "CONTENT" VARCHAR2(4000 BYTE), 
     CONSTRAINT "IDX_STORY_PK" PRIMARY KEY ("PROJECT_NUM")
  USING INDEX PCTFREE 10 INITRANS MAXTRANS 255 COMPUTE STATISTICS NOCOMPRESS LOGGING
  TABLESPACE "USERS"  ENABLE, 
     CONSTRAINT "IDX_STORY_FK0" FOREIGN KEY ("PROJECT_NUM")
      REFERENCES "TEAM3"."PROJECT" ("PROJECT_NUM") ENABLE
   ) SEGMENT CREATION DEFERRED 
  PCTFREE 10 PCTUSED 40 INITRANS MAXTRANS 255 NOCOMPRESS LOGGING
  TABLESPACE "USERS" ;
 
   COMMENT ON COLUMN "TEAM3"."STORY"."PROJECT_NUM" IS '프로젝트번호';
   COMMENT ON COLUMN "TEAM3"."STORY"."CONTENT" IS '내용';
   COMMENT ON TABLE "TEAM3"."STORY"  IS '스토리';
 
cs


'Legend 개발자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 시험  (0) 2017.06.23
No.019 PL/SQL 커서 [2017-06-14]  (0) 2017.06.19
No.018 PL/SQL 조건문 [2017-06-14]  (0) 2017.06.19
No.017 PL/SQL 쿼리 [2017-06-14]  (0) 2017.06.19
No.016 PL/SQL 변수 [2017-06-14]  (0) 2017.06.16
Posted by 전설의아이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package com.lat.beans;
 
import java.sql.Date;
 
public class Project_AttachFile {
    private long project_num;
    private long file_idx;
    private String origine;
    private String attach;
    private long file_size;
    private String path;
    private String file_type;
    private Date reg_date;
    
    public long getProject_num() {
        return project_num;
    }
    public void setProject_num(long project_num) {
        this.project_num = project_num;
    }
    public long getFile_idx() {
        return file_idx;
    }
    public void setFile_idx(long file_idx) {
        this.file_idx = file_idx;
    }
    public String getOrigine() {
        return origine;
    }
    public void setOrigine(String origine) {
        this.origine = origine;
    }
    public String getAttach() {
        return attach;
    }
    public void setAttach(String attach) {
        this.attach = attach;
    }
    public long getFile_size() {
        return file_size;
    }
    public void setFile_size(long file_size) {
        this.file_size = file_size;
    }
    public String getPath() {
        return path;
    }
    public void setPath(String path) {
        this.path = path;
    }
    public String getFile_type() {
        return file_type;
    }
    public void setFile_type(String file_type) {
        this.file_type = file_type;
    }
    public Date getReg_date() {
        return reg_date;
    }
    public void setReg_date(Date reg_date) {
        this.reg_date = reg_date;
    }
    
}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package com.lat.controller;
 
import java.io.File;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text.SimpleDateFormat;
import java.util.Date;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Map;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ethod;
import org.springframework.web.multipart.MultipartFile;
import org.springframework.web.multipart.MultipartHttpServletReques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odelAndView;
 
import com.lat.beans.Project_AttachFile;
import com.lat.dao.Project_AttachFileDAOService;
 
@Controller
public class Project_AttachFileController {
    @Autowired
    private Project_AttachFileDAOService project_AttachFileDAOService;
    
    @RequestMapping(value="/project_AttachFile/listProject_AttachFile")
    public ModelAndView list(HttpServletRequest request){
        List<Project_AttachFile> list=project_AttachFileDAOService.listProject_AttachFile();
        return new ModelAndView("project_AttachFile/listProject_AttachFile","list",list);
    }
    
    @RequestMapping(value="/project_AttachFile/insertProject_AttachFile")
    public ModelAndView insertReward(HttpServletRequest request){
        return new ModelAndView("project_AttachFile/insertProject_AttachFile");
    }
    
    @RequestMapping(value="/project_AttachFile/insert", method=RequestMethod.POST)
    public String listProject_AttachFile(HttpServletRequest request, MultipartHttpServletRequest multiRequest, Model model){
        Map map = new HashMap();
        try{
            map=uploadByMultipartHttpServletRequest(multiRequest, model);
        }catch(Exception e){
            System.out.println(e.toString());
        }
        String project_num=request.getParameter("project_num");
        String file_idx=request.getParameter("file_idx");
        SimpleDateFormat format = new SimpleDateFormat("yyyyMMddhhmmss");
        Date date = new Date();
        String attach=format.format(date).toString();
        Project_AttachFile project_AttachFile=new Project_AttachFile();
        project_AttachFile.setProject_num(Long.parseLong(project_num));
        project_AttachFile.setFile_idx(Long.parseLong(file_idx));
        project_AttachFile.setOrigine((String)map.get("fileName"));
        project_AttachFile.setAttach(attach);
        project_AttachFile.setFile_size((Long)map.get("filesize"));
        project_AttachFile.setPath((String)map.get("uploadPath"));
        project_AttachFile.setFile_type((String)map.get("filetype"));
        project_AttachFileDAOService.insertProject_AttachFile(project_AttachFile);
        return "redirect:listProject_AttachFile";
    }
    
    @RequestMapping(value="/project_AttachFile/detailProject_AttachFile", method=RequestMethod.GET)
    public ModelAndView detailProject_AttachFile(HttpServletRequest request){
        String project_num=request.getParameter("project_num");
        Project_AttachFile project_AttachFile=new Project_AttachFile();
        project_AttachFile.setProject_num(Long.parseLong(project_num));
        ModelAndView result = new ModelAndView();
        Project_AttachFile project_AttachFileRlt=project_AttachFileDAOService.detailProject_AttachFile(project_AttachFile);
        result.addObject("project_AttachFile", project_AttachFileRlt);
        result.setViewName("project_AttachFile/detailProject_AttachFile");
        return result;
    }
    
