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5. 시맨틱 태그 - 이미지, 비디오, 오디오

 

1. HTML5 시맨틱 태그(이미지)

 1) 웹 문서와 이미지

 ● 이미지는 몇 가지 정해진 파일 형식만 사용할 수 있음

● 다른 형식의 이미지 파일을 사용하려면 사용 가능한 이미지 파일로 변환이 필요

 ● 웹 페이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몇 가지의 파일 형식만 사용 가능함

 ● GIF

 - Graphic Interchange Form의 약어

 - JPG나 PNG 형식에 비해 파일 크기가 작지만 표시할 수 있는 색상 수가 최대 256가지

 - 웹 페이지에서 아이콘이나 불릿 등 작은 이미지에 주로 사용

 - 투명한 배경이나 움직이는 이미지를 만들 수 있음

 ● JPG/JPEG

 -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의 약어

 - 사진을 웹 페이지에 넣기 위해 개발된 형식

 - GIF에 비해 다양한 색상과명함 표현이 가능

 - 디지털 카메라의 저장 파일은 대부분 JPG형식

 ● PNG

 - Portable Network Graphics의 약어

 - 최근에 많이 사용되는 이미지 파일

 - 투명 배경을 만들 수 있고 색상을 최대한 유지

 

 2) <img> 태그와 그에 따른 속성

 ● <img> 태그 : 웹 문서에 이미지를 삽입할 때 사용되는 태그

 - <img> 태그는 인라인 태그로 이미지 바로 옆에 다른 요소가 나란히 배치됨

 - 이미지 삽입한 후 CSS 를 이용하거나 HTML5의 Canvas API를 이용해 이미지를 꾸밈

 - src 속성은 이미지 파일이 있는 경로를 표시하기 위해 반드시 사용해야 함

 - 그 외의 속성은 필요에 따라 생략 가능함

   <img src = 경로" [속성="속성 값"]>

 ● src 속성 : 이미지와 파일 경로를 지정하는 속성

 - 이미지를 웹 문서에 넣으려면 src 속성에 정확한 파일 경로를 지정해야 함

 - 이미지 파일의 경로는 웹 문서 파일의 위치를 기준으로 정해짐

 이미지가 웹 문서의 같은 폴더에 있을 때

 이미지가 웹 문서의 하위 폴더에 있을 때 

 <img src ="test2.png"> 

 <img src = "images/test2.png> 

 ● Width, Height 속성 :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는 속성

 - 이미지 파일을 브라우저 창에 원하는 크기로 조정하여 넣을 때 사용함

 - width, height 속성을 사용하지 않으면 원본 이미지 크기 출력

 ● alt 속성 : 대체 텍스트를 추가해 주는 속성

 - 그림을 내려 받지 않고 문자열만 보여주기 위해 사용

 - 음성 합성 기술을 이용한 스크린리더(또는 Text-to-speech) 소프트웨어에서 사용

 ● title 속성 : 마우스 오버 시 설명 상자를 표시해주는 속성

 - 요소에 숨겨진 뜻을 설명하는 글을 첨부하는 곳에 사용

 

 3) 이미지에 캡션을 붙이기 위한 태그

 ● <figure> 태그 : 캡션 대상을 지정할 때 사용하는 태그

 - 이미지, 다이어그램, 비디오, 텍스트 단락과 같은 멀티미디어 요소를 묶음

 - 태그 안에 <img>,<code>처럼 다른 태그 사용 가능

 <figure>

 캡션을 붙일 요소

 </figure>

 ● <figcaption> 태그 : 캡션 설명을 붙일 때 사용하는 태그

 - 반드시 <figure> 태그 다음에 사용해야 함

 - <figcaption> 없이 <figure> 태그를 사용하는 것은 미디어가 있다는 것을 브라우저에게 알려쥐 위함

 <figcaption>

 내용

 </figcaption>

 ● 이미지 삽입과 이미지 캡션달기 십습 예제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g.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title></title>

  </head>

  <body>

   <header>

    <h1>캡션 삽입하기!!!</h1>

   </header>

    <article>

     <section>

      <figure>

       <img src=:images/test.png width="300" height="150">

       <img src=:images/test.png width="300" height="150">

       <figcaption>

        이미지 2개를 묶어 하나의 캡션으로 표시하였다.

       </figcaption>

      </figure>

      <figure>

       <img src="images/test2.png" width="300" height="150"

       <figcaption>

        이미지 하나에 캡션 1개를 표시

       </figcaption>

      </figure>

     </section>

    </article>

   <br>

   <footer> Copyright &copy; 2015 All rights reserved. <footer>

  </body>

 </html>

 

2. HTML5 시맨틱 태그(비디오, 오디오)

 1) 비디오 태그

 ● <video> 태그 : HTML5에서 손쉽게 웹 문서에 비디오 파일을 삽입할 때 사용하는 태그

 - 여러 가지 속성들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비디오 표현 가능

 - PC, Mobile 모두 가능

 - 익스플로러 8 이하 버전에서 인식 못함

 - Mobile의 경우 자동재생 지원 안함 

   <video src = "비디오 파일 경로" [속성][속성="속성 값"]

 ● 비디오 태그 속성

 - Src : 비디오 파일의 경로지정

 - Width : 비디오의 너비 지정

 - Height : 비디오의 높이 지정

 - Muted : 음소거

 - Controls : 비디오 재생 도구를 출력할지 지정

 - Autoplay :  비디오를 자동 재생할지 지정

 - Loop : 비디오를 반복할지 지정

 - Preload : 비디오를 재생하기 전에 모두 불러올지 지정

 

 2) 비디오 태그를 활용한 HTML5 시맨틱 태그 실습 

 ● 비디오 삽입하기의 실습 예제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g.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title>

    </title>

  </head>

  <body>

   <header>

    <h1> 비디오 삽입하기!!! </h1>

   </header>

   <article>

    <section>

     <video src="video/video_test.flv" width = "300" height = "150" controls autoplay loop >

     </video>

    </section>

   </article>

   <br>

   <footer> Copyright &copy; 2014 All rights reserved. </footer>

  </body>

</html>


 3) 오디오 태그

 ● <audio> 태그 : HTML5에서 배경 음악이나 효과음 등 오디오를 삽입할 때 사용하는 태그

 - HTML5에서 추가 됨

 - 여러 가지 속성들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오디오 표현 가능

 - 여러 개의 오디오 소스를 포함할 수 있음

 <audio src = "오디오 파일 경로"[속성][속성="속성 값"]>

 ●오디오 태그 속성

 - Src : 비디오 파일의 경로지정

 - Controls : 비디오 재생 도구를 출력할지 지정

 - Autoplay : 비디오를 자동 재생할지 지정

 - Loop : 비디오를 반복할지 지정

 - Preload : 음악을 재생하기 전에 모두 불러올지 지정


4) 오디오 태그를 활용한 HTML5 시맨틱 태그 실습

 ● 오디오 삽입하기의 실습 예제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g.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title>

    </title>

  </head>

  <body>

   <header>

    <h1> 오디오 삽입하기!!! </h1>

   </header>

   <article>

    <section>

     <audio src="audio/audio_test.mp3" controls=""autoplay=""loop="">

     </audio>

    </section>

   </article>

   <br>

   <footer> Copyright &copy; 2014 All rights reserved. </footer>

  </body>

</html>

Posted by 전설의아이
|

4. HTML5 기본 구조 및 문법의 기초

 

