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CRUD

Legend 개발자/Spring 2017. 11. 2. 11:44

CRUD는 대부분의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가지는 기본적인 데이터 처리 기능인 Create(생성)[INSERT], Read(읽기)[SELECT], Update(갱신)[UPDATE], Delete(삭제)[DELETE]를 묶어서 일컫는 말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갖추어야 할 기능(정보의 참조/검색/갱신)을 가리키는 용어로서도 사용된다.

 

CRUD만들기 예:

 

가장먼저 beans를 만든다.

이는 내가 어떤 정보를 넣을 것인지 테이블 각 열의 최상단에 위치한 항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com.lat.beans] 패키지를 만들어 다양한 beans를 하나의 패키지에 넣어서 관리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package com.lat.beans;
 
public class Dept {
 
    private int num;
    private String name;
 
    public int getNum() {
        return num;
    }
 
    public void setNum(int num) {
        this.num = num;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cs

 

위에서 만든 beans를 보면

Class 명으로는 Dept(부서)

Dept Class 안에 변수로는 private로 num과 name이 있다. 

SQL에서는 Primary Key, Foreign Key를 통해서 여러 테이블의 관계를 결정하기 때문에

num의 경우 PK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private의 경우 public과는 다르게 해당 클래스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getter & setter를 만들어 다른 곳에서도 Dept Class의 num과 name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으로 알아볼 것은 [com.lat.dao] 패키지이다.

[com.lat.dao] 패키지의 주 역할은 java와 SQL을 연결시키는 것이다.

명명규칙으로 만들고자 하는 Class이름 뒤에 DAO를 붙인다.

이를 위해서 가장 먼저 interface로 DeptDAO와 DeptMapper를 만든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package com.lat.dao;
 
import java.util.List;
 
import com.lat.beans.Dept;
 
public interface DeptDAO {
 
    public void insertDept(Dept dept);
 
    public void updateDept(Dept dept);
 
    public void deleteDept(Dept dept);
 
    public Dept detailDept(Dept dept);
 
    public List<Dept> listDept();
 
}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package com.lat.dao;
 
import java.util.List;
 
import com.lat.beans.Dept;
 
public interface DeptMapper {
 
    public void insertDept(Dept dept);
 
    public void updateDept(Dept dept);
 
    public void deleteDept(Dept dept);
 
    public Dept detailDept(Dept dept);
 
    public List<Dept> listDept();
 
}
 
cs

 

만드는 과정은 interface명만 다르고 안에 내용은 같다.

내용으로는 insert, update, delete, detail&list 가 눈에 띄는데 이는 SQL 쿼리문과 연결시키 위한 밑작업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다음으로 만들어야 할 것은 SQL 쿼리 문이다.

이는 Mybatis라는 Framework를 사용했으므로 주 기능은 Spring도 제공하는 JDBC 부분 중 쿼리 부분만 따로 xml로 만들어 관리 및 코딩 효율을 올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만들기 위해서 DeptMapper와 똑같은 이름을 가진 xml 파일을 만들어 준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xml version="1.0" encoding="UTF-8"?>
<!DOCTYPE mapper PUBLIC "-//mybatis.org//DTD Mapper 3.0 //EN"
"http://mybatis.org/dtd/mybatis-3-mapper.dtd">
<mapper namespace="com.lat.dao.DeptMapper">
    <resultMap type="Dept" id="DeptResultMap">
        <result property="num" column="NUM" />
        <result property="name" column="NAME" />
    </resultMap>
    <select id="listDept" resultMap="DeptResultMap">
        SELECT num, name
          FROM dept
    </select>
    <select id="detailDept" parameterType="com.lat.beans.Dept"
        resultType="com.lat.beans.Dept">
        SELECT num, name
          FROM dept
         WHERE num=#{num}
    </select>
    <insert id="insertDept" parameterType="com.lat.beans.Dept">
        INSERT INTO dept(num, name)
        VALUES (#{num}, #{name})
    </insert>
    <update id="updateDept" parameterType="com.lat.beans.Dept">
        UPDATE dept 
           SET name=#{name}
          WHERE num=#{num}
    </update>
    <delete id="deleteDept">
        DELETE from dept
         WHERE num=#{num}
    </delete>
</mapper>
cs

 

DeptMapper.xml 을 만들 때 가장 먼저 beans 에 해당하는 항목들을 가져온 후, DAO에서 만든 interface 중 insert, update, delete, detail&list 에 해당하는 쿼리문을 각각 작성해준다.

 

이작업이 완료되면 Mybatis의 쿼리문과 java Spring과 연결시키는 코드를 작성해야 한다.

