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지식이란
믿음 또는 신념, 합의된 사실, 경험적 사실, 전통, 권위, 경험, 과학적 방법
2.인간이 가질수 있는 탐구의 오류
①불완전한 관찰 ②과도한 일반화 ③선별적인 관찰 ④꾸며낸 정보 ⑤비논리적인 이유 ⑥개인 주관적인 이해 ⑦성급한 탐구의 종료 ⑧신비화
3.과학적 탐구의 역사
과학 vs 사회과학
사회과학이 과학적 방법처럼 연구가 가능할까?
사회과학은 사회현상이나 사람을 연구주제로 하기 때문에
물이 100씨가 되면 끓는다
사람은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안된다.
세심한 관찰의 시간과 실험 비교를 통해서
교수님은 된다고 주장했다.
August Comte(1798-1857)
주장: 사회과학도 하나의 학문분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방법론으로 연구를 해야한다.
신학적인 단계(~1300): 모든 사물에는 신이 있다.
형이상학적 단계(1300~1800):우리가 가진이성 중에 추상적인것으로 사회현상을 설명했다.
과학적인 단계(1800~): 사회과학도 하나의 학문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방법을 써야한다.
과학실증주의:
과학적 정신구조의 출현과 함께 이러한 추구는 단념되고 동력인(efficient cause)과 불변 법칙의 추구로 대치된다. 꽁트는 법칙을 기술한 과학으로서의 학문을 기대했다. 그러나 포퍼(Popper)가 지적한 바에 의하면, 꽁트는 법칙의 개념과 추세의 개념을 혼동하고 있었다. 더욱이 인간성을 좌우하는 기본적인 법칙이 심리학적이라는 신념 때문에 사회생활을 직접 관찰하지 못했다.
꽁트가 생시몽(Saint-Simon)으로부터 받은 것은 과학적 방법을 체계화하려는 이상뿐만이 아니었다. 과학적 방법의 보급이 사회생활의 합리적인 형태의 기초가 된다는 신념 또한 포함되어 있었다. 이 새로운 생활양식을 지지하는 것이 꽁트가 설립한 실증주의 교회(positivist church)의 임무였다. 이 교회야말로 그가 그리고 있었던 이상사회에서 도덕 교육을 감독하기도 하고 공공의 합리성을 보증한다고 생각하였다.
실증주의라는 용어는 또 이와는 완전히 다른 학설에서도 사용되어 왔다. 그것은 논리실증주의자, 또는 논리경험주의자로서 알려져 있는 철학자 일파의 학설이다. 이 학설의 중심적인 교의는 어떤 언명의 의미는 그 언명의 검증방법에 의해서 주어진다는 명제에 있다. 그 결과, 검증 불가능한 (혹은 반증이 불가능한) 언명은 무의미하다고 생각되며, 전통적인 형이상학과 신학의 언명도 이 부류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 견해에 의하면 논리학과 수학의 단언은 사실에 기초한 내용은 아니더라도 의미가 있는 과학적 명제가 된다. 이과학철학의 기본이 되는 언어이론은 영미철학의 언어분석적 전통을 수립했다. 그러나 그것이 과학에 대해 적용되기에는 시간이 걸렸다. 그 반항된 형태가 포퍼의 반증논리이다. 그러나 그와 프랑크푸르트 학파 사이의 실증주의 논쟁은 유명한 싸움이다.
실증주의의 여러 가지 용법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의미의 핵심은 두 가지이다. 즉 한편으로는 자연과학을 인간의 지식의 모범으로 생각하는 것이 있고, 또 한편으로는 과학의 성격에 대하여 어떤 특별한 견해를 가지는 것이 있다. 그러나 이 과학론의 문제에 대해서 조차도 여러 실증주의자들의 견해는 극히 다양하며, 설명이 추가되지 않는 한 확실하지 않은 것이다. 그러나 실증주의는 과학의 실재론적 철학의 성립과 해석학의 대두, 마르크스주의 이론때문에 공격을 받고 인기를 상실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실증주의 [positivism] (사회학사전, 2000.10.30, 사회문화연구소)
Emile Durkheim(1858-1917)
사회통합 정도가 높은경우 다른사람의 이해서 사람들이자살을 하고
이기적인 자살은 천주교나 개신교에 자살율이 높다.