    @RequestMapping(value="/project_AttachFile/multipartHttpServletRequest")
    public Map uploadByMultipartHttpServletRequest(MultipartHttpServletRequest multiRequest, Model model) throws IOException {
        MultipartFile multipartFile = multiRequest.getFile("f");
        Map map=new HashMap();
                if(!multipartFile.isEmpty()){
            File file = new File("D:/uploadProject_AttachFile", multipartFile.getOriginalFilename());
            multipartFile.transferTo(file);
            map.put("title", multiRequest.getParameter("title"));
            map.put("fileName", multipartFile.getOriginalFilename());
            map.put("filesize", multipartFile.getSize());
            map.put("filetype", multipartFile.getContentType());
            map.put("uploadPath", file.getAbsolutePath());
            }
        return map;
    }
    
    @RequestMapping(value="/project_AttachFile/delete", method=RequestMethod.POST)
    public String deleteProject_AttachFile(HttpServletRequest request){
        String project_num=request.getParameter("num");
        Project_AttachFile project_AttachFile=new Project_AttachFile();
        project_AttachFile.setProject_num(Long.parseLong(project_num));
        project_AttachFileDAOService.deleteProject_AttachFile(project_AttachFile);
        return "redirect:listProject_AttachFile";
    }
}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package com.lat.dao;
 
import java.util.List;
 
import com.lat.beans.Project_AttachFile;
 
public interface Project_AttachFileDAO {
    public List<Project_AttachFile> listProject_AttachFile();
 
    public void insertProject_AttachFile(Project_AttachFile project_AttachFile);
 
    public Project_AttachFile detailProject_AttachFile(Project_AttachFile project_AttachFile);
 
    public void deleteProject_AttachFile(Project_AttachFile project_AttachFile);
 
}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package com.lat.dao;
 
import java.util.List;
 
import org.apache.ibatis.session.SqlSess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Repository;
 
import com.lat.beans.Project_AttachFile;
 
@Repository
public class Project_AttachFileDAOService implements Project_AttachFileDAO {
    @Autowired
    private SqlSession sqlSession;
 
    @Override
    public void insertProject_AttachFile(Project_AttachFile project_AttachFile)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Project_AttachFileMapper project_AttachFileMapper = sqlSession.getMapper(Project_AttachFileMapper.class);
        project_AttachFileMapper.insertProject_AttachFile(project_AttachFile);
    }
 
    @Override
    public List<Project_AttachFile> listProject_AttachFile()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Project_AttachFileMapper project_AttachFileMapper = sqlSession.getMapper(Project_AttachFileMapper.class);
        return project_AttachFileMapper.listProject_AttachFile();
    }
 
    @Override
    public Project_AttachFile detailProject_AttachFile(Project_AttachFile project_AttachFile)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Project_AttachFileMapper project_AttachFileMapper = sqlSession.getMapper(Project_AttachFileMapper.class);
        return project_AttachFileMapper.detailProject_AttachFile(project_AttachFile);
    }
 
    @Override
    public void deleteProject_AttachFile(Project_AttachFile project_AttachFile)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Project_AttachFileMapper project_AttachFileMapper = sqlSession.getMapper(Project_AttachFileMapper.class);
        project_AttachFileMapper.deleteProject_AttachFile(project_AttachFile);
    }
 
}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package com.lat.dao;
 
import java.util.List;
 
import com.lat.beans.Project_AttachFile;
 
public interface Project_AttachFileMapper {
    public List<Project_AttachFile> listProject_AttachFile();
 
    public void insertProject_AttachFile(Project_AttachFile project_AttachFile);
 
    public Project_AttachFile detailProject_AttachFile(Project_AttachFile project_AttachFile);
 
    public void deleteProject_AttachFile(Project_AttachFile project_AttachFile);
 
}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xml version="1.0" encoding="UTF-8"?>
<!DOCTYPE mapper PUBLIC "-//mybatis.org//DTD Mapper 3.0 // EN"
"http://mybatis.org/dtd/mybatis-3-mapper.dtd">
<mapper namespace="com.lat.dao.Project_AttachFileMapper">
    <resultMap type="Project_AttachFile" id="project_AttachFileMap">
        <result property="project_num" column="PROJECT_NUM"/>
        <result property="file_idx" column="FILE_IDX"/>
        <result property="origine" column="ORIGINE"/>
        <result property="attach" column="ATTACH"/>
        <result property="file_size" column="FILE_SIZE"/>
        <result property="path" column="PATH"/>
        <result property="file_type" column="FILE_TYPE"/>
        <result property="reg_date" column="REG_DATE"/>
    </resultMap>
    
    <select id="listProject_AttachFile" resultMap="project_AttachFileMap">
        select * from project_attachfile
    </select>
    
    <insert id="insertProject_AttachFile" parameterType="com.lat.beans.Project_AttachFile">
        insert into project_attachfile(project_num, file_idx, origine, attach, file_size, path, file_type, reg_date)
        values(#{project_num}, #{file_idx}, #{origine}, #{attach}, #{file_size}, #{path}, #{file_type}, sysdate)
    </insert>
    
    <select id="detailProject_AttachFile" parameterType="com.lat.beans.Project_AttachFile" resultType="com.lat.beans.Project_AttachFile">
        select * from project_attachfile
         where project_num=${project_num}
    </select>
    