우선 Class DeptDAOService를 만든다. 명명 규칙으로 DAOService 만 뒤에 붙여주면 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package com.lat.dao;
 
import java.util.List;
 
import org.apache.ibatis.session.SqlSess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Repository;
 
import com.lat.beans.Dept;
 
@Repository
public class DeptDAOService implements DeptDAO {
    @Autowired
    private SqlSession sqlsession;
 
    @Override
    public void insertDept(Dept dept)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DeptMapper deptMapper = sqlsession.getMapper(DeptMapper.class);
        deptMapper.insertDept(dept);
    }
 
    @Override
    public void updateDept(Dept dept)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DeptMapper deptMapper = sqlsession.getMapper(DeptMapper.class);
        deptMapper.updateDept(dept);
    }
 
    @Override
    public void deleteDept(Dept dept)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DeptMapper deptMapper = sqlsession.getMapper(DeptMapper.class);
        deptMapper.deleteDept(dept);
    }
 
    @Override
    public Dept detailDept(Dept dept)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DeptMapper deptMapper = sqlsession.getMapper(DeptMapper.class);
        return deptMapper.detailDept(dept);
    }
 
    @Override
    public List<Dept> listDept()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b
        DeptMapper deptMapper = sqlsession.getMapper(DeptMapper.class);
        return deptMapper.listDept();
    }
 
}
 
cs

 

DeptDAOService Class는 DeptDAO를 implements(상속)을 받는다.

그 후 Spring인 @Autowired를 통해 SqlSession의  Singleton을 만들어 객체생성의 횟수를 줄여 메모리 사용량을 줄여준다.

implements를 했으므로 interface에 미완성된 부분을 완성시켜주는데 여기서 SQL 쿼리문과 연결시키는 작업을 해준다.

 

이제 기본적인 작업은 끝났고 View단과 Control단만 남았다. 우선 Control단을 먼저 만들어 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package com.lat.controller;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Locale;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odelAndView;
 
import com.lat.beans.Dept;
import com.lat.dao.DeptDAOService;
 
@Controller
public class DeptController {
 
    @Autowired
    private DeptDAOService deptDAOService;
 
    @RequestMapping(value = "/dept/listDept")
    public ModelAndView list() {
        List<Dept> list = deptDAOService.listDept();
        ModelAndView view = new ModelAndView("dept/listDept");
        view.addObject("list", list);
        return view;
    }
 
    @RequestMapping(value = "/dept/insertDept")
    public ModelAndView insertDept() {
        ModelAndView view = new ModelAndView("dept/insertDept");
        return view;
    }
 
    @RequestMapping(value = "/dept/insert")
    public String insert(HttpServletRequest request) {
        String num = request.getParameter("num");
        String name = request.getParameter("name");
        Dept dept = new Dept();
        dept.setNum(Integer.parseInt(num));
        dept.setName(name);
        deptDAOService.insertDept(dept);
        return "redirect:listDept";
    }
 
    @RequestMapping(value = "/dept/update")
 
    public String update(HttpServletRequest request) {
        String numVal = request.getParameter("num");
        int num = 0;
        if (numVal != null)
            num = Integer.parseInt(numVal);
        String name = request.getParameter("name");
        Dept dept = new Dept();
        dept.setNum(num);
        dept.setName(name);
        deptDAOService.updateDept(dept);
        return "redirect:listDept";
    }
 
    @RequestMapping(value = "/dept/updateDept")
    public ModelAndView updateDept(HttpServletRequest request) {
        String numVal = request.getParameter("num");
        int num = 0;
        if (numVal != null)
            num = Integer.parseInt(numVal);
        Dept dept = new Dept();
        dept.setNum(num);
        Dept deptRlt = deptDAOService.detailDept(dept);
        ModelAndView view = new ModelAndView("dept/insertDept");
        view.addObject("dept", deptRlt);
        return view;
    }
 
    @RequestMapping(value = "/dept/delete")
    public String deleteDept(HttpServletRequest request) {
        String numVal = request.getParameter("num");
        int num = 0;
        if (numVal != null)
            num = Integer.parseInt(numVal);
        Dept dept = new Dept();
        dept.setNum(num);
        deptDAOService.deleteDept(dept);
        return "redirect:listDept";
    }
 
    @RequestMapping(value = "/dept/detailDept")
    public ModelAndView detail(Locale locale, HttpServletRequest request) {
        String numVal = request.getParameter("num");
        int num = 0;
        if (numVal != null)
            num = Integer.parseInt(numVal);
 
        Dept dept = new Dept();
 
        dept.setNum(num);
 
        ModelAndView result = new ModelAndView();
        Dept deptRlt = deptDAOService.detailDept(dept);
        result.addObject("dept", deptRlt);
        result.setViewName("dept/detailDept");
        return result;
    }
 
}
 
cs

 