1) HTML5 엘리먼트의 정의와 특징

 ● HTML5 엘리먼트의 정의

 - HTML 문서의 구성요소 중 하나로 시작태그와 종료태그로 이루어진 모든 명령어들을 의미함

 ● 엘리먼트 구문의 특징

 - 하나의 HTML 엘리먼트는 시작 엘리먼트로 시작하고, 종료 엘리먼트로 끝남

 - 일부 HTML엘리먼트는 빈 콘텐츠를 가질 수 있음

 - 빈 엘리먼트는 시작태그로 종료

 - 대부분의 엘리먼트는 속성을 가짐

 - 대부분의 엘리먼트는 중첩이 가능

 

 2) 엘리먼트와 태그

 엘리먼트

태그 

 HTML을 문서 형식으로 구성할 때 의미를 표현하는 약속된 단어들 

 부등호 기호(<>)로 둘러싸인 엘리먼트의 조합을 부르는 이름 

 Ex) p엘리먼트는 paragraph(문단)에서 img 엘리먼트는 image(이미지)의 뜻을 가진 엘리먼트임 

 Ex) <p>, <img>를 부를 때는 'p' 태그, 'img' 태그라고 함 

 

 3) 엘리먼트의 종류

 ● 블록 레벨 엘리먼트

 - 항상 새로운 줄로 줄 바꿈 하여 표시하는 요소

 - 너비 값은 브라우저 화면에 100% 꽉 차게 표시됨

 ● 인라인 레벨 엘리먼트

 - 같은 줄 안에서 이어서 표시됨

 - 너비 값은 요소가 가지고 있는 값 자체로 표시됨

 ● 블록 레벨 엘리먼트와 인라인 레벨 엘리먼트의 실습 예제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해당문서는 xhtml의 형식을 따라서 작성했다는 뜻이다.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tml인데 소스는 xhtml에서 가져와라 라는 뜻이다.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내 요청의 컨텐츠(content) 타입은 html이고 문자셋은 utf-8이다

    <title> 무제 문서 </title>

   </head>

   <body>

    <p>문단1</p><p>문단2</p>

    <em>강조1</em><em>강조2</em>

   </body>

  <html>

 

- Tip!!! -

AcroEdit에서 글을 작성한 후 마우스로 드레그를 하면 작성한 글자 수만큼 드레그가 된다.

여기서 Alt + C를 하면 제일 긴 블록과 제일 작은 블록만큼의 영역이 드레그가 된다.

여기서 Shift키 + 방향키를 이용해서 블록의 길이를 설정할 수 있다.

드레그된 블럭 내에서 작성하고 싶은 것을 타이핑 하면 모든 행에 글자가 타이핑 된다.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다

File Transport Protocol

 

 4) 추가 및 삭제된 HTML5 엘리먼트

 ● 삭제된 엘리먼트

 <big> 

 큰 글씨 

 <acronym> 

 두문자어

 <center> 

 중앙 정렬 

 <appletr> 

 애플릿 

 <dir>

 파일 목록 

 <basefont>

 기본서체 

 <font>

 글씨 모양 

 <frame> 

 프레임 

 <tt> 

 타이프체 

 <frameset> 

 프레임 셋 

 <u> 

 밑줄 

 <noframes> 

 프레임 미지원 

 <xmp>

 형식화 된 

 <strike> 

 가로줄 

 ● 추가된 엘리먼트

 article, aside, audio, bdi, canvas, command, datalist, details, embed, figcaption, figure, footer, header, hgroup, keygen, mark, meter, nav, outer, progress, rp, rt, ruby, section, source, summary, time, track, video, wbr

 

2. HTML5 시맨틱 태그

 1) 시맨틱 태그란?

 ● 시맨틱 태그 : 태그 이름만 보고도 역할을 짐작할 수 있는 태그

 ● 시맨틱 태그를 사용하는 이유

 - 검색 엔진에서 쉽게 웹 문서의 내용 검색

 - 웹 보조 기구에서 웹 문서를 정확하게 판독

 - 어떤 장치에서나 똑같은 문서 해석이 가능

 

 2) HTML5 시맨틱 태그 실습

 ● <h> 태그 : 제목을 나타내는 태그로 <h1> ~ <h6>까지의 범위를 가짐

 <head>

  <h1>HTML5 시맨틱 태그 알아보기!! </h1>

 </header>

  <nav>

  <h2> 시맨틱 태그란 무엇인가? </h2>

  <h3> 시맨틱 태그 왜 사용해야 하는가? </h3>

  <h4> 시맨틱 태그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가? </h4>

  </nav>

● <ol> 태그 : 순서 있는 목록을 만드는 태그로 목록 앞에는 숫자 이외에도 알파벳이나 로마숫자로 나타낼 수 있음

 <ol>

  <li> 하나 </li>

  <li> 둘 </li>

  <li> 셋 </li>

 </ol>

 ● <ul> 태그 : 순서 없는 목록을 만드는 태그

 <ul>

  <li> 바나나 </li>

  <li> 사과 </li>

  <li> 딸기 </li>

 </ul>

 

실습예제1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title>무제문서</title>
  </head>
  <body>
    <p>문단1</p><p>문단</p>
    <em>강조1</em><em>강조2</em>
  </body>
</html>

 

실습예제2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utf-8" />
    <title></title>
  </header>
  <body>
    <header>
      <nav>
        <h2> 시맨틱 태그란 무엇인가? </h2>
        <h3> 시맨틱 태그 왜 사용해야 하는가? </h3>
        <h4> 시맨틱 태그를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가? </h4>
      </nav>
    <article>
       <section>
        <ol>
          <li> 하나 </li>
          <li> 둘 </li>
          <li> 셋 </li>
        </ol>
       </section>
       <section>
        <ul>
          <li> 바나나 </li>
          <li> 사과 </li>
          <li> 딸기 </li>
        </ul>
       </section>
       <section>
        <table border="1">(표의 선 굵기를 1로하라)
          <tr>(tr은 행을 뜻한다)
            <th>과목명</th>(th는 컬럼명을 뜻한다)
            <th>시험점수</th>
          </tr>
          <tr>
            <td>영어</td>(td는 데이터를 그냥 넣는다는 뜻이다)
            <td>90점</td>
          </tr>
          <tr>
            <td>수학</td>
            <td>89점</td>
          </tr>
        </table>
      </section>
    </article>
    <br>
    <footer> Copyright &copy; 2014 All rights reserved. </footer>
  </body>
</html>

Posted by 전설의아이
|

3. HTML5와 HTML4.01의 차이

 

1. HTML4.01 개요

 1) HTML4.01이란

 ● HTML4.01의 정의

 - 1989년 등장한 HTML의 버전(HTML4.01은 1999년에 등장함)

 - 이전 HTML문서의 개정판으로 이전 버전의 오류 수정 및 신규 기능 추가

 ● 주요 보완된 기능

 - 스타일 시트

 - 스크립트

 - 프레임(HTML5에서는 권장하지 않음, 프레임은 상하좌우영역을 구분해주는 영역임)

 - 테이블(표를 의미한다)

 - 폼(입력양식을 뜻한다 다양한 태그들이 있다)

 

 2) HTML4.01의 특징

 ● 국제화 (문자셋은 브라우저에 다 있다, 다국어를 지원하는 컨텐츠를 작성한다 프레임을 다국어 지원으로 만들어야 한다)

 - 국제화 분야 전문가들의 참여로 전 세계 언어를 모두 수용할 수 있게 됨

 - 문서 검색 엔진, 고급 인쇄술 등의 발달로 효과적인 문서의 색인이 가능

 ● 접속성

 - 개선 된 문서의 구조와 표현의 구분

 - 개선 된 form 기능

 - 새로운 사용자측 이미지맵 기능 :제작자는 이미지와 텍스트를 결합

 - 이미지에 포함 된 대체 문장 표시 기능(비추한다고 한다)