    <delete id="deleteProject_AttachFile" parameterType="com.lat.beans.Project_AttachFile">
        delete from project_attachfile
         where project_num=${project_num}
    </delete>
</mapper>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 page import="com.lat.beans.Project_AttachFile" %>
<%@ page import="java.util.*" %>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detailProjectAttachFile</title>
</head>
<body>
Project_AttachFile상세보기
<%
    Project_AttachFile project_AttachFile=(Project_AttachFile)request.getAttribute("project_AttachFile");
    if(project_AttachFile==null) project_AttachFile=new Project_AttachFile();
%>
<table border="1">
    <tr>
        <th>project_num</th>
        <th>file_idx</th>
        <th>origine</th>
        <th>attach</th>
        <th>file_size</th>
        <th>path</th>
        <th>file_type</th>
        <th>reg_date</th>
    </tr>
    <tr>
        <td><%=project_AttachFile.getProject_num()%></td>
        <td><%=project_AttachFile.getFile_idx()%></td>
        <td><%=project_AttachFile.getOrigine()%></td>
        <td><%=project_AttachFile.getAttach()%></td>
        <td><%=project_AttachFile.getFile_size()%></td>
        <td><%=project_AttachFile.getPath()%></td>
        <td><%=project_AttachFile.getFile_type()%></td>
        <td><%=project_AttachFile.getReg_date()%></td>
    </tr>
    <tr>
        <td colspan="8">
            <form method="post" action="delete">
                <input type="hidden" name="project_num" value="<%=project_AttachFile.getProject_num() %>"/>
                <input type="submit" value="삭제"/>
            </form>
        </td>
    </tr>
</table>
</body>
</html>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 page import="com.lat.beans.Project_AttachFile" %>
<%@ page import="java.util.*" %>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insertProject_AttachFile</title>
</head>
<body>
<%
    Project_AttachFile project_AttachFile=(Project_AttachFile)request.getAttribute("project_AttachFile");
    if(project_AttachFile==null) project_AttachFile=new Project_AttachFile();
%>
<form method="post" enctype="multipart/form-data"
<if(project_AttachFile.getProject_num()==0){ %>
action="insert"
<% }else{ %>
action="update"
<% } %>
>
    <table border="1">
        <tr>
            <td>Project_num</td>
            <td>
            <if(project_AttachFile.getProject_num()==0){ %>
            <input type="text" name="project_num" value="<%=project_AttachFile.getProject_num() %>"/>
            <% }else{ %>
            <input type="hidden" name="project_num" value="<%=project_AttachFile.getProject_num() %>"/>
                <%=project_AttachFile.getProject_num() %>
            <% } %>
            </td>
        </tr>
        <tr>
            <td>file_idx</td>
            <td><input type="text" name="file_idx" value="<%=project_AttachFile.getFile_idx()==0?"":project_AttachFile.getFile_idx() %>"/></td>
        </tr>
        <tr>
            <td>파일</td>
            <td><input type="file" name="f"></td>
        </tr>
        <tr>
            <td>
            <%if(project_AttachFile.getProject_num()==0){ %>
                <input type="submit" value="등록"/>
            <%}else{ %>
                <input type="submit" value="수정"/>
            <%} %>
                <input type="reset" value="취소"/>
            </td>
            <td>
                <a href="listProject_AttachFile">
                    <input type="button" value="뒤로가기"/>
                </a>
            </td>
        </tr>
    </table>
</form>
</body>
</html>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 taglib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prefix="c"%>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listProject_AttachFile</title>
</head>
<body>
    <table border="1">
        <tr>
            <th>project_num</th>
            <th>file_idx</th>
            <th>origine</th>
            <th>attach</th>
            <th>file_size</th>
            <th>path</th>
            <th>file_type</th>
            <th>reg_date</th>
        </tr>
    <c:forEach var="project_AttachFile" items="${list}">
        <tr>
            <td>
                <a href="detailProject_AttachFile?project_num=${project_AttachFile.project_num}">
                    ${project_AttachFile.project_num}
                </a>
            </td>
            <td>${project_AttachFile.file_idx}</td>
            <td>${project_AttachFile.origine}</td>
            <td>${project_AttachFile.attach}</td>
            <td>${project_AttachFile.file_size}</td>
            <td>${project_AttachFile.path}</td>
            <td>${project_AttachFile.file_type}</td>
            <td>${project_AttachFile.reg_date}</td>
        </tr>
    </c:forEach>
        <tr>
            <td colspan="8">
                <a href="insertProject_AttachFile">
                    <input type="button" value="insert"/>
                </a>
            </td>
        </tr>
    </table>
</body>
</html>
 
cs






'Legend 개발자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UD-example(Member_AttachFile)  (0) 2017.11.03
CRUD-example(Exam_AttachFile)  (0) 2017.11.03
CRUD-example(investment)  (0) 2017.11.02
CRUD-example(reward)  (0) 2017.11.02
CRUD  (0) 2017.11.02
Posted by 전설의아이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package com.lat.beans;
 
import java.sql.Date;
 
public class Member_AttachFile {
    private String id;
    private long file_idx;
    private String origine;
    private String attach;
    private long file_size;
    private String path;
    private String file_type;
    private Date reg_date;
    
    public Stri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String id) {
        this.id = id;
    }
    public long getFile_idx() {
        return file_idx;
    }
    public void setFile_idx(long file_idx) {
        this.file_idx = file_idx;
    }
    public String getOrigine() {
        return origine;
    }
    public void setOrigine(String origine) {
        this.origine = origine;
    }
    public String getAttach() {
        return attach;
    }
    public void setAttach(String attach) {
        this.attach = attach;
    }
    public long getFile_size() {
        return file_size;
    }
    public void setFile_size(long file_size) {
        this.file_size = file_size;
    }
    public String getPath() {
        return path;
    }
    public void setPath(String path) {
        this.path = path;
    }
    public String getFile_type() {
        return file_type;
    }
    public void setFile_type(String file_type) {
        this.file_type = file_type;
    }
    public Date getReg_date() {
        return reg_date;
    }
    public void setReg_date(Date reg_date) {
        this.reg_date = reg_date;
    }
    