간단하게 표하나를 만들고 CRUD에 알맞는 기능을 갖추어 주고, 화면에 Table을 먼저 뿌린 후 행을 추가하는 기능인 insert를 넣었고, num에 PK값을 주었기 때문에 num을 조회하면 update, delete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이 기능대로라면 view단의 경우 1. 메인화면인 Table을 뿌리는 화면, 2. 조회하는 화면, 3. 뿌리는 화면이 필요하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만들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 page import="com.lat.beans.Dept"%>
<%@ page import="java.util.*"%>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detailDept</title>
</head>
<body>
Dept상세보기
<%
    Dept dept=(Dept)request.getAttribute("dept");
    if(dept==null) dept=new Dept();
%>
<table border="1">
    <tr>
        <td>Num</td>
        <td><%=dept.getNum()%></td>
    </tr>
    <tr>
        <td>Name</td>
        <td><%=dept.getName()%></td>
    </tr>
    <tr>
        <td colspan="2">
            <form method="post" action="updateDept">
                <input type="hidden" name="num" value="<%=dept.getNum() %>"/>
                <input type="submit" value="수정"/>
            </form>    
            <form method="post" action="delete">
                <input type="hidden" name="num" value="<%=dept.getNum() %>"/>
                <input type="submit" value="삭제"/>
            </form>    
        </td>
    </tr>
</table>
</body>
</html>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 page import="com.lat.beans.Dept"%>
<%@ page import="java.util.*"%>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insertDept</title>
</head>
<body>
<%
    Dept dept=(Dept)request.getAttribute("dept");
    if(dept==null) dept=new Dept();
%>
<form method="post" 
<% if(dept.getNum()==0){%>
action="insert"
<% }else{%>
action="update"
<% }%>
>
    <table border="1">
        <tr>
            <td>num</td>
            <td colspan="2">
            <% if(dept.getNum()==0){%>
            <input type="text" name="num" value="<%=dept.getNum()%>"/>
            <%}else{%>
            <input type="hidden" name="num" value="<%=dept.getNum()%>"/>
                <%=dept.getNum()%>
            <% }%>
            </td>
        </tr>
        <tr>
            <td>name</td>
            <td colspan="2"><input type="text" name="name" value="<%=dept.getName()==null?"":dept.getName() %>"/></td>
        </tr>
        <tr>
            <td>
            <%if(dept.getNum()==0){%>
                <input type="submit" value="등록"/>
            <%}else{%>
                <input type="submit" value="수정"/>
            <%}%>
                <input type="reset" value="취소"/>
            </td>
            <td>
                <a href="listDept">
                    <input type="button" value="뒤로가기"/>
                </a>
            </td>
        </tr>
    </table>
</form>
</body>
</html>
cs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 page language="java"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 taglib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prefix="c"%>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listDept</title>
</head>
<body>
    <table border="1">
        <tr>
            <td>num</td>
            <td>name</td>
        </tr>
    <c:forEach items="${list}" var="dept">    
        <tr>
            <td>
            <a href="detailDept?num=${dept.num}">
                ${dept.num}
            </a>
            </td>
            <td>${dept.name}</td>
        </tr>
    </c:forEach>
        <tr>
            <td colspan="2">
                <a href="insertDept">
                    <input type="button" value="insert"/>
                </a>
            </td>
        </tr>
    </table>
</body>
</html>
cs

 

이제 서버를 가동시켜서 실행을 하면된다.

서버의 경우 무료인 Tomcat을 사용하였고, 개발환경 역시 무료인 Eclipse를 사용했다.

'Legend 개발자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UD-example(Projectr_AttachFile)  (0) 2017.11.03
CRUD-example(Member_AttachFile)  (0) 2017.11.03
CRUD-example(Exam_AttachFile)  (0) 2017.11.03
CRUD-example(investment)  (0) 2017.11.02
CRUD-example(reward)  (0) 2017.11.02
Posted by 전설의아이
|

기관설립일 : 2000년 07월 01일

설립근거 : 

국민건강보험법 제13조(보험자)

건강보험의 보험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공단"이라 한다)으로 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정관 제1조(목적)

이 법인은 『국민건강보험법』 에 따른 건강보험사업,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에 따른 장기요양사업, 그 밖의 다른 법령에 따라 위탁받은 사업을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하여 국민보건 및 사회보장을 증진함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설립목적

국민의 질병, 부상에 대한 예방, 진단, 치료, 재활과 출산, 사망 및 건강증진에 대하여 보험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국민보건 향상과 사회보장 증진에 기여함은 물론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 지원 등의 장기요양급여를 실시함으로써 노후의 건강증진과 생활안정 도모를 목적으로 설립

주무기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www.nhis.or.kr

소재지

강원도 원주시 건강로 32(반곡동, 국민건강보험공단)

사업자번호

105-82-11133

기관연혁

1963.12.06. 의료보험법 제정

1977.07.01. 최초의료보험 실시(종업원 500인 이상 사업장)