 - 모든 Element에 title과 lang 애트리뷰트 지원 기능

 - 스타일시트에서 사용하는 폭 넓은 목표 미디어

 - 개선 된 표(table) 기능 : 켑션(captioon)(표1-1 표1-2이런것이 켑션이다), 컬러그룹, hidden 기능

 ● 스타일시트

 - 문서 전체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 건 물론 일일이 스타일을 지정할 필요가 없어짐

 - HTML 작성을 간단히 하고 표현의 신빙성을 향상

 - 제작자와 사용자에게 폰트, 정렬, 색상 등 문서의 표현을 제어할 수 있음

 - 스타일 정보는 개별 Element나 그룹을 구체적으로 정의 가능

 - 스타일 정보는 HTML문서 안에서 또는 외부 스타일시트에서 정의 가능

 ● 스크립트

 - 웹 페이지를 제작하고 HTML 문서를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하는 기능(동적인 것을 주로 사용한다고 함)

 ● 기타

 - 표의 구조와 배치에 있어 다양한 제어

 - 이미지, 비디오, 사운드, 수학계산 등의 기능 구현

 - 다양한 포맷의 인쇄 기능

 

 3) HTML4.01에서 권장하지 않는 기능

 ● HTML4.01버전에서는 많은 요소들과 속성들을 권장하지 않고 있음

 ● 스타일 시트 사용으로 인하여 권장되지 않는 요소

 - basefont : 기본 폰트 변경

 - center : 가운데 정렬

 - font : 폰트 변경

 - strike 또는 s : 텍스트에 가운데 선 긋기

 - u : 텍스트에 밑줄 긋기

 ● 대체 요소의 등장으로 권장되지 않는 요소

 - applet : 자바 애플릿(object의 사용)

 - dir : 디렉토리 리스트(ul의 사용)

 - isindex :입력 프롬프트(input의 사용)

 - menu : 메뉴 리스트(ul의 사용)

 

4) HTML4.01 문서 작성의 3가지 원칙

 ● 구조와 표현의 분리 : 문서의 구조와 표현 Element들의 분리

 ● 범용 웹 접속성의 고려 : 모든 사람들이 제한 없이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작업

 ● 점진적 표현으로 사용도구 돕기 : 사용도구가 문서를 더 빨리 볼 수 있게 하기 위한 표현의 방법(주석 등)

 

5) HTML4.01 문서타입의 규칙

 ● <html> 엘리먼트 - 모든 웹 페이지는 DOCTYPE으로 시작하고, 바로 그 다음에 오는 <html> 엘리먼트 웹 페이지의 가장 상위 혹은 루트 엘리먼트가 되어야 함

 - <html> 태그로 페이지를 시작해서</html>태그로 페이지를 끝내야 함

 ● <head> 와 <body> 는 반드시 사용

 - 오직 <head>와 <body> 만 <html> 엘리먼트 안으로 곧바로 들어갈 수 있음

 ● <head> 엘리먼트

 - 항상 <head> 엘리먼트에는 <title> 엘리먼트를 넣어야 함

 - <head> 엘리먼트는 <title>,<meta>(문자셋을 지정할 때 사용한다)<style> 엘리먼트를 넣을 수 있는 유일한 장소

 ● <body> 엘리먼트

 - 곧바로 <body> 엘리먼트로 넣을 수 있는 것은 오직 블록엘리먼트들(<h1> ~<h6>(글자 크기를 뜻함), <p>) 등 뿐임

 ● 블록엘리먼트는 인라인 엘리먼트 밖에 배치

 - 인라인 엘리먼트 안에는 반드시 인라인 엘리먼트 및 텍스트만 들어올 수 있음

 - 인라인 엘리먼트안에 블록 엘리먼트는 들어올 수 없음

 ● 리스트는 리스트 항목만 자식으로 포함

 - <ol>과 <ul0>의 자식으로 오직 <li> 엘리먼트만 사용될 수 있음

   <ol> = order list 순서가 이는 목록

   <ul> = un list 순서가 없는 목록

 ● <li> 엘리먼트에는 무엇이든 넣을 수 있음

 - 텍스트, 인라인, 블록 엘리먼트 등 타입의 구분업싱 삽입 가능

 

2. HTML5와 HTML4.01 차이점

1) Contents Model (컨텐츠의 유형, 배치를 어떻게 하는지를 결정함)

 ● Contents Model의 정의

 - HTML 문서작성의 큰 구조

 - 어떤 요소가 어떤 콘텐츠 또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지에 관한 정의

 ● HTML5 기존보다 더 Sementic한 웹 구성이 가능

Contents Model 

<Header>

(머리말)

</Header>

 <article>

</article>

 <Footer>

(꼬리말)

</Footer>

 

 2) Syntax(구문) (문법이라는 뜻이다)

 ● DOCTYPE : HTML문서라면 최상단에 반드시 넣어야 함(Enter-개행문자도 들어가면 안됨)

    HTML5 문법을 따르도록 작성 된 문서임을 확인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다국어지원)"> UEC-KR(한글전용)

     <title>HTML5 Basic <title>

   </head>

   <body>

    <h1>HELLO HTML!!!!!!</h1>

   </body>

  </html>

 

3) Language(언어)

● 새롭게 추가된 Element(Semantic적인 요소 중심의 Element)

 Element 

 설명

 Header

 문서의 Header를 나타낼 때 사용 (머리말)

 Footer

 문서의 Footer를 나타낼 때 사용 (꼬리말)

 Nav

 문서 내에 Navigation 요소가 있을 때 사용 

 (메뉴>페이지>페이지 요즘은 거의 필수요소)

 Section 

 문서의 영역을 구성하며, 문서 구조를 구성하는 H1~H6 와 함께 사용 

 (영역을 지정, 단락이 곧 Section이다)

 Article 

 뉴스기사나 블로그 article과 같은 독립된 Contents를 표시할 때 사용 

 (만들어 놓으면 다른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다)

 Aside 

 주요 컨텐츠 이외의 참고가 될 수 있는 컨텐츠를 구성할 때 사용 

 (핵심적인 영역, side contents)

 Hgroup 

 각 Section의 Header를 나타낼 때 사용

 (단락들을 묶어서 제목을 표시하는 것)

 Figure 

 그림, 비디오와 같은 포함된 컨텐츠의 Caption을 표시할 때 사용 

 (문서를 작성할 때 도식을 표현할 때 사용)

 Figcaption 

 캡션에 사용

 (표1-1 표1-2 와같은 것을 표현할 때 사용)

 ● 새롭게 추가된 Element(Sementic적인 요소 이외의 Element)

 Element

설명

 Audio, Video

 HTML 5 Element 중 관심이 집중되는 Element 중 하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표시하는데 사용 

 Embed 

 Plugin 컨텐츠를 표시할 때 사용 

 (API같은 것 Flash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것)

 Mark 

 별도로 표시한 문자를 표시하는데 사용 

 Progress 

 Progress 작업 진행 상황을 나타낼 때 사용  

 Meter

 Meter 측정 값을 표시할 때 사용 

 Time 

 Time 날짜, 시간을 표시할 때 사용 

 Ruby, rt, rp 

 Ruby, rt,rp Ruby 언어를 나타낼 때 사용 

 Bitmap

 Graphic 을 표시할 때 사용

 (Bitmap 방식 & 벡터 방식)