}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package com.lat.controller;
 
import java.io.File;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text.SimpleDateFormat;
import java.util.Date;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Map;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ethod;
import org.springframework.web.multipart.MultipartFile;
import org.springframework.web.multipart.MultipartHttpServletReques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odelAndView;
 
import com.lat.beans.Member_AttachFile;
import com.lat.dao.Member_AttachFileDAOService;
 
@Controller
public class Member_AttachFileController {
    @Autowired
    private Member_AttachFileDAOService member_AttachFileDAOService;
    
    @RequestMapping(value="/member_AttachFile/listMember_AttachFile")
    public ModelAndView list(HttpServletRequest request){
        List<Member_AttachFile> list=member_AttachFileDAOService.listMember_AttachFile();
        return new ModelAndView("member_AttachFile/listMember_AttachFile","list",list);
    }
    
    @RequestMapping(value="/member_AttachFile/insertMember_AttachFile")
    public ModelAndView insertReward(HttpServletRequest request){
        return new ModelAndView("member_AttachFile/insertMember_AttachFile");
    }
    
    @RequestMapping(value="/member_AttachFile/insert", method=RequestMethod.POST)
    public String listMember_AttachFile(HttpServletRequest request,MultipartHttpServletRequest multiRequest, Model model){
        Map map = new HashMap();
        try{
            map = uploadByMultipartHttpServletRequest(multiRequest , model);
        }catch(Exception e){
            System.out.println(e.toString());
        }
        String id=request.getParameter("id");
        String file_idx=request.getParameter("file_idx");
        SimpleDateFormat format = new SimpleDateFormat("yyyyMMddhhmmss");
        Date date = new Date();
        String attach=format.format(date).toString();
        Member_AttachFile member_AttachFile=new Member_AttachFile();
        member_AttachFile.setId(id);
        member_AttachFile.setFile_idx(Long.parseLong(file_idx));
        member_AttachFile.setOrigine((String)map.get("fileName"));
        member_AttachFile.setAttach(attach);
        member_AttachFile.setFile_size((Long)map.get("filesize"));
        member_AttachFile.setPath((String)map.get("uploadPath"));
        member_AttachFile.setFile_type((String)map.get("filetype"));
        member_AttachFileDAOService.insertMember_AttachFile(member_AttachFile);
        return "redirect:listMember_AttachFile";
    }
    
    @RequestMapping(value="/member_AttachFile/detailMember_AttachFile", method=RequestMethod.GET)
    public ModelAndView detailMember_AttachFile(HttpServletRequest request){
        String id=request.getParameter("num");
        Member_AttachFile member_AttachFile=new Member_AttachFile();
        member_AttachFile.setId(id);
        ModelAndView result = new ModelAndView();
        Member_AttachFile member_AttachFileRlt=member_AttachFileDAOService.detailMember_AttachFile(member_AttachFile);
        result.addObject("member_AttachFile", member_AttachFileRlt);
        result.setViewName("member_AttachFile/detailMember_AttachFile");
        return result;
    }
    
    @RequestMapping(value="/member_AttachFile/multipartHttpServletRequest", method=RequestMethod.POST)
    public Map uploadByMultipartHttpServletRequest(MultipartHttpServletRequest multiRequest, Model model) throws IOException {
        MultipartFile multipartFile = multiRequest.getFile("f");
        Map map=new HashMap();
                if(!multipartFile.isEmpty()){
            File file = new File("D:/uploadMember_AttachFile", multipartFile.getOriginalFilename());
            multipartFile.transferTo(file);
            map.put("title", multiRequest.getParameter("title"));
            map.put("fileName", multipartFile.getOriginalFilename());
            map.put("filesize", multipartFile.getSize());
            map.put("filetype", multipartFile.getContentType());
            map.put("uploadPath", file.getAbsolutePath());
            }
        return map;
    }
    
    @RequestMapping(value="/member_AttachFile/delete", method=RequestMethod.POST)
    public String deleteMember_AttachFile(HttpServletRequest request){
        String id=request.getParameter("id");
        Member_AttachFile member_AttachFile=new Member_AttachFile();
        member_AttachFile.setId(id);
        member_AttachFileDAOService.deleteMember_AttachFile(member_AttachFile);
        return "redirect:listMember_AttachFile";
    }
}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package com.lat.dao;
 
import java.util.List;
 
import com.lat.beans.Member_AttachFile;
 
public interface Member_AttachFileDAO {
    public List<Member_AttachFile> listMember_AttachFile();
 
    public void insertMember_AttachFile(Member_AttachFile member_AttachFile);
 
    public Member_AttachFile detailMember_AttachFile(Member_AttachFile member_AttachFile);
 
    public void deleteMember_AttachFile(Member_AttachFile member_AttachFile);
}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package com.lat.dao;
 
import java.util.List;
 
import org.apache.ibatis.session.SqlSess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Repository;
 
import com.lat.beans.Member_AttachFile;
 
@Repository
public class Member_AttachFileDAOService implements Member_AttachFileDAO {
    @Autowired
    private SqlSession sqlSession;
 
    @Override
    public void insertMember_AttachFile(Member_AttachFile member_AttachFile)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Member_AttachFileMapper member_AttachFileMapper = sqlSession.getMapper(Member_AttachFileMapper.class);
        member_AttachFileMapper.insertMember_AttachFile(member_AttachFile);
    }
 