1979.01.01. 공무원 및 사립학교 교직원 의료보험 실시

1981.01.01. 100인 이상 사업장 의료보험 적용 확대

1988.01.01. 농어촌 지역의료보험 확대 실시

1989.07.01. 도시지역의료보험 시행, 전 국민 의료보험 실시

1998.10.01.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 출범(공.교공단과 227개 지역의료보험 통합)

1999.02.08. 국민건강보험법 제정

2000.07.01. 국민건강보험공단 출범(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과 139개 직장조합 통합)

2001.07.01. 5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 직장가입자 편입

2002.01.19. 국민건강보험재정건전화특별법 제정

2003.07.01. 보험재정통합(직장재정과 지역재정 통합)

2008.07.01. 노인장기요양보험 실시

2011.01.01. 사회보험 징수통합(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2016.01.21. 국민건강보험공단 본사 원주 이전


주요 기능 및 역할

<건강보험 사업>

― 가입자 및 피부양자의 자격관리

― 보험료 기타 국민건강보험법에 의한 징수금의 부과·징수

― 보험급여의 관리, 보험급여비용의 지급 및 사후관리

― 가입자 및 피부양자의 건강의 유지·증진을 위하여 필요한 예방사업

― 자산의 관리·운영 및 증식사업, 의료시설의 운영

― 건강보험에 관한 교육훈련, 홍보, 조사·연구 및 국제협력

― 국민건강보험법 또는 다른 법령에 의하여 위탁받은 업무

― 기타 건강보험과 관련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한 업무


<장기요양 사업>

― 장기요양보험가입자 및 그 피부양자와 의료급여수급권자의 자격관리

― 장기요양보험료 등의 부과·징수

― 신청인에 대한 조사, 등급판정위원회의 운영 및 장기요양등급 판정

― 장기요양인정서의 작성 및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제공

― 장기요양급여의 관리 및 평가

― 장기요양급여 관련 이용지원에 관한 사항

― 재가 및 시설 급여비용의 심사 및 지급과 특별현금급여의 지급

― 장기요양급여 제공내용 확인

― 장기요양사업에 관한 조사·연구 및 홍보

― 노인성질환예방사업

― 장기요양기관의 설치 및 운영

― 그 밖에 장기요양사업과 관련하여 보건복지부장관이 위탁한 업무


<사회보험 통합징수 사업> 

― 사회보험료 통합고지, 징수

― 체납 사회보험료 징수, 보험료 수납·정산 및 기금별 이체


경영목표 및 전략

○ 2017~2021년 중장기 경영목표 


<미션> 

- 국민보건과 사회보장 증진으로 국민의 삶의 질 향상 


<비전> 

- 평생건강, 국민행복, 글로벌 건강보장 리더


<핵심가치> 

- 희망과 행복(Happiness)

- 소통과 화합(Harmony) 

- 변화와 도전(Challenge)

- 창의와 전문성(Creativity)


<5대 전략목표> 

1. 지속가능하고 의료비 걱정 없는 건강보험

2. 건강수명 향상을 위한 전국민 맞춤형 건강관리 

3. 노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품격 높은 장기요양보험

4. 보험자 기능 정립으로 글로벌 표준이 되는 제도

5. 자율과 혁신으로 생동감과 자긍심 넘치는 공단


<전략목표별 전략과제>

1. 지속가능하고 의료비 걱정 없는 건강보험

1-1. 안정적 재원 기반확대

1-2. 보장성 강화 정책 지원

1-3. 합리적 진료비 관리체계 수립

1-4. 효율적 재정 관리체계 구축


2. 건강수명 향상을 위한 전국민 맞춤형 건강관리

2-1. 건강증진 연계협력 강화

2-2. 만성질환 예방체계 강화

2-3. 건강검진 체계 고도화

2-4. ICT 기반 건강정보 활용체계 정립


3. 노후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품격 높은 장기요양보험

3-1. 장기요양보험 보장성 확대

3-2.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 질 향상

3-3. 서비스 제공기반 선진화

3-4. 안정적 장기요양 재정관리


4. 보험자 기능 정립으로 글로벌 표준이 되는 제도

4-1. 보험자 기능 및 거버넌스 재정립

4-2. 新보건의료생태계 창출 기반 조성

4-3. 국제협력, 통일 등 미래대비

4-4. 빅 데이터 활용 지식기반 구축


5. 자율과 혁신으로 생동감과 자긍심 넘치는 공단

5-1. 경영관리체계 선진화

5-2. 국민 신뢰의 선도적 책임강화

5-3. 정보보호 및 IT 시스템 선진화

5-4. 창의와 소통의 조직문화 구축


<기관장>

성상철 (임기: 2014.12.01 ~ 2017.11.30 )

[주요경력]

― 대한정형외과학회 회장 

― 대한병원협회 회장 

― 한국국제의료서비스협의회 회장 

― 서울대학교병원장 

― 분당서울대학교병원장

―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조직도>


주요사업

1. 장기요양 운영사업

<연도별 예·결산액>

(백만원)