 Command 

 사용자가 호출할 수 있는 명령어를 표시하는데 사용 

 Details 

 사용자 요청에 따라 얻은 콘트롤이나 추가적인 정보를 표시하는데 사용 

 Datalist

 List Attribute 와 함께 사용하여 ComboBox를 만들 때 사용 

 Keygen

 키쌍(Key pair)을 생성할 때 사용 

 Output 

 스크립트 계산 결과 같은 실행결과를 표시하는데 사용

 ● 새롭게 추가된 Attribute(속성)

 Attribute

 설명

 contenteditable

 편집 가능한 구역 임을 나타냄 

 contextmenu 

 작성자가 제작한 Context Menu 지정하는데 사용

 data-* 

 접두사 "data-*"를 가진 속성으로 추후 HTML 버전 충돌 없이 사용자 태그로 이용하거나 추후 브라우저가 지원하게 되었을 때 사용 

 draggable 

 새로운Drag & Drop(마우스로 드래그하고 드롭하는 것을 뜻함) API에서 사용 

 hidden

 element가 아직 없거나 없을 때 사용 

 role, aria-*  

 보조기능에 가리키는데 사용 

 spellcheck 

 맞춤법 검사기능을 제공할지 여부를지정 

 ● 변경된 Element

 Element

설명 

 A

 href 속성이 없이 사용하면 "placeholder link"를 나타냄

 address(주소)

 sectioning의 새로운 개념으로 범위를 나타냄

 B

 문자열 강조 뿐만 아니라 제품소개 중 제품명키워드 같이 특별히 중요하지는 않으나 일반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사용 

 Hr  

 단락 수준의 주제 바꿈에 사용 

 I

 기존 기능처럼 문자의 기울임 뿐 만 아니라 음성, 분류명, 기술용어, 다른 언어의 숙어구, 생각, 등을 표현 

 label Focus

 기본 플랫폼 User interface 표준이 아닐 경우 Label 에서 Control로 이동시키면 안됨 

 Menu

 툴바와 Context Menu 용으로 사용 

 Small

 세부 주석과 법적 인쇄물 같은 작은 인쇄를 나타낼 때 사용 

 strong 

 기존Strong 의 기능보다 더 중요한 것을 표시할 때 사용 

 img 의 border 

 border 값은 0일 때만 사용하고 CSS 사용 가능 

 a 의 name

 name 속성을 id 속성으로 바꾸어 사용 가능 

 table의 summary 

 다른 대안을 정의하는 중 

 script의 language

language 값은 JavaScript 에만 사용하고 type 속성과 함께 쓰지 않고 생략가능 

 

 4) API

 ● API의 정의

 - Application Programing Interface

 - 운영체제와 응용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에 사용되는 언어나 메시지 형식

 

 

Posted by 전설의아이
|

2. HTML5 기초


1. HTML과 XHTML

 1) HTML 정의와 특징

 ● HTML의 정의

 - 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약어

 - Hyper Text 기능을 포함한 텍스트와 이미지 등을 웹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역할을 함


 ● HTML의 특징

 - 웹 문서의 표준 포맷

 - Markup 언어 (프로그램 수준이 아닌 Checking 하는 수준, 바이너리 파일 =dll, exe같은 파일)

 - ASCII코드로 구성된 일반적인 텍스트 파일

 - 컴퓨터 시스템이나 운영체제에 독립적

 

 2) HTML의 구성요소

 ● 요소(Elements) : HTML에서 시작 태그와 종료 태그로 이루어진 모든 명력어들

 ● 태그(Tag) : 요소의 하나로서 시작태그와 종료태그로 나뉨

   <p> 대한민국 파이팅 </p>

   <p> : 시작태그   </p> : 종료태그

 ● 속성(Attributes)

 - 조금 더 구체화된 명령어로서, 요소의 시작태그 안에서 사용

 <p align="center"> 대한민국 파이팅 </p>

 시작태그 안에 "중앙정렬" 속성을 사용하여 문장을 가운데로 정렬

 ● 변수(Arguments)

 - 속성과 관련된 값을 의미함

 <p align="center"> 대한민국 파이팅 </p>

 속성을 align으로 정의하였고, 속성에 대한 변수로 center를 사용

 

3) XHTML이란?

 ● XHTML : eXtendible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어로 HTML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언어

 ● XHTML의 주요 특징

 - 종료태그가 없는 빈(empty)태그는 스스로 종료함

 - 빈 태그를 제외한 모든 태그는 반드시 종료태그를 사용해야 함

 - 코드를 작성할 때 소문자로 입력

 - 속성태그를 사용했다면 반드시 값을 입력해야 함

 - 속성값은 반드시 " " 안에 작성

 ● XHTML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 호환성 및 확장 가능성

 - 유지 비용의 감소 및 재생산성 확대

 - 경량화를 통한 로딩 속도 햐상

 

4) HTML/XHTML 기본구조

 -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나 문법에서 약간의 차이점이 있음

 HTML/XHTML 문서 구조

 HTML문서

 Head

 Body

 

5) HTML과 XHTML의 차이점

 구분

 HTML

XHTML 

종료태그 

종료태그가 없는 것을 허용 

반드시 종료태그를 사용해야 함 

잘못된 중첩 

이상 없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침 

소문자 표기 

대소문자 구분 안 함 

대소문자 구분 

속성값의 따옴표 

사용하지 않아도 됨 

반드시 따옴표를 사용해야 함 

속성 값의 단축 표기 

허용 

허용하지 않음 

 

6) XHTML 일반 문법 준수

 ● 정확한 문서 구조 준수 : 문서의 루트 요소는 HTML이 되어야 하며, 이 HTML요소는 XHTML 네임 스페이스를 지정해야 함

 ● 모든 요소는 완벽하게 중첩되어야 함 : 모든 요소들이 완벽하게 내포 되어야 하는 것은 필수적이나, 중첩이 부적합함에도 불구하고 기존 웹 브라우저들에게는 관대하게 사용되기도 함

 ● 모든 속성 값은 인용 부호(" ")로 묶여야 함: 코드를 생성하거나 XHTML을 정리할 때 코드에서 속성 값을 인용 부호(" ")로 묶음

 ● 모든 요소와 속성은 소문자만 사용 : HTML 요소 및 속성의 이름을 소문자로 강제 설정

 ● 모든 요소는 닫아야 함 : 모든 요소에는 종료 태그가 포함되어야 함

 ● 모든 속성값은 속성이 함께 선언 : 모든 속성은 최소화되어 표기 되면 안됨

 ● 모든 script 및 style 요소에는 type 속성이 포함된 : HTML 4 이후로는 script 요소의 type 속성을 반드시 지정해야 함

 ● 모든 img 및 area 요소에는 alt 속성이 포함 : 코드를 생성하거나 XHTML을 정리할 때 코드에서 이들 속성을 결정

 

2. HTML5 표준문서

 1) HTML5란?