    @Override
    public List<Member_AttachFile> listMember_AttachFile()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Member_AttachFileMapper member_AttachFileMapper = sqlSession.getMapper(Member_AttachFileMapper.class);
        return member_AttachFileMapper.listMember_AttachFile();
    }
 
    @Override
    public Member_AttachFile detailMember_AttachFile(Member_AttachFile member_AttachFile)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Member_AttachFileMapper member_AttachFileMapper = sqlSession.getMapper(Member_AttachFileMapper.class);
        return member_AttachFileMapper.detailMember_AttachFile(member_AttachFile);
    }
 
    @Override
    public void deleteMember_AttachFile(Member_AttachFile member_AttachFile)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Member_AttachFileMapper member_AttachFileMapper = sqlSession.getMapper(Member_AttachFileMapper.class);
        member_AttachFileMapper.deleteMember_AttachFile(member_AttachFile);
    }
}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package com.lat.dao;
 
import java.util.List;
 
import com.lat.beans.Member_AttachFile;
 
public interface Member_AttachFileMapper {
    public List<Member_AttachFile> listMember_AttachFile();
 
    public void insertMember_AttachFile(Member_AttachFile member_AttachFile);
 
    public Member_AttachFile detailMember_AttachFile(Member_AttachFile member_AttachFile);
 
    public void deleteMember_AttachFile(Member_AttachFile member_AttachFile);
}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xml version="1.0" encoding="UTF-8"?>
<!DOCTYPE mapper PUBLIC "-//mybatis.org//DTD Mapper 3.0 // EN"
"http://mybatis.org/dtd/mybatis-3-mapper.dtd">
<mapper namespace="com.lat.dao.Member_AttachFileMapper">
    <resultMap type="Member_AttachFile" id="member_AttachFileMap">
        <result property="id" column="ID"/>
        <result property="file_idx" column="FILE_IDX"/>
        <result property="origine" column="ORIGINE"/>
        <result property="attach" column="ATTACH"/>
        <result property="file_size" column="FILE_SIZE"/>
        <result property="path" column="PATH"/>
        <result property="file_type" column="FILE_TYPE"/>
        <result property="reg_date" column="REG_DATE"/>
    </resultMap>
    
    <select id="listMember_AttachFile" resultMap="member_AttachFileMap">
        select * from member_attachfile
    </select>
    
    <insert id="insertMember_AttachFile" parameterType="com.lat.beans.Member_AttachFile">
        insert into member_attachfile(id, file_idx, origine, attach, file_size, path, file_type, reg_date)
        values(#{id}, #{file_idx}, #{origine}, #{attach}, #{file_size}, #{path}, #{file_type}, sysdate)
    </insert>
    
    <select id="detailMember_AttachFile" parameterType="com.lat.beans.Member_AttachFile" resultType="com.lat.beans.Exam_AttachFile">
        select * from member_attachfile
         where id=${id}
    </select>
    
    <delete id="deleteMember_AttachFile" parameterType="com.lat.beans.Member_AttachFile">
        delete from member_attachfile
         where id=${id}
    </delete>
</mapper>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 page import="com.lat.beans.Member_AttachFile" %>
<%@ page import="java.util.*" %>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detailMemberAttachFile</title>
</head>
<body>
Member_AttachFile상세보기
<%
    Member_AttachFile member_AttachFile=(Member_AttachFile)request.getAttribute("member_AttachFile");
    if(member_AttachFile==null) member_AttachFile=new Member_AttachFile();
%>
<table border="1">
    <tr>
        <th>id</th>
        <th>file_idx</th>
        <th>origine</th>
        <th>attach</th>
        <th>file_size</th>
        <th>path</th>
        <th>file_type</th>
        <th>reg_date</th>
    </tr>
    <tr>
        <td><%=member_AttachFile.getId()%></td>
        <td><%=member_AttachFile.getFile_idx()%></td>
        <td><%=member_AttachFile.getOrigine()%></td>
        <td><%=member_AttachFile.getAttach()%></td>
        <td><%=member_AttachFile.getFile_size()%></td>
        <td><%=member_AttachFile.getPath()%></td>
        <td><%=member_AttachFile.getFile_type()%></td>
        <td><%=member_AttachFile.getReg_date()%></td>
    </tr>
    <tr>
        <td colspan="8">
            <form method="post" action="delete">
                <input type="hidden" name="id" value="<%=member_AttachFile.getId() %>"/>
                <input type="submit" value="삭제"/>
            </form>
        </td>
    </tr>
</table>
</body>
</html>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 page import="com.lat.beans.Member_AttachFile" %>
<%@ page import="java.util.*" %>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insertMember_AttachFile</title>
</head>
<body>
<%
    Member_AttachFile member_AttachFile=(Member_AttachFile)request.getAttribute("member_AttachFile");
    if(member_AttachFile==null) member_AttachFile=new Member_AttachFile();
%>
<form method="post" enctype="multipart/form-data"
<if(member_AttachFile.getId()==null){ %>
action="insert"
<% }else{ %>
action="update"
<% } %>
>
    <table border="1">
        <tr>
            <td>Id</td>
            <td>
            <if(member_AttachFile.getId()==null){ %>
            <input type="text" name="id" value="<%=member_AttachFile.getId() %>"/>
            <% }else{ %>
            <input type="hidden" name="id" value="<%=member_AttachFile.getId() %>"/>
                <%=member_AttachFile.getId() %>
            <% } %>
            </td>
        </tr>
        <tr>
            <td>file_idx</td>
            <td><input type="text" name="file_idx" value="<%=member_AttachFile.getFile_idx()==0?"":member_AttachFile.getFile_idx() %>"/></td>
        </tr>
        <tr>
            <td>파일</td>
            <td><input type="file" name="f"></td>
        </tr>
        <tr>
            <td>
            <%if(member_AttachFile.getId()==null){ %>
                <input type="submit" value="등록"/>
            <%}else{ %>
                <input type="submit" value="수정"/>
            <%} %>
                <input type="reset" value="취소"/>
            </td>
            <td>
                <a href="listMember_AttachFile">
                    <input type="button" value="뒤로가기"/>
                </a>
            </td>
        </tr>
    </table>
</form>
</body>
</html>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 taglib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prefix="c"%>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listMember_AttachFile</title>
</head>
<body>
    <table border="1">
        <tr>
            <th>id</th>
            <th>file_idx</th>
            <th>origine</th>
            <th>attach</th>
            <th>file_size</th>
            <th>path</th>
            <th>file_type</th>
            <th>reg_date</th>
        </tr>
    <c:forEach var="member_AttachFile" items="${list}">
        <tr>
            <td>
                <a href="detailMember_AttachFile?id=${member_AttachFile.id}">
                    ${member_AttachFile.id}
                </a>
            </td>
            <td>${member_AttachFile.file_idx}</td>
            <td>${member_AttachFile.origine}</td>
            <td>${member_AttachFile.attach}</td>
            <td>${member_AttachFile.file_size}</td>
            <td>${member_AttachFile.path}</td>
            <td>${member_AttachFile.file_type}</td>
            <td>${member_AttachFile.reg_date}</td>
        </tr>
    </c:forEach>
        <tr>
            <td colspan="8">
                <a href="insertMember_AttachFile">
                    <input type="button" value="insert"/>
                </a>
            </td>
        </tr>
    </table>
</body>
</html>
 