구 분 

'13결산 

'14결산 

'15결산 

'16결산 

'17결산 

장기요양 운영사업 

34,082 

41,021 

50,329 


사업목적 및 내용

인정관리 및 이용지원

[인정관리]

- 합리적 인정관리 체계 마련 및 등급체계 개편 관련 모니터링으로 수급자의 지속적 확대 및 인정관리 업무 개선

[이용지원]

- 수급자 중심의 이용지원 및 장기요양기관의 급여내용 적정관리를 통한 장기요양 급여의 질 제고

자원관리

[자원관리]

-장기요양기관의 효율적 관리·지원을 통해 양질의 서비스 제공 기반을 구축

[직무교육지원]

- 장기요양 5등급 급여제공 인력 인프라 확보 및 특화된 교육으로 급여의 질 제고

- 요양보호사 직무능력 상향평준화로 장기요양 급여의 질 제고 및 처우개선

급여평가관리

[급여평가]

- 장기요양급여 평가제도의 내실화 및 하위기관 질 관리로 서비스 질 향상을 유도하고, 평가결과 공개로 알권리 및 선택권을 보장하여 어르신 삶의 질 향상 도모

정책연구지원

[제도연구지원]

- 노인장기요양보험 정책평가 및 제도개선 연구로 제도의 내실화 마련

- 노인장기요양제도의 안정적 정착 및 발전을 위한 정책방향 제시

요양제도관리

[제도관리]

- 법령 등 정비 및 제도개선 지원으로 제도의 안정적 운영

- 이의신청업무 전산화 및 권리구제 기능 강화

고객서비스 및 홍보

[장기요양정보지원]

- 장기요양 서비스 확대 및 질 향상을 위한 홈페이지 이용자 만족도 향상

- 문화공연 및 건강체험활동 제공으로 삶의 의욕 고취 및 건강증진 기여

[고객서비스지원] 

- 효율적인 고객센터 운영으로 최고의 상담서비스 제공

- 고객중심 콜 운영 및 유기적인 협력으로 대·내외 경쟁력 강화

- 공단 특성에 적합한 도급운영 및 평가를 통한 선의의 경쟁을 유도

[정책및제도홍보]

- 고객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홍보전개로 고객서비스 경영체계 강화

- 범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위한 홍보활동 전개로 국민의 건강복지 만족도 향상

경영계획

[종합기획조정]

- 장기요양보험사업의 효율적 운영과 안정적 지원체계 구축

- 본부-지역본부-운영센터간 소통과 교류활성화를 통한 업무 효율성 증대

- 장기요양사업 대상자 확대 등 정책, 환경변화요소 적기 반영

- 유관기관과의 대외협력으로 사업추진 역량 강화

[직제및성과평가]

- 성과중심의 조직문화 정착으로 조직역량 강화

- 조직 및 정원의 합리적 조정으로 최적의 사업수행체계 마련

재정운용

[재정운용]

- 재정추계·분석 및 재무관리계획 수립으로 안정적 장기요양 재정관리

- 핵심사업 위주 전략적 예산편성 및 합리적 예산집행으로 경영목표 달성

- 표준화된 회계·결산에 따른 재무정보 제공으로 합리적 정책결정 지원

[지출및자금관리]

- 자금수지 관리 및 여유자금의 안정적 운용

- 자금운용 수익률 제고 및 리스크 관리 철저

- 정확하고 신속한 지출관리로 현금사고 ZERO화 실현

인력지원

[인력지원관리]

- 공정하고 합리적 인사관리를 통한 우수인력 개발 및 조직 안정화

[노사후생복지]

- 능력과 성과중심의 조직문화 정착을 통한 경영효율화합리적 복리후생관리 및 직원 만족도 제고

경영지원

[경영지원관리]

- 직원 일체감과 소속감 조성을 위한 소통과 화합의 열린 경영 추진

- 행정업무의 체계적·안정적 지원 및 계약업무의 투명·전문성 강화

- 공공기관 최대 봉사단을 활용한 사회적 책임과 나눔 경영 실천

- 보안관리·비상업무 대비 강화

[자산시설관리]

- 중소기업 우수제품 우선구매를 통한 사회적 약자와 상생협력 및 노후 집기비품 교체를 통한 사무환경 구축과 구매·계약 전문성 강화

- 고객 편의성 고려 및 안정적 임차사무실 확보로 효율적 업무 수행

- 본부이전을 통한 열악한 사무환경을 개선하여 내·외부 건강보험 고객 서비스 향상

감사

[감사]

- 내부감사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경영활동의 효율적 지원 등 자율적인 경영합리화에 기여

추진근거

정관 제 37조(사업) : ②장기요양사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등에 따른 업무를 수행


2. 장기요양 급여사업

<연도별 예·결산액>

(백만원)