자살론:
프랑스의 사회학자 '에밀 뒤르켐'(Emile Durkheim, 1858~1917)은 1897년에 발표한 저서 <자살론(Le suicide)>에서 자살을 '사회학적으로' 이야기한다.
뒤르켐에 따른다면 자살은 엄연히 사회 현상이며 자살의 원인 역시 사회적이다. 뒤르켐은 자살이 사회적 현상이라는 것을 보이기 위하여 여러 가지 통계 자료를 조사했다. 그 결과 사람들이 생각하던 것과는 달리, 정신병이나 신경쇠약증 같은 것이 자살과 확정적인 관계가 없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유전적 요소, 개인의 체질, 밤낮의 길이, 계절에 따른 온도의 영향 등, 다양한 신체적, 물질적 조건들이 자살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것을 밝혔다.
뒤르켐은 자살의 유형을 사회통합도에 따라 '이기적 자살'과 '이타적 자살'로 구분하였고, 사회적 규제에 따라 '아노미(anomie)적 자살'과 '숙명적 자살'로 구분하였다.
'이기적 자살'은 개인이 사회에 결합하는 양식(樣式)에서 과도한 개인화를 보일 경우, 즉 개인과 사회의 결합력이 약할 때의 자살이다. 일상적인 현실과 좀처럼 타협 또는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자살이 이 경우에 해당한다.
'이타적 자살'은 그 반대로 과도한 집단화를 보일 경우, 즉 사회적 의무감이 지나치게 강할 때의 자살이다. 예컨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전투기를 몰고 미군 군함으로 돌진했던 일본군 자살특공대(가미가제)가 있다.
'아노미적 자살'은 사회정세의 변화라든가 사회환경의 차이 또는 도덕적 통제의 결여에 의한 자살이다. 아노미(anomie)란 '행위를 규제하는 사회 공통의 가치나 도덕적 규범이 상실된 혼돈 상태'를 뜻하는 개념으로 뒤르켐이 사용한 용어이다. 지금까지 당연하게 여겨지던 가치관이나 사회 규범이 혼란 상태에 빠졌을 때 자주 일어난다.
'숙명적 자살'은 사회가 과도하에 욕망을 억압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으로 절망 속의 자살을 낳는데, 노예의 자살이 대표적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뒤르켐의 자살론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4.과학이란 무엇이냐?
관찰, 실험, 비교
통계로할수있는것: 서술, 이해, 설명, 추정
과학의 특징 나에게 증거를 보여라, 증거를 보이지 않으면 믿지 않겠다.
show me the number
보편 타당한 증거
이론, 논리적, 원인과 결과가 있다.
변수의 언어이다, 패턴을 발견하는 것이다.
5.
이론: 변수들의 기초하는 것
변수: 속성들의 논리적인 집합체
속성: 한대상을 다른대상과 구별해낼수있는 특성
내가 사람들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내가 사람들을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종속변수: 다른변수로부터 영향을 받는 변수
독립변수: 다른변수에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
교육수준x이 높으면 소득수준y도 높다.
정적인관계 y=x
아무런패턴이 없으면 y≠x
최악의 관계 y=-x
correlation≠cause-effect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는 완전히 다른것이다.
①시간적으로 원인이 결과를 앞서야한다.
②숫자적으로 볼때 밀접한관계가 있어야 한다.
③제3의 변수에 의해서 관계가 설명되어서는 안된다.
사회과학이 과학적으로 하는 방법이 어려운일은 통제할 변수가 너무 많다.
so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한다. 수업에서는 실증주의를 다룬다.
6.변수에대한 개념정의를 하고 어떻게 측정을 할 것인가에 대해서 고민해야한다.
어떻게 측정하는냐에따라서 분석하는 방법이다르다.
총망라적: 문항수가 부족하지 않고 충분한 경우
상호배타적
두 사건이 상호 배타적이라는 것은 두 사건 중 한 사건이 일어날 확률[P(A or B)]이 두 사건이 각각 일어날 단순 확률[P(A)+P(B)]과 같다는 말이다. 또는 두 사건이 동시에 일어날 확률이 0(영)이 되면 두 사건은 상호 배타적(mutually exclusive)이다. P(A or B)=P(A)+P(B)-P(A and B)여기서 P(A and B)=0이므로P(A or B)=P(A)+P(B) 이 된다. 예를 들면 동전의 앞뒤면이다. a나 b중 하나라도 일어날 확률을 1이라고 할 때, a가 일어날 확률과 b가 일어날 확률의 합이 1이 되는 것이 상호배타적이다. 단연히 a와 b가 동시에 일어날 확률은 제로가 된다.