 ● HTML5의 정의

  - HTML의 기본 기능을 넘어 다양한 콘텐츠(콘텐츠는 본문 내용이라는 뜻이다. 텍스트 콘텐츠, 미디어 콘텐츠, 정적 콘텐츠 - 안내 개요가 정적 콘텐츠이다 동적 콘텐츠 - 조건에 따라 보여주는 내용이 바뀌는 콘텐츠 등이 있다)와 어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래밍이라는 뜻이다)을 브라우저에 표현하고 실행하기 위해 만들어지고 있는 언어

  - 확장 가능한 형태의 HTML

 CSS + HTML + JavaScript

 CSS : 디자인 표현 및 관리적인 요소 

 HTML : 기본골격

 JavaScript : 프로그래밍적 요소

 

 2) HTML5의 등장 배경

 ● HTML5가 등장하게 된 가장 큰 이유 : 모바일 인터넷의 확장

 ● 기존 HTML의 한계

 -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많은 기능을 추가할 수 없는 상황

 - 다양한 스마트폰마다 웹 브라우저가 다름

 ●웹 사이트의 시대, HTML과 WAP → 웹 서비스의 시대 → 웹2.0 웹플랫폼 시대 → 웹 앱의 시대 모바일과N-Screen 시대

 

 3) HTML5의 주요 특징

 ● 임베디드 오디오 및 비디오 지원

 - 여러 종류의 디바이스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를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

 ● 미디어 쿼리(Media queries)

 - 스크린 사이즈(뷰포인트), 방향 또는 해사도를 기반으로 페이지에 특정 Style Sheet를 적용하기 위한 사용하는 명세

 - 스크린 사이즈, 해상도 등에 따라 CSS 코드를 분기하여 최적화된 UX(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 - 사용자가 어떤 형태를 좋아한다를 파악하는 것 주로 UX보다는 UI/UX를 많이 사용한다) 제공

 ● CSS3(3은 3.0버전을 뜻한다)

 - 모듈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구현이 쉬움

 - 그래픽 효과를 가지는 모듈이추가되어 있음(모듈을 잘 만들어 놓으면 모듈을 복붙하여 쉽게 만들 수 있다)

 - 각종 효과를 제공해주어 포토샵과 자바스크립트및 서버측 기술에 일부를 대체

 (각 모듈에 맞춰서 보여주는 정보와 안 보여주는 정보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가 있음)

 ● 위치정보(Embedded geolocation)

 - HTML5에서는 별도의 IP위치정보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도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음 - 브라우저가 IP 주소 또는 주위의 무선 공유기 정보 등을 파악하여 제공하기 때문

 ● 캔버스(Canvas drawing)

 - 브라우저에서 2D 그래픽을 지원하는 기능으로 SVG와는 다르게 픽셀 단위로 2D 그래픽을 그릴 수 있는 기능

Posted by 전설의아이
|

1.HTML5 개요


1. 웹 표준의 기본지식

 1) 웹의 역사

 ● 초창기 웹

 - 목적 : 인터넷을 통한 정보(문서형태) 공유

 - 네트워크 속도, 서버, PC 사양 등에 따라 제약을 받음

 - 표현 범위 : 텍스트, 이미지

 - HTML의 태그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구조를 명기

 - 웹문서를 위한 마크업 언어 수준

 

 ● 현재 웹

 - 네트워크 속도, 서버, PC 사양 등의 제약 사항이 완화됨

 - 표현 범위 :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음성 등


 ● HTML5의 가치

 - 시장의 요구(Market Demand)

 - 비용절감의 효과

 - 네이티브 앱 개발 대비 생산성의 증대


 2) 브라우저 전쟁

 ● 브라우저 전쟁 : 웹 브라우저 시장에서 웹 브라우저들이 점유율 경쟁을 하는 것


 ● 1차 브라우저 전쟁

 - 1990년대 후반 Netspace사의 Netscape Navigator와 Microsoft사의 Internet Explorer의 사용자 확보 경쟁(Internet Explorer의 완승)

 -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W3C 규정을 무시한 기능 구현 기술 확산
   (Active-X, Plug-in, javascript 등 동적 기술의 출현)


 ● 2차 브라우저 전쟁

 - Internet Explorer의 보안 문제 발견(RSS리더/탭브라우저 기능의 취약성)

 - Firefox 및 Chrome 등 웹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브라우저 등장

   (W3C가 권고하는 웹 표준에 부합하는 Firefox가 Internet Explore에 비해 우위)

 - 전 세계적으로 IE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으며(약 80% → 28.96%), Chrome(40.44%), Firefox(25%) 등은 빠른 속도로 늘고 있음.

 - 스마트 폰을 비롯한 MID 기기의 등장으로 인한 다양한 웹 브라우징 환경 확산


 3) 웹 표준

 ● 웹 표준 : 다양한 접속환경을 가진 인터넷 사용자들이 정보에 소외되지 않고, 동등하게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표준에 따라 웹을 개발하는 것 또는 웹을 구현하는데 있어 표준으로 사용되는 지침과 기술방식의 집합


 ● 웹 표준의 특징

 - 제공하는 정보를 모든 사람이 접근하여 보다 빠르고 즐겁게 웹 개발이 가능

 - 웹을 이용하기 위해서 특별한 요구를 갖는 사람들이 보다 쉽게 웹을 이용할 수 있음

 - 보편적인 웹 표준을 유지함으로써 기술개발에 따른 상위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음


 ● 웹 접근성 : 신체적, 환경적 조건에 관계없이 인터넷에 접속하여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장애인차별금지법)


 4) W3C(World Wide Web Consortium)

 - 1994년 10월 웹의 창시자인 팀 버너스 리를 중심으로 창립된 국제 컨소시엄

 - 웹을 위한 표준을 개발하고 장려하는 조직

 - 웹사이트에서 HTML, XML, CSS 등의 웹 기술과 운영방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


 5) 웹 표준 도입의 효과

 ● 비즈니스적 분석

 - 버전관리 및 유지보수의 용이성

 - 넓은 확장성과 신기술 도입이 용이

 - 더 넓은 사용자층 확보


 ● 접근성 분석

 - 멀티 브라우징 가능

 - 멀티 플랫폼

 - 다양한 사용자의 접근 가능


 ● 개발 지향적 분석

 - 트래픽 컨트롤

 - 확장성 및 신기술 도입 용이


 ● 디자인 지향적 분석

 - 수정/변경의 자유로움

 - 디자인 기간 단축


 6) 웹 2.0

 - 개방과 참여, 공유로 대표되는 인터넷 환경

 - 가벼워진 웹 S/W와 풍부한 사용자 경험이 바탕

 - 참여구조에 의한 네트워크 효과


 7) HTML5가 주목 받는 이유

 - 애플사 사례 : Flash 기술을 버리고 HTML5기술을 선택

 - 구글 사례 : Google Gears 개발 중단하고 HTML5로 방향 전환


2. 웹 개발 방법론의 이해

 1) 웹 개발 방법의 종류

 네이티브 앱 → 모바일 웹 → 하이브리드 앱


 2) 정의

 ● 네이티브 앱

 - 보편적으로 지칭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 특정한 플랫폼에서만 작동되는 앱 Ex) 아이폰 앱을 안드로이드 폰에서는 실행 불가

 - App Store에서 판매, 배포가 이루어 짐


 ● 모바일 웹

 - PC용 사이트의 구성을 모바일에 맞추어 표현한 웹

 - 스마트 디바이스에 최적화 된 홈페이지


 ● 하이브리드 앱

 - 웹 앱과 네이티브 앱이 융합된 방식

 - 내부 : 앱(App) → 웹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

 - 외부 : 웹(Web) → 플랫폼에 맞게 컴파일


 3) HTML5의 설계원칙

 ● 호환성(Compatibility)

 - 콘텐츠의 호환성 : HTML5 이전 버전으로 제작한 콘텐츠가 문제없이 구동되어야 함

 - 이전 브라우저와의 호환성 : HTML5 가 지원되지 않는 이전 버전의 브라우저에서도 이용할 수 있어야 함

 - 기능의 재사용 : 각 브라우저사들이 각자 브라우저에 구현해 놓은 서로 다른 기능들을 HTML5라는 이름 아래 공통된 사양으로 정의하여 브라우저들간의 호환성을 가져야 함