구 분 

'13결산 

'14결산 

'15결산 

'16결산 

'17결산 

장기요양 급여사업 

4,006,661

4,409,392

5,160,372


사업목적 및 내용

장기요양 급여비지급

[급여지급관리]

- 정확한 급여비용 지급으로 수급권 보호 및 공단 신뢰성 향상

- 적기 급여비용 지급으로 자금의 효율적 운영 및 재정안정 도모

- 장기요양 개인급여내역의 효율적 관리 및 개인정보 보호

- 본인일부부담금 환급금 지급을 통한 수급자 재산권 보호

장기요양 급여 관리

[심사운영]

- 분석정보(Risk Mart) 운영으로 부당청구사전예방을 위한 객관적 심사체계와 효율적인 현지조사를 위한 과학적인 사후분석 시스템 마련

- RFID 시스템을 통한 급여제공내용(시작·종료시간 등) 실시간 확인으로 부당청구 사전예방

[심사관리]

- 장기요양보험 제도의 내실화를 위하여 효율적인 청구·심사 체계를 구축하고 장기요양 급여비용 등을 적정·적기 지급하도록 하고자 함

[급여사후관리]

- 장기요양기관 부당청구 급여비용 환수를 통한 보험재정 안정화 도모

- 신규부당유형 적극 발굴로 급여사후관리 강화

[보험료환급관리]

- 건강보험료 과오납 환급금 충당 및 지급 시 법정이자 지급

· 보험료 등의 영수환급(이중, 착오납부) 또는 정산환급(자격소급상실, 부과조정) 시 발생

· 과오납 보험료의 환급금 지급 시 법정이자를 가산하여 지급

[현지조사지원]

- 장기요양기관 운영의 적정성 등 장기요양사업 전반을 관리·감독, 부당행위를 한 기관을 적발하여 재정 누수 방지 및 수급질서 확립

장기요양 급여기준관리

[급여기준·수가관리]

- 장기요양급여제공기준 정비로 급여제공기준의 실효성 확보 방안 마련

- 수가가산 및 감액제도 개선으로 서비스 질 향상

- 서비스 모니터링을 통한 장기요양기관의 서비스 제공 수준 점검

[복지용구관리]

- 복지용구 선정 및 관리체계 정비

- 복지용구 품목 및 급여대상 확대

- 복지용구 대여품목 소독관리체계 확립

[요양시설건강관리강화]

- 요양시설 내 의료서비스 지원을 강화하기 위한 촉탁의 관리체계 개선 추진

-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수급자의 의료적 욕구 해소 및 상시적 건강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시범사업 추진

추진근거

정관 제 37조(사업) : ②장기요양사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등에 따른 업무를 수행

-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11조(장기요양보험가입 자격 등에 관한 준용), 제13조(장기요양인정의 신청), 제24조(가족요양비), 시행령 제12조(가족요양비 지급기준), 제29조(장기요양급여의제한), 제30조(장기요양급여의제한 등에 관한 준용), 제38조(재가 및 시설 급여비용의 청구 및 지급), 제42조(방문간호지시서 발급비용의 산정 등), 제43조(부당이득의 징수), 제44조(구상권), 제48조(관리운영기관 등)

-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규칙 제4조(의사소견서 발급비용 등), 제30조(장기요양급여비용의 청구 등), 제31조(장기요양 급여비용의 심사·지급), 제36조(방문 간호지시서 발급비용 등), 제41조(지방자치단체 간 분담비율), 제31조(장기요양 급여비용의 심사·지급), 제33조(장기요양급여 대상여부의 확인 등)


3. 장기요양 예방사업

<연도별 예·결산액>

(백만원)

구 분 

'13결산 

'14결산 

'15결산 

'16결산 

'17결산 

장기요양 예방사업 

2,665

491

609


사업목적 및 내용

노인성질환예방관리

[예방사업지원]

- 지역사회 네트워크 연계 체계 강화를 통해 어르신의 삶의 질 향상

- 노인성질환 예방에 필요한 각종 사회자원 및 건강 정보제공

추진근거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4조(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 등)

보건복지가족부 요양보험제도과-596호(2008.5.23) '노인장기요양보험과 지역보건복지 서비스 통합 연계지침'


4. 장기요양 정보화사업

<연도별 예·결산액>

(백만원)

구 분 

'13결산 

'14결산 

'15결산 

'16결산 

'17결산 

장기요양 정보화사업 

18,180

21,601

5,481


사업목적 및 내용

정보관리 일반

[IT기획]

- 정보시스템인프라 관리

· 정보시스템(UPS 등 부대장비 포함)에 대한 유지관리

· IT인력 부족에 따른 응용개발 유지관리 실시로 원활한 전산개발 지원

· 노후화 PC(노트북) 정기 교체 및 최신 사무용 SW 도입으로 정보시스템 사용 지원

- 업무망과 인터넷망 분리

· 인터넷망과 업무망 분리를 위한 보안시스템 및 통신망 환경 구성

· 인터넷PC용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 및 인터넷 전용PC 도입

- 장기요양보험 정보시스템 안정적 운영

- 장기요양보험 DW 사용자 교육

[빅데이터운영]

- 장기요양보험 정보시스템 안정적 운영

- 장기요양보험 DW 사용자 교육

추진근거

정보관리 일반

[IT기획]

- 정보시스템 인프라관리

· 정보시스템운영지침

· 노인장기요양보험법('07.4.27.), (시행령('07.9.27.), 시행규칙('07.10.17.)