cs



'Legend 개발자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UD-example(Projectr_AttachFile)  (0) 2017.11.03
CRUD-example(Exam_AttachFile)  (0) 2017.11.03
CRUD-example(investment)  (0) 2017.11.02
CRUD-example(reward)  (0) 2017.11.02
CRUD  (0) 2017.11.02
Posted by 전설의아이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package com.lat.beans;
 
import java.sql.Date;
 
public class Exam_AttachFile {
    private long num;
    private long file_idx;
    private String origine;
    private String attach;
    private long file_size;
    private String path;
    private String file_type;
    private Date reg_date;
    
    public long getNum() {
        return num;
    }
    public void setNum(long num) {
        this.num = num;
    }
    public long getFile_idx() {
        return file_idx;
    }
    public void setFile_idx(long file_idx) {
        this.file_idx = file_idx;
    }
    public String getOrigine() {
        return origine;
    }
    public void setOrigine(String origine) {
        this.origine = origine;
    }
    public String getAttach() {
        return attach;
    }
    public void setAttach(String attach) {
        this.attach = attach;
    }
    public long getFile_size() {
        return file_size;
    }
    public void setFile_size(long file_size) {
        this.file_size = file_size;
    }
    public String getPath() {
        return path;
    }
    public void setPath(String path) {
        this.path = path;
    }
    public String getFile_type() {
        return file_type;
    }
    public void setFile_type(String file_type) {
        this.file_type = file_type;
    }
    public Date getReg_date() {
        return reg_date;
    }
    public void setReg_date(Date reg_date) {
        this.reg_date = reg_date;
    }
    
}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package com.lat.controller;
 
import java.io.File;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text.SimpleDateFormat;
import java.util.Date;
import java.util.HashMap;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Map;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ethod;
import org.springframework.web.multipart.MultipartFile;
import org.springframework.web.multipart.MultipartHttpServletRequest;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odelAndView;
 
import com.lat.beans.Exam_AttachFile;
import com.lat.dao.Exam_AttachFileDAOService;
 
@Controller
public class Exam_AttachFileController {
    @Autowired
    private Exam_AttachFileDAOService exam_AttachFileDAOService;
    
    @RequestMapping(value="/exam_AttachFile/listExam_AttachFile")
    public ModelAndView list(HttpServletRequest request){
        List<Exam_AttachFile> list=exam_AttachFileDAOService.listExam_AttachFile();
        return new ModelAndView("exam_AttachFile/listExam_AttachFile","list",list);
    }
    
    @RequestMapping(value="/exam_AttachFile/insertExam_AttachFile")
    public ModelAndView insertReward(HttpServletRequest request){
        return new ModelAndView("exam_AttachFile/insertExam_AttachFile");
    }
    
    @RequestMapping(value="/exam_AttachFile/insert", method=RequestMethod.POST)
    public String listExam_AttachFile(HttpServletRequest request,MultipartHttpServletRequest multiRequest , Model model){
        Map map = new HashMap();
        try{
            map= uploadByMultipartHttpServletRequest(multiRequest , model);
            }catch(Exception e){
                System.out.println(e.toString());
            }
        String num=request.getParameter("num");
        String file_idx=request.getParameter("file_idx");
        SimpleDateFormat format = new SimpleDateFormat("yyyyMMddhhmmss");
        Date date = new Date();
        String attach = format.format(date).toString();
        Exam_AttachFile exam_AttachFile=new Exam_AttachFile();
        exam_AttachFile.setNum(Long.parseLong(num));
        exam_AttachFile.setFile_idx(Long.parseLong(file_idx));
        exam_AttachFile.setOrigine((String)map.get("fileName"));
        exam_AttachFile.setAttach(attach);
        exam_AttachFile.setFile_size((Long)map.get("filesize"));
        exam_AttachFile.setPath((String)map.get("uploadPath"));
        exam_AttachFile.setFile_type((String)map.get("filetype"));
        exam_AttachFileDAOService.insertExam_AttachFile(exam_AttachFile);
        return "redirect:listExam_AttachFile";
    }
    