 - 이용방법의 호환성 : 기존에 사용하던 HTML Tag의 사용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함

 - 혁신보다는 발전을 우선함 : HTML5의 Version UP은 새로운 MarkUP Language를 구현하는 것이 아닌 기존에 존재하던 HTML을 개량하는 것


 ● 실용성(Utility)

 - 웹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것들을 중점적으로 진행

 - 우선순위 : 사용자 → 개발자 → 브라우저 개발자 → 사양서 → 이론상의 순수함

 - 보안성을 고려하여 새로운 사양을 개발


 ●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 웹 개발자가 브라우저의 차이를 의식하지 않더라도 HTML5를 적용한 브라우저라면 똑같이 동작하도록 가능한 쓸데없이 복잡한 것들을 없애야 하는 원칙


 ● 보편적 접근성(Universal Access)

 - 다양한 조건의 환경 : 신체적 조건부터 외부 환경까지의 포함됨

 - 다양한 장치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함 ex) 데스크 탑 환경의 웹 브라우징 장치, 모바일 기기, 장애인들이 사용하는 보조기 등

Posted by 전설의아이
|

log했을때 정규성을 완화하기 위해서 하는 것이다.

log후에 한쪽으로 더욱 치우친다면 square를하는 것이다.

그다음에 시도하는것이 root이다.

그래도 안되면 조사에서 빼자?

이 변수는한쪽에 치우친데이타라는 것이라고 알 수가 있다.

대체로 소득이나 큰 것들

 

chi-square

R score

회귀분석

 

표준화된 계수는 단위를 동일화 한 것이다.!!!!!

대부분 B값과 표준오차값을 써서 통계분석을 한다.

 

상수에는 큰 의미를 두지 말자.

log나 square, root를 한우 변수를 log변수다 square변수다라고할필요는 없다. 그저 변수라고 하면된다.

 

통계에서 중요시하는 것 3가지 1.빈도 2.평균 3.correlation상관관계,연관성

 

시험에 이상점이 나왔을 때 지워야하나?

'학교(3학년1학기) > 사회복지자료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signment  (0) 2014.06.09
수업 - 6월 3일 (화) 5일 (목)  (0) 2014.06.03
수업 - 27일(화) 29(목)  (0) 2014.05.27
수업 - 5월 13일 (화) 15일 (목)  (0) 2014.05.13
수업 5월 8일  (0) 2014.05.08
Posted by 전설의아이
|

1. jawhal2.sav는 충북지역 자활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의 다양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자료입니다. 자료에 기초하여 다음의 문제를 해결하시오.

변수에 대한 설명

(1) 연령() (2) 성별 (1: 여성, 2: 남성) (3) 교육년수 ()

(4) 가구수급형태 (1: 조건부수급자 중 비취업대상자, 2: 조건부수급자 중 취업대상자,

3: 일반수급자, 4: 자활특례자, 5: 차상위계층 및 일반 저소득층)

(5) 가구근로소득 () (6) 가족 수 () (7) 참여기간 () (8) 자활의지 ()

(1)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무엇인지 연속변수들만 포함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설명하세요.

변수

계수

표준오차

t

 

연령()

0.007

0.004

1.93

 

가구근로소득()

2.412E-007

0.000

2.822

**

가족 수()

0.037

0.02

1.819

 

참여기간()

-0.01

0.004

-2.549

*

상수

3.382

0.219

15.411

 

0.058

F

4.956 **

. * P < 0.05, ** P < 0.01, *** P < 0.001

 위 표에 의하면 충북지역 자활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이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연령, 가구근로소득, 가족 수, 참여기간이 있다. 이 중에서 가구근로소득이 높을 수록 자활의지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참여기간이 짧을 수록 자활의지가 높은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연령과 가족 수는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지만 엄청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왔고 교육년수와 자활의지와는 전혀 상관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2) 새롭게 분석 모형을 구성하여 분석합니다. 우선 수급형태 변수를 일반수급자와 그 외로

구분하여 recoding하십시오. 그 변수와 성별 변수를 분석 모델에 포함하고, (1) 모델에서 유

의미하지 않았던 연속변수를 분석 모델에서 제외합니다. 이 모델에 대한 분석 후, 결과를 설

하세요. 모델은 회귀식의 기본 가정을 모두 충족시키고 있습니까?

변수

계수

표준오차

t

 

연령()

0.008

0.004

2.053

*

가구근로소득()

2.181E-007

0.000

2.542

*

가족 수()

0.037

0.02

1.809

 

참여기간()

-0.011

0.004

-2.664

**

일반수급자

-0.24

0.118

-2.031

*

상수

3.409

0.219

15.581

 

0.07

F

4.828 ***

. * P < 0.05, ** P < 0.01, *** P < 0.001

 새롭게 분석 모형을 구성한 후 충북지역 자활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이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연령, 가구근로소득, 가족 수, 참여기간, 일반수급자가 있다. 성별이란 변수를 포함하였으나, 남녀 간에 자활지원사업에 참여할 때 자활의지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기간이 적을수록 자활의지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왔으며 그 다음으로는 가구근로소득의 증가, 연령의 증가, 기타수급자인 순으로 자활의지가 높게 나오는 것으로 나왔다. 가족 수는 자활의지에 아주 미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모델의 회귀식은 패널연구나 시계열 자료가 아니고 Durbin-Watson값이 1.734 로 나왔으므로 자기상관성이 없다. 각 변수들간의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확률에서는 0.7이상인 값이 없었고 공차와 VIF값은 전부다 공차는 0.4 이상 VIF4 이하로서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산점도를 보면 고르게 퍼져있는 이상점이 없는 그림이 나왔다. 마지막으로 중심극한정리에 의해서 사례수가 330이고 도표를 보면 정규성은 보장이 되었다. 이로써 이 모델은 회귀식의 기본 가정을 모두 충족하고 있다.

 

(3) 종속변수를 자활의지 **2transform 한 뒤, 동일한 독립변수에 기초하여 분석하고,

결과를 설명하세요. 모델은 회귀식의 기본 가정을 모두 충족시키고 있습니까?

변수

계수

표준오차

t

 

연령()

0.056

0.027

2.03

*

가구근로소득()

1.522E-006

0.000

2.37

*

가족 수()

0.311

0.152

2.048

*

참여기간()

-0.083

0.03

-2.745

*

일반수급자

-1.869

0.885

-2.111

*

상수

12.003

1.638

7.328

 

0.071

F

4.972 ***

. * P < 0.05, ** P < 0.01, *** P < 0.001

 종속변수를 자활의지 **2transform 한 뒤, 동일한 독립변수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과 충북지역 자활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이 자활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연령, 가구근로소득, 가족 수, 참여기간, 일반수급자가 있다. 성별이란 변수를 포함하였으나, 남녀 간에 자활지원사업에 참여할 때 자활의지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높을수록, 가구근로소득은 높을수록, 가족 수가 많을수록, 참여기간이 적을수록, 기타수급자일수록 자활의지가 증가하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의 회귀식은 패널연구나 시계열 자료가 아니고 Durbin-Watson값이 1.712 로 나왔으므로 자기상관성이 없다. 각 변수들간의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확률에서는 0.7이상인 값이 없었고 공차와 VIF값은 전부다 공차는 0.4 이상 VIF4 이하로서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산점도를 보면 고르게 퍼져있는 이상점이 없는 그림이 나왔다. 마지막으로 중심극한정리에 의해서 사례수가 330이고 도표를 보면 정규성은 보장이 되었다. 이로써 이 모델은 회귀식의 기본 가정을 모두 충족하고 있다.