[빅데이터운영]

- 「통계법」 제4장 통계의 작성·보금 및 이용, 제11조 자체통계품질진단

- 통계관리지침


5. 행정지원사업

<연도별 예·결산액>

(백만원)

구 분 

'13결산 

'14결산 

'15결산 

'16결산 

'17결산 

행정지원사업 

196,783

209,622

222,715


사업목적 및 내용

장기요양 인건비

[총인건비]

- 보수 등 지급의 합리성 및 관리의 효율화를 통한 인건비 적정 지급

· 보수, 퇴직급여비, 급여성복리후생비, 사회보험 사용자부담금, 월정직책급

※ '2016년 공기업·준정부기관 예산편성지침' 준수 … 인건비 인상률 3% 적용

[기타인건비]

- 「인사규정」 제103조 제1항 제1호에 따른 연구직에게 지급하는 연구활동비

장기요양 기본경비

[기본경비]

- 본부 각 부서 및 지역본부의 효율적 운영을 윟나 기본경비

· 본부 12개 부서, 연구원, 인재개발원 및 6개 지역본부별 세부사업으로 구분

추진근거

장기요양 인건비

[총인건비]

- 공기업·준정부기관 예산편성/집행지침, 임금협약, 단체협약, 보수규정

[기타인건비]

- 공기업·준정부기관 예산편성/집행지침, '예산집행지침' (공단)

장기요양 기본경비

[기본경비]

- 정부 예산편성지침 준용, 기재부 '공기업·준정부기관 예산편성지침' 준수

- 2017년도 사업예산안 편성지침('16.5월)

· 사업별 적정예산 확보 및 예산운용의 투명성·수용성 제고를 위한 예산운용체계 개선사항 반영


6. 시설관리사업

<연도별 예·결산액>

(백만원)

구 분 

'13결산 

'14결산 

'15결산 

'16결산 

'17결산 

시설관리사업 

8,363

9,124

11,018


사업목적 및 내용

사옥관리 … 자체사옥 115개소

[본지사사옥관리]

- 자체사옥의 사전 예방점검으로 재해예방 및 시설물의 안전관리유지

- 시설물 유지보수를 통한 사무환경 개선과 장애인, 노약자 등의 이용편의 제공

- 사무환경이 열악한 임차 및 자체 사옥을 대상으로 내·외부 만족도 제고를 위한 부지매입 및 사옥신축

- 사옥관리의 효율성 증대 및 예산절감을 위한 미사용 사옥 매각

인재개발원 관리

[인재개발원운영]

- 연수시설(교육·숙박시설 등) 관리 및 유지보수를 통한 쾌적한 교육환경 조성

- 집합교육 등 내부교육에 우선 사용하고 유휴 시설은 유관기관 등 외부임대 또는 지역사회에 연계하여 활용하도록 운영

[인재개발원교육]

- 리더(관리)역량, 직무역량, 기본역량 등의 교육훈련을 통한 조직의 효율성 및 업무수행 능력의 향상

추진근거

사옥관리

[본지사사옥관리]

공단 정관 제37조 제1항 6호 : 자산의 관리·운영 및 증식사업


7. 재무지출사업

<연도별 예·결산액>

(백만원)

구 분 

'13결산 

'14결산 

'15결산 

'16결산 

'17결산 

재무지출사업 

357 

-

840

28,946


사업목적 및 내용

재원관리

[예비비]

- 예측할 수 없는 예산외의 지출이나 예산을 초과하는 지출에 대비

※ 요양급여비를 제외한 예산액의 3% 이내 금액

추진근거

지원근거

- 국민건강보험공단 정관 제56조(예비비)

추진경위

- '09년부터예측할 수 없는 예산외의 지출을 대비한 일반 예비비 및 경영평가성과급 등 목적성 예비비를 편성 지급대비


2016회계연도 감사보고서

공단의 개요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공단")은 국민의 질병·부상에 대한 예방·치료·재활과 출산·사망 및 건강증진에 대하여 보험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국민보건을 향상시키고 사회보장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국민건강보험법에 의거 2000년 7월 1일에 종전의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과 직장조합을 통합하여 설립된 무자본 특수법인입니다. 공단의 본부는 강원도 원주시 건강로 32(반곡동,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6개 지역본부와 178개 지사를 두고 있습니다.

