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5. CSS3 좌표계

 

1. CSS3 좌표계

 1) 레이아웃 위치 개념

 ● 절대 좌표(position : absolute) : 엘리먼트가 브라우저의 페이지 안에 표시되는 방법을 지정

 p {position : relative}

 ● 상대 좌표(position : relative) : 엘리먼트가 브라우저의 페이지 안에 표시되는 방법을 지정

 p { position : relative; }

 

 2) CSS3단위

 단위

의미 

Px 

pixel의 줄임말로 컴퓨터 화면의 한 점 크기를 나타냄

(웹 브라우저의 기본 폰트 크기 : 16픽셀) 

비율을 의미(100% : 기준크기) 

in 

인치 

cm 

센티미터 

mm 

밀리미터 

Pt 

point의 줄임말로 보통 글꼴의 단위로 사용한다. 

em 

1em은 현재 글꼴의 크기를 나타낸다.

(예 - 2em은 현재 글꼴의 2배 크기가 된다.)

 

 3) 절대 좌표 실습

 ● 절대 좌표의 실습 예제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title>절대 좌표 실습</title>

 <style type=text/css">

 h2{

 position:absolute;

 left:100px;

 top:50px;

 }

 <style>

 </head>

 <body>

 <p>일반적인 텍스트</p>

 <h2>절대좌표를 적용한 텍스트</h2>

 </body>

 </html>

 

 

 4) 상대 좌표 실습

 ● 상대 좌표의 실습 예제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title>상대 좌표 실습</title>

 <style type=text/css">

 .pos_left {

 position:relative;

 left:-100px; 

 }

 .pos_right {

 position:relative;

 left:+100px;

 }

 <style>

 </head>

 <body>

 <h2>원래 위치!!!</h2>

 <h2 class="pos_left">원래위치에서 왼쪽으로 -100px 만큼 이동!!!</h2>

 <h2 class="pos_right">원래위치에서 오른쪽으로 +100px 만큼 이동!!!</h2>

 </body>

 </html>

 

2. CSS3 레이아웃 사용법

 1) float 사용법

 ● float 속성 : display와 position과 같이 웹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구성할 때 많이 사용하는 속성

 - 이미지와 텍스트를 쉽게 배치하기 위해 만들어짐

 - float가 선언된 엘리먼트는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만 위치할 수 있고 위아래는 불가능

 - float 이후에 오는 엘리먼트는 그 주변을 채워나가며 표시됨

 - 이미지와 텍스트를 활용한 레이아웃에서 많이 사용

 - 화면 크기에 따라 동적으로 변할 수 있는 레이아웃 작업에 많이 이용

 p{ float : 속성 값; }

 속성 값

내용 

inherit 

부모(상위)부터 상속받음 

left 

요소를 왼쪽 방향으로 float된 블록 박스로 설정 

right 

요소를 오른쪽 방향으로 float된 블록 박스로 설정 

none 

요소를 float 하지 않음 

 

 2) float을 활용한 실습

 ● float을 홀용한 실습 예제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title>상대 좌표 실습</title>

 <style type=text/css">

 .box_a {float:left; width:100px; height:50px}

 .box_b {float:right; width:100px; height:50px}

 .box_c {margin:0px auto; width:100px; height:50px}

 <style>

 </head>

 <body>

 <div class="box_a">박스에 들어가는 내용입니다</div>

 <div class="box_b">박스에 들어가는 내용입니다</div>

 <div class="box_c">박스에 들어가는 내용입니다</div>

 </body>

 </html>

 

 3) clear 사용법

 ● clear 속성 :float 영향을 받는 엘리먼트를 강제로 취소시킬지 아닐지 지정하는 것

 - 더 이상 float을 쓰지 않겠다는 것을 의미함

 p { clear : 속성 값; }

 속성 값

내 용 

 inherit 

부모(상위)부터 상속받음 

left 

왼쪽에서 float된 컨텐츠 지정 clear 

right 

오른쪽에서 float된 컨텐츠 지정 clear 

both 

왼쪽 오른쪽 모두 float된 컨텐츠 지정 clear 

none 

Float에서 설정된 값을 clear 하지 않음

 

 4) clear를 활용한 실습

 ● clear를 활용한 실습 예제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title>상대 좌표 실습</title>

 <style type=text/css">

 .box_a {float:left; background: gray; width:100px; height:50px}

 .box_b {float:right; background: red; width:100px; height:50px}

 .box_c {clear:both; background: blue; width:100px; height:50px}

 </style>

 </head>

 <body>

 <div class=box_a>1</div>

 <div class=box_b>2</div>

 <div class=box_c>3</div>

 </body>

 </html>

Posted by 전설의아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