'학교(3학년1학기) > 사회복지자료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말  (0) 2014.06.10
수업 - 6월 3일 (화) 5일 (목)  (0) 2014.06.03
수업 - 27일(화) 29(목)  (0) 2014.05.27
수업 - 5월 13일 (화) 15일 (목)  (0) 2014.05.13
수업 5월 8일  (0) 2014.05.08
Posted by 전설의아이
|

 

 

 

 


 

 

변수설명어느지역에 오염된 땅이나 물이 발견되었다.

 

종속변수 (Y)의속성이 ( 2 ) 개일 경우 로지스틱 ( 3 )개 이상일 경우 멀티Norninal를쓴다.

P는 이벤트가 발생할 확률 특정사건이 발생할 빈도

Odds 오즈 하나의 사건이 발생할 확률과 하나의 사건이 발생하지 않을 확률

Odds = P / 1 - P (위의피피티가 잘못된 것이다.)

Log(Odds) = Log (P / 1 - P)

Log(P / 1 - P) = β0 + β1x1 + ······ + βixi + ε

 

 

Wald

R제곱 값은 허구의 값을 구한다.

 

 

 산점도를 그리면 종속변수를 가장 잘 설명하는 선을 찾아야 하는데 위의 산점도를 보면 적절한 선을 찾지 못하기 때문에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쓴다.

 

 

 

 

PPT5.Results 는 이런 과정을 통해서 나온 것이다.

 

 

변수가 없었을 때의 값

 

변수를 하나 넣었을 때의 값

 

 

모형에다가 변수를 하나 넣었을 때의 값이 좋아졌다? 나빠졌다? 를 알려주는 표 유의확률이 0.05보다 크면 안좋은 것

 

R제곱 값처럼 해석하면 된다. 8.7%로설명한다. 11.7%로 설명한다.

-2 Log 우도를 비교함으로 써 이 숫자가 0에 가까울 수록 좋은 값이다.

 

휴교하기를 원하는 것을 감소한다. 부적인 관계 유의미한 수 이다.

Exp(B)를 통해서 학교를 닫을 수 있는 확률은 1보다 작으면 반대 1보다 크면 찬성이란 것을 알 수가 있다.

 

 

 

여기서 -2 Log 우도 값이 위의 -2 Log 우도 값보다 작으니 7가지 요인으로 설명하는 것이 좋은 것이다.

이 표를 보면 B에서 -가 있는 것은 부정적인 것이고 +는 정적인 것이다.

유의확률을 보면 0.05 보다 작은것을 보고 큰것을 지운다 여기서는 female 과 kids를 지운다.

Exp(B)를 통해서 1보다 작으면 반대이고 1보다 크면 찬성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hsc가 11.223으로 제일 찬성한다.

 

 

female 과 kids를 지운후 새롭개 다시 한다.

여기서도 일반 회귀분석처럼 전진 후진 개념이 있다.

 

여기서는 이 분산성의 문제는 신경을 안 써도 된다. 왜냐면 이분산성문제 때문에 Odds로 바꾸었지 때문이다.

여기서는 다중공선성과 아웃라이어에 대해서

다중공선성을 판별하는 방법은 첫째, 독립변수 끼리 상관관계분석을 하던가, 둘째 독립변수 하나를 종속변수로 하여 나머지 독립변수는 원래 독립변수에 넣어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후 공차(TOL)와 VIF 값을 본다.

 

이것을 하는 이유는 비교집단중 참조범주를 마지막으로 설정하였을때 한 집단 안에서의 카테고리별로 비교하는 방법이다.

 

돌렸을 때의 결과물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이 무엇인가?

 

 

팝퀴즈19번

 

 

1번과 2,3,4번과 비교를 한것이고

범주형을 하면 아래그림 처럼 나온다.

 

 

범주형을 marr를 설정로 한후에 하면 marr 1 과 marr 2가 뜨는데

이것은 중간에 있는 변수와 비교를 한 값을설명하는 것이다.

 

 

이것은 변수가 5개있을 때 log우도 값이 469.042가 나왔고

 

위에있는 edu값이 유의미하지 않기 때문에 제거를 한 후 분석을 돌리면 log 우도 값은 468.664가 나온다.

 

 

'학교(3학년1학기) > 사회복지자료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말  (0) 2014.06.10
Assignment  (0) 2014.06.09
수업 - 27일(화) 29(목)  (0) 2014.05.27
수업 - 5월 13일 (화) 15일 (목)  (0) 2014.05.13
수업 5월 8일  (0) 2014.05.08
Posted by 전설의아이
|

 

 

OLS 최소제곱법: Yhat(예측된Y값) and Y(원래Y값) 두값에 대한 최소의 직선관계를 찾는 것이 OLS이다.

BLUE 최적선형불편추정

(1)Linearity 직선관계이어야 한다.

(2)No Multicollinearity 다중공선성이 없어야 한다. (R < 0.7 공차 > 0.4랑 VIF < 4를 봐야한다.)

 다중공선성이란 중다회귀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들이 서로 지나치게 밀접한 관게를 가짐으로 인해 분석결과를 왜곡시키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가리켜 다중공선성이라고 한다.

(3)No Autocorrelation 자기상관성  (Durbin-Watson값이 1.5보다 크고 2.5보다 작으면 자기상관성이 없다.) 

 자기상관성이란 패널연구와 같은 시계열자료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4)No Heteroscadasticity = Homoscedasiticity 이분산성 = 등분산성,동분산성

 등분산성이란 어떤 독립변수의 모든 변수값에 대해 오차들의 분산이 일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분산성이란 모든 변수값에 대해 오차들의 분산이 일정하지 않은 것을 가리킨다.

(5)Normality 정규성 

(6)No Outlier 이상점

자기상관성, 이분산성, 정규성은 Errors과 과련이있다.

 

 Diagnosis 진단 scatterplot 우리가 측정한것 과 예측한 Y값의 차이 그림5를 보면 첫번째 사진이 정상이고 이분산성이 없는 동분산이 가정된 것이다. 뒤에있는 사진은 잘못된 것이다.

 

다중공선성

 Tolerence value 허용값, 공차한계라고도 한다. 0.4(0.2)보다 크면 다중공선성이 없는것이다. 반면에 VIF는 4보다 작으면 다중공선성이 없는 것이다.

 

자기상관성

 Durbin-Watson값이 1.5보다 크고 2.5보다 작으면 자기상관성이 없다. 

 

 이상점

Leverage 에있는 K는 사례수이다. CD는 Cook's Distance이다.

 

 

 

 

 

 

 

사회복지 자료분석론 POP QUIZ 17

(1)가난한 국가일수록 출산율이 높다는 가설을 증명하시오.

 

 

 

변두가 두개이기 때문에 공선성 진단을 하 필요가 없다. 변수가 다양하게 있을 때 공선성 진단을 해야한다.

위 변수들이 타임시리즈가 아니라서 Durbin-Watson값은 볼 필요가 없다.

Durbin-Watson값은 autocorrelation을 확인하기 위해서 쓰는 것이다.

 

이분산성을 보기 위해서 도표의 Y에는 ZRESID를 X에는 ZPRED를 넣는다.

 

아웃라이어를 보기위해서 거리의 Magalanobis의 거리 Cook의 거리 레버리지 값을 봐야한다.

 

 

 

(2)영아사망율 변수를 통제한 가운데 위 가설을 증명하시오

 

 

 

(3) (2)번의 회귀식은 다중회귀분석이 가지는 기본적인 가정을 모두 충족하고 있습니까?

하나. 공차값이 0.2보다크고 VIF가 4보다 작으면 Safe 한 것이다.