7.신뢰도와 타당도
신뢰도(reliability)
한 자료수집 방법이 다른 연구자, 또는 다른 시기에 유사한 상황 속에서 사용될 때, 일관되고 재현될 수 있는 결과를 가져올 정도를 말한다. 태도의 측정에서 척도의 신뢰도를 높여 주기 위한 많은 노력이 시도되었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다른 시기에 같은 도구를 가지고 같은 대상에 대해 두 번 측정), 복합적 방법(같은 도구의 다른 부분을 같은 대상에 적용하는 것), 그리고 반분법 신뢰도(대상의 반이 대표가 되고 나머지는 그대로 남겨놓고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비교하는 것) 등이 이에 포함된다.
사회조사연구에서 표준화된 질문의 사용은 수집된 자료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전제조건이다. 참여관찰과 같은 연구형태에서 자료의 신뢰도의 문제가 일어난다. 왜냐 하면, 비체계적이며 개인적인 자료수집 방법을 사용할 때 검사(check)의 부족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자료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다른 것이다. 높은 신뢰도는 타당도에 관한 어떠한 정보도 제시하지 않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신뢰도[reliability] (사회학사전, 2000.10.30, 사회문화연구소)
타당도(validity)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 그것이 대표하고 측정하기를 원하는 현상을 얼마나 대표하고 측정하고 있는가의 정도를 말한다. 타당도는 사회조사에서 기본적인 문제이다. 특정한 개념을 나타내도록 고안된 지표가 실제로 만족스럽게 되고 있는가? 조사연구에서 만들어진 측정도구가 조사자가 측정하고자 하는 속성에 대한 진정한 대표치인가? 예를 들어, 직업은 사회계급에 의해 사람들을 분류하는 데 있어서 만족스러운 대표적 척도인가? 척도의 신뢰도가 아무리 높다고 할지라도 관심의 대상인 특징을 실제로 측정하고 있는가?
타당도는 캠벨(Campbell)과 스탠리(Stanley)에 의해 정의된 두 가지의 유형이 있다. 내적 타당도는 사용된 방법이 특정한 결과에 차이를 가져오는가, 가져오지 않는가 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외적 타당도는 연구의 일반화에 관한 것이다.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확증하기 위한 몇 가지의 방법이 있다.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는 내용에 대한 특정 영역이 어떻게 적절하게 표집되고 있는가에 대한 판단을 하는 것이다. 액면타당도(face validity)는 도구가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어느 정도 측정하고 있는가를 판단한다. 구성타당도(construct validity)는 측정과 측정에 기초가 되는 이론적 조건을 잇는 정도에 관심을 갖는다. 구성타당도는 사회학자들의 큰 관심사 중의 하나이다. 어떠한 단일한 절차도 그것을 충족할 수 없으며, 몇 가지의 측정에서 얻은 증거를 결합하여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타당도 [validity] (사회학사전, 2000.10.30, 사회문화연구소)
8.측정의 수준
범주형변수
명목변수(Nominal):총망라적이고 상호배타적(비슷한것들이 한곳에 묶여있을 때)인 속성으로만 이루어진 변수
수위변수, 서열변수(Ordinal):
연속형변수
등간(Interval): 범주를 정하는 것 0이없다. 나누기를 할 수가 없다.
비율(Ratio): 0이 있다. 나누기가 가능하다.
비율로 조사를하면 등간으로 갈수가 있지만 등간은 비율로 갈 수가 없다.
'학교(3학년1학기) > 사회복지자료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업 - 3월 25일 (화) (0) | 2014.03.25 |
---|---|
수업 3월 20일 (0) | 2014.03.20 |
수업 - 3월 11일, 13일 (화) (목) (0) | 2014.03.11 |
1. 사회과학 연구의 기초 (0) | 2014.03.10 |
사회복지자료분석 - 실습계획표 (0) | 2014.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