    @RequestMapping(value="/exam_AttachFile/detailExam_AttachFile", method=RequestMethod.GET)
    public ModelAndView detailExam_AttachFile(HttpServletRequest request){
        String num=request.getParameter("num");
        Exam_AttachFile exam_AttachFile=new Exam_AttachFile();
        exam_AttachFile.setNum(Long.parseLong(num));
        ModelAndView result = new ModelAndView();
        Exam_AttachFile exam_AttachFileRlt=exam_AttachFileDAOService.detailExam_AttachFile(exam_AttachFile);
        result.addObject("exam_AttachFile", exam_AttachFileRlt);
        result.setViewName("exam_AttachFile/detailExam_AttachFile");
        return result;
    } 
    
    @RequestMapping(value="/exam_AttachFile/multipartHttpServletRequest")
    public Map uploadByMultipartHttpServletRequest(MultipartHttpServletRequest multiRequest , Model model) throws IOException {
        MultipartFile multipartFile = multiRequest.getFile("f");
        Map map=new HashMap();
                if(!multipartFile.isEmpty()){
            File file = new File("D:/uploadExam_AttachFile", multipartFile.getOriginalFilename());
            multipartFile.transferTo(file);
            map.put("title", multiRequest.getParameter("title"));
            map.put("fileName", multipartFile.getOriginalFilename());
            map.put("filesize", multipartFile.getSize());
            map.put("filetype", multipartFile.getContentType());
            map.put("uploadPath", file.getAbsolutePath());
            }
        return map;
    }
    
    @RequestMapping(value="/exam_AttachFile/delete", method=RequestMethod.POST)
    public String deleteExam_AttachFile(HttpServletRequest request){
        String num=request.getParameter("num");
        Exam_AttachFile exam_AttachFile=new Exam_AttachFile();
        exam_AttachFile.setNum(Long.parseLong(num));
        exam_AttachFileDAOService.deleteExam_AttachFile(exam_AttachFile);
        return "redirect:listExam_AttachFile";
    }
}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package com.lat.dao;
 
import java.util.List;
 
import com.lat.beans.Exam_AttachFile;
 
public interface Exam_AttachFileDAO {
    public List<Exam_AttachFile> listExam_AttachFile();
 
    public void insertExam_AttachFile(Exam_AttachFile exam_AttachFile);
 
    public Exam_AttachFile detailExam_AttachFile(Exam_AttachFile exam_AttachFile);
 
    public void deleteExam_AttachFile(Exam_AttachFile exam_AttachFile);
 
}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package com.lat.dao;
 
import java.util.List;
 
import org.apache.ibatis.session.SqlSess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Repository;
 
import com.lat.beans.Exam_AttachFile;
 
@Repository
public class Exam_AttachFileDAOService implements Exam_AttachFileDAO {
    @Autowired
    private SqlSession sqlSession;
 
    @Override
    public void insertExam_AttachFile(Exam_AttachFile exam_AttachFile)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Exam_AttachFileMapper exam_AttachFileMapper = sqlSession.getMapper(Exam_AttachFileMapper.class);
        exam_AttachFileMapper.insertExam_AttachFile(exam_AttachFile);
    }
 
    @Override
    public List<Exam_AttachFile> listExam_AttachFile()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Exam_AttachFileMapper exam_AttachFileMapper = sqlSession.getMapper(Exam_AttachFileMapper.class);
        return exam_AttachFileMapper.listExam_AttachFile();
    }
 
    @Override
    public Exam_AttachFile detailExam_AttachFile(Exam_AttachFile exam_AttachFile)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Exam_AttachFileMapper exam_AttachFileMapper = sqlSession.getMapper(Exam_AttachFileMapper.class);
        return exam_AttachFileMapper.detailExam_AttachFile(exam_AttachFile);
    }
 
    @Override
    public void deleteExam_AttachFile(Exam_AttachFile exam_AttachFile)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Exam_AttachFileMapper exam_AttachFileMapper = sqlSession.getMapper(Exam_AttachFileMapper.class);
        exam_AttachFileMapper.deleteExam_AttachFile(exam_AttachFile);
    }
 
}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package com.lat.dao;
 
import java.util.List;
 
import com.lat.beans.Exam_AttachFile;
 
public interface Exam_AttachFileMapper {
    public List<Exam_AttachFile> listExam_AttachFile();
    public void insertExam_AttachFile(Exam_AttachFile exam_AttachFile);
    public Exam_AttachFile detailExam_AttachFile(Exam_AttachFile exam_AttachFile);
    public void deleteExam_AttachFile(Exam_AttachFile exam_AttachFile);
    
}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xml version="1.0" encoding="UTF-8"?>
<!DOCTYPE mapper PUBLIC "-//mybatis.org//DTD Mapper 3.0 // EN"
"http://mybatis.org/dtd/mybatis-3-mapper.dtd">
<mapper namespace="com.lat.dao.Exam_AttachFileMapper">
    <resultMap type="Exam_AttachFile" id="exam_AttachFileMap">
        <result property="num" column="NUM"/>
        <result property="file_idx" column="FILE_IDX"/>
        <result property="origine" column="ORIGINE"/>
        <result property="attach" column="ATTACH"/>
        <result property="file_size" column="FILE_SIZE"/>
        <result property="path" column="PATH"/>
        <result property="file_type" column="FILE_TYPE"/>
        <result property="reg_date" column="REG_DATE"/>
    </resultMap>
    