둘. 변두가 두개이기 때문에 공선성 진단을 하 필요가 없다. 변수가 다양하게 있을 때 공선성 진단을 해야한다.

셋. 위 변수들이 타임시리즈가 아니라서 Durbin-Watson값은 볼 필요가 없다.

다중공선성문제는 더욱 심각해짐 이분산성

 

 

(4)LogGNP와 square root death에 기초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결과를 (2)번의 그것과 비교하시오

 

 

 

 

상수의 유의확률이 0.05를 넘는 것은 그렇게 크게 신경안써도 된다.

loggnp가 0.05<0.430이므로 logGnp를 볼 필요가 없다. 

 

 

 

 

 

 

 

(1)메탄의 양에 대한 광산의 깊이의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결과를 해석하시오.

 

 

 

(2)위 회귀식에 기초하여, residuals(e)과 predicted values(Y hat)의 평균값과 sd를 구하시오

  

 

(3)위 모형과 관련하여, 가장 문제가 되는 회귀식의 기본과정은 무엇입니까?

Durbin-Watson 값은 0.874인데 변수가 두개여서 볼 필요가 없다.

R = 0.870 이고 87%로 광산이 메탄을 설명하고 있다.

이분산성이 문제가 된다. 정규성도 완벽하지가 않다.

이분산성을 고쳤으나 정규성이 흐트러진다.

 

 

(4)메탄의 양에 대한 logarithm 광산의 깊이 (log10 X)의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결과를 해석하시오.

 

 

 

 

(5)위 모형과 관련하여, 가장 문제가 되는 회귀식의 기본가정은 무엇인지 제시하시오.

정규성(normality)가 가장 문제가 된다.

 

 

 

 

 

 

 

 

 

 

 

 

 

 

 

 

 

 

 

'학교(3학년1학기) > 사회복지자료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signment  (0) 2014.06.09
수업 - 6월 3일 (화) 5일 (목)  (0) 2014.06.03
수업 - 5월 13일 (화) 15일 (목)  (0) 2014.05.13
수업 5월 8일  (0) 2014.05.08
수업 - 5월2일(목) Pearson r score  (0) 2014.05.01
Posted by 전설의아이
|

간단하게표현: Y = aX +b

단순회귀분석: Y = β1X1 + β0 + ε   (Ordingary Least Square Linear Simple Regression)

X 라는 것이 Y에 대한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 단순 회귀 분석이다.

다중회귀분석: Y = β1X1 + β2X2 + ... + βiXi + β0 + ε   (Ordingary Least Square Linear Multiple Regression)

각각의 X 라는 것이 Y에 대한 영향력을 파악하는 것이 다중 회귀분석이다.

 

Linear Regression mean the X and Y should be line relation in graph

직선관계가 되려면 X와Y는 직선관계가 되어야 한다.

 

Logistic Regression

Muliti?nowlege Regression

 

Data

X(결석횟수)

10 

12 

14 

Y(점수)

 

X-meanX 

Y-meanY 

 Sxy

 SSx

 Yhat

 ε=(Y -Yhat)

 ε제곱(RSS)

 SSy(TSS)

 9

 -6

 3

 -18

 36

 8.4  0.6  0.36  9

 4

 6

 -4

 0

 0

 16

 7.6  -1.6  2.56  0

 6

 8

 -2

 2

 -4

 4

 6.8  1.2  1.44  4

 8

 7

 0

 1

 0

 0

 6  1  1  1

 10

 5

 2

 -1

 -2

 4

 5.2  -0.2  0.04  1

 12

 3

 4

 -3

 -12

 16

 4.4  -1.4  1.96  9

 14

 4

 6

 -2

 -12

 36

 3.6  0.4  0.16  4

 meanX=8

meanY=6 

 

 

 Sum=-48

 Sum = 112

     7.52 (OLS값)  28

회귀계수a = Sxy / SSx = [Σ(X - mean X)(Y -mean Y)/(n - 1)] / [Σ(X - mean X)게곱 / (n -1)] = -0.4

a = -0.4 meanX = 8 meanY = 6

위세가지를 통해서

b갑을 구할수가있다. b = 9.2

Y = -0.4X + 9.2

Sxy 와 SSx 를 구해서 위의 Y = -0.4X + 9.2이 공식을 구한후에

이제 이 새로운 식에다가 X값을 넣은 후에 Y값을 구하고

기존의 Y값과 새로운 Yhat값의 차이를 구한다 = ε = (Yi -Yhat)

ε끼리 그냥 더하면 값이 0 이므로 ε제곱값을 구한다. ε제곱값을 다합친 값이 OLS값이 된다.

위의 Y = -0.4X + 9.2 공식을 이용하여 Y값과 Yhat값을 구하고 RSS, ESS, TSS를 구한다.

RSS = (Yi - Yhat)제곱 7.52

TSS = (Yi - meanY)제곱 = 28

ESS = (Yhat - meanY)제곱

R제곱 = 0.7314

영가설 H0 : β = 0

전체에 대한 영가설은 H0 : β1 = β2 = 0

 

1. slope기울기 and equation

2. predicted value and residuals

3. RSS, ESS, TSS

4. R제곱 = ESS / TSS = 1 - RSS / TSS

5. t test : beta = 0, significant test for slope

6. F test : beta 1 = beta 2 = 0, Goodness of Fit test

7. dummy variable

8. basic assumptions for regression analysis

9. Transformation

10. interaction term

 

WLS

GLS

Y = 50X + 30

 

 


농구선수들의 play 시간과 득점에 대한 data이다. 회귀분석을 실시하라. 

시간

득점 

10 

17 

26 

37 

17 

65 

50 

26 

37 

 

 

 

 

 

R값이 0.982라는 뜻은 98.2%로 시간에 따라 득점이 높다는 것을 매우 잘 설명해준다.

 

 

 

교육수준이 높으면 소득수준이 높다는 가설이 있다. income.sav 자료에 기초하여

(1)학년수와 근로소득 간 관계를 회귀분석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시오

 

 

R제곱 = 0.152 15.2%로 학년수는 근로소득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쓸모가 없다. Y = 9.89X +25.56

(2)연령과 근로소득 간 관계는 어떠한가?

 

 

R제곱 = 0.055 5.5%로 연령은 근로소득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쓸모가 없다. Y = -2.03X + 227.16

5.5%라는 의미는 어떤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연령의 영향력이 없으니 아래의 회귀식에서는 굳이 이 데이타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3)연령을 통제한 가운데, 학년수와 근로소득 간 관계는 어떠한가?

 

 

 

R제곱 = 0.152 15.2%로 학년수와 연령수가 근로소득을 설명하고 있으므로 쓸모가 없다. Y = 9.5X1 -0.24X2 + 41.435

위의 식을 설명을 할 때 ①연령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학년 변수가 9.5씩 올라간다. ②학년수를 통제하였을 때 연령이 증가합에 따라 소득은 0.24식 줄어든다. 통제라는 의미는 변수를 통제한다는 뜻이다.

 

회귀분석에는 남자와 여자, 교수와 학생등 두개의 명목변수로 구성된것도 회귀분석이 가능하다. 이것을 dummy varies라고한다.

'학교(3학년1학기) > 사회복지자료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업 - 6월 3일 (화) 5일 (목)  (0) 2014.06.03
수업 - 27일(화) 29(목)  (0) 2014.05.27
수업 5월 8일  (0) 2014.05.08
수업 - 5월2일(목) Pearson r score  (0) 2014.05.01
수업 - 4월 10 일 (목)  (0) 2014.04.10
Posted by 전설의아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