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이론
초기가족치료
○가족을 하나의 단위로 봄
○가족관계에 초점을 둠
○제시된 증상의 감소에 도움을 줌
○다양한 모델: 보웬, 전략, 구조, 경험적
개인치료vs가족치료
문제의 초점과 시각 - 관계
내담자에 대한 시각 - 협력적 관계
인과관게를 보는 시각 - 순환적 원인론
문제의 진단과 해결과정 - Both.and
오늘 수업시간에 가족치료 프린트물중
상담자 면접 정보기록지 A, B, C에 대해서 공부하였다.
A는 평소 우리가 사용하는 신상파악하는 기본적인 기록지였다
B는 과거를 회상하게 해주고 아버지와 어머니에 대해서 자세히 알수있는 용지였다. 개개인의 문제를 구체화 시키는 다수의 기타라는 항목을 통해서, 상담자가 사용하는 양식에 따라 내담자의 환경정보를 얻는 양이 다르다는 것이다. 교수님은 B는 가족치료적인 것 같았지만 가족치료적인 용지는 아니라고 하셨다.
C는 가족치료사용 용지였다. 이것은 주관적이기 때문에 사회복지사는 누가 이 문서를 작성했는 지 않겹치게 잘 기억해야한다. 한 가정에서 아빠가 쓰는 답안지랑 아들이 쓰는 답안지는 많이 차이가 날 것이다.
'학교(3학년1학기) > 가족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론들 (0) | 2014.04.04 |
---|---|
3. 초기 가족치료의 이론적 기초 (0) | 2014.03.10 |
수업 - 3월 5일 (수) (0) | 2014.03.05 |
2. 한국 가족치료의 발달 (0) | 2014.02.24 |
1. 서구 가족치료의 발달 (0) | 2014.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