    <select id="listExam_AttachFile" resultMap="exam_AttachFileMap">
        select * from exam_attachfile
    </select>
    
    <insert id="insertExam_AttachFile" parameterType="com.lat.beans.Exam_AttachFile">
        insert into exam_attachfile(num, file_idx, origine, attach, file_size, path, file_type, reg_date)
        values(#{num}, #{file_idx}, #{origine}, #{attach}, #{file_size}, #{path}, #{file_type}, sysdate)
    </insert>
    
    <select id="detailExam_AttachFile" parameterType="com.lat.beans.Exam_AttachFile" resultType="com.lat.beans.Exam_AttachFile">
        select * from exam_attachfile
         where num=${num}
    </select>
    
    <delete id="deleteExam_AttachFile" parameterType="com.lat.beans.Exam_AttachFile">
        delete from exam_attachfile
         where num=${num}
    </delete>
</mapper>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 page import="com.lat.beans.Exam_AttachFile" %>
<%@ page import="java.util.*" %>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detailExamAttachFile</title>
</head>
<body>
Exam_AttachFile상세보기
<%
    Exam_AttachFile exam_AttachFile=(Exam_AttachFile)request.getAttribute("exam_AttachFile");
    if(exam_AttachFile==null) exam_AttachFile=new Exam_AttachFile();
%>
<table border="1">
    <tr>
        <th>num</th>
        <th>file_idx</th>
        <th>origine</th>
        <th>attach</th>
        <th>file_size</th>
        <th>path</th>
        <th>file_type</th>
        <th>reg_date</th>
    </tr>
    <tr>
        <td><%=exam_AttachFile.getNum()%></td>
        <td><%=exam_AttachFile.getFile_idx()%></td>
        <td><%=exam_AttachFile.getOrigine()%></td>
        <td><%=exam_AttachFile.getAttach()%></td>
        <td><%=exam_AttachFile.getFile_size()%></td>
        <td><%=exam_AttachFile.getPath()%></td>
        <td><%=exam_AttachFile.getFile_type()%></td>
        <td><%=exam_AttachFile.getReg_date()%></td>
    </tr>
    <tr>
        <td colspan="8">
            <form method="post" action="delete">
                <input type="hidden" name="num" value="<%=exam_AttachFile.getNum() %>"/>
                <input type="submit" value="삭제"/>
            </form>
        </td>
    </tr>
</table>
</body>
</html>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 page import="com.lat.beans.Exam_AttachFile" %>
<%@ page import="java.util.*" %>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insertExam_AttachFile</title>
</head>
<body>
<%
    Exam_AttachFile exam_AttachFile=(Exam_AttachFile)request.getAttribute("exam_AttachFile");
    if(exam_AttachFile==null) exam_AttachFile=new Exam_AttachFile();
%>
<form method="post" enctype="multipart/form-data"
<if(exam_AttachFile.getNum()==0){ %>
action="insert"
<% }else{ %>
action="update"
<% } %>
>
    <table border="1">
        <tr>
            <td>Num</td>
            <td>
            <if(exam_AttachFile.getNum()==0){ %>
            <input type="text" name="num" value="<%=exam_AttachFile.getNum() %>"/>
            <% }else{ %>
            <input type="hidden" name="num" value="<%=exam_AttachFile.getNum() %>"/>
                <%=exam_AttachFile.getNum() %>
            <% } %>
            </td>
        </tr>
        <tr>
            <td>file_idx</td>
            <td><input type="text" name="file_idx" value="<%=exam_AttachFile.getFile_idx()==0?"":exam_AttachFile.getFile_idx() %>"/></td>
        </tr>
        <tr>
            <td>파일</td>
            <td><input type="file" name="f"></td>
        </tr>
        <tr>
            <td>
            <%if(exam_AttachFile.getNum()==0){ %>
                <input type="submit" value="등록"/>
            <%}else{ %>
                <input type="submit" value="수정"/>
            <%} %>
                <input type="reset" value="취소"/>
            </td>
            <td>
                <a href="listExam_AttachFile">
                    <input type="button" value="뒤로가기"/>
                </a>
            </td>
        </tr>
    </table>
</form>
</body>
</html>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 taglib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prefix="c"%>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listExam_AttachFile</title>
</head>
<body>
    <table border="1">
        <tr>
            <th>num</th>
            <th>file_idx</th>
            <th>origine</th>
            <th>attach</th>
            <th>file_size</th>
            <th>path</th>
            <th>file_type</th>
            <th>reg_date</th>
        </tr>
    <c:forEach var="exam_AttachFile" items="${list}">
        <tr>
            <td>
                <a href="detailExam_AttachFile?num=${exam_AttachFile.num}">
                    ${exam_AttachFile.num}
                </a>
            </td>
            <td>${exam_AttachFile.file_idx}</td>
            <td>${exam_AttachFile.origine}</td>
            <td>${exam_AttachFile.attach}</td>
            <td>${exam_AttachFile.file_size}</td>
            <td>${exam_AttachFile.path}</td>
            <td>${exam_AttachFile.file_type}</td>
            <td>${exam_AttachFile.reg_date}</td>
        </tr>
    </c:forEach>
        <tr>
            <td colspan="8">
                <a href="insertExam_AttachFile">
                    <input type="button" value="insert"/>
                </a>
            </td>
        </tr>
    </table>
</body>
</html>
 
cs


'Legend 개발자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UD-example(Projectr_AttachFile)  (0) 2017.11.03
CRUD-example(Member_AttachFile)  (0) 2017.11.03
CRUD-example(investment)  (0) 2017.11.02
CRUD-example(reward)  (0) 2017.11.02
CRUD  (0) 2017.11.02
Posted by 전설의아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