한편, 공단은 2008년 7월 1일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48조에 의한 장기용양보험 가입자 및 그 피부양자와 의료수급권자의 자격관리, 장기요양보험료 등의 부과징수, 신청인에 대한 조사, 등급판정위원회으이 운영 및 장기요양등급 판정, 장기요양급여의 관리 및 평가, 재가 및 시설 급여비용의 심사 및 지급과 그 밖의 장기요양사업과 관련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또는 다른 법령에 의하여 위탁받은 업무 및 기타 노인장기 요양보험과 관련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011년 1월 1일부터 국민연금법 제88조에 의해 4대 사회보험(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징수업무를 3개 공단에서 각각 수행하던 것을 국민건강보험에서 통합관리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복합민원 시스템 관리, 사업보험료 등의 고지관리, 수납관리, 정산, 납부확인서 발급뿐만 아니라 체납사회보험료 등의 독촉 고지, 체납처분 승인 및 재산조사, 압류 및 압류해제 관리, 분할납부 관리, 결손처분 및 사후관리 및 저소득·취약계층 보험료 지원업무를 국민건강보험법 등에 따라 영위하고 있습니다.

또한, 공단은 국민건강보험법 제 14조 제1항12호 및 13호에 의해 규정된 타 기관장 및 단체장의 업무 중 일부를 위탁 받아 그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위탁받은 업무의 수행 시 필요한 비용을 해당 기관 및 단체로부터 매월 예탁을 받아 그 금액의 범위내에서 지출하고 있습니다.

공단의 회계는 크게 건강보험사업과 장기요양사업, 사회보험통합징수사업 및 수탁사업으로 나누어지며, 건강보험사업 회계는 건강보험업무와 본지사 사옥 관리 및 이와 관련된 모든 거래에 대한 회계업무처리를 관장하는 일반회계와 의료시설 등을 관리 운영함에 따라 발생하는 모든 거래에 대한 회계업무처리를 관장하는 특별회계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장기요양사업회계는 일반회계와 특별회계로 구분하고 있으며, 일반회계는 장기요양보험료를 재원으로 하는 재정과 국가ㆍ지방자치단체 부담금을 재원으로 하는 재정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기요양기관 등을 관리 운영함에 따라 발생하는 모든 거래에 대한 회계업무처리를 장기요양사업회계의 특별회계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사회보장통합징수사업 회계는 국민연금사업, 고용보험사업, 산업재해보상보험사업, 임금채권보장사업 및 석면피해구제사업으로 구분하고 해당 징수위탁사업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를 처리하는 회계입니다. 수탁사업회계는 의료급여비지원, 건강생활유지비 지원, 임신출산진료비 지원 등 20개의 수탁사업회계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경영평가 지적사항

2016년도

(4) 장기요양사업

① 장기요양제도 만족도 목표가 완만한 목표라고 판단되므로 보다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할 필요

② 장기요양보험 신청 안내 타깃팅 기준을 장기요양사업의 취지를 반영, 85세 이상 최고령자 집단을 최우선으로 포함하여 80세 이상을 1차 타깃팅으로 선정

③ 건강검진의 인지기능장애 평가도구 문진표 결과를 활용한 장기요양 인정신청 안내가 효과적이지 못하므로 개선 노력 필요

④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사전 예방 시스템 강화 노력 필요

⑤ 장기요양 인정률은 7.06%('15년)로 OECD 평균 인정률 12.7%('13년)에 크게 못 미치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

⑥ 장기요양비 지출이 OECD 평균대비 40% 수준에 불과하여 향후 5년간 9.7% 증가가 전망되므로 수입확충 및 지출합리화 등을 통한 중장기 재정관리 강화 필요

지적사항

조치계획 

조치내용 및 결과 

① 장기요양제도 만족도 목표가 완만한 목표라고 판단되므로 보다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할 필요 

○ 장기요양보험제도 만족도 목표 상향 조정

- ('15년) 89.3% → ('16년) 90.1% … '15년 만족도 89.7% 대비 0.4%↑

○ 만족도 산출방식 개선으로 조사결과 신뢰도 제고

- (현행) 긍정 응답비율 산출('만족 이상) → (개선) 100점 척도 산출

○ 직무급을 성과연봉에서 분리운영으로 조치 완료

② 비간부직의 성과중심 보수체계 구축 및 성과연봉체

○ 맞춤형 타깃팅으로 사각지대 해소 추진

- 80세 이상 치매 진료자, 실종이력 있는 치매 노인, 중풍 등 뇌질환자를 대상으로 장기요양 신청 안내문 발송

○ 맞춤형 타깃으로 사각지대 해소노력

- 장기요양 신청자의 평균 연령은 79.3세, 인정자의 평균 연령은 80.8세인 점을 고려하여 80세 이상을 타깃으로 선정

- 치매 진료내역이 있거나 치매 진료 후 치료 약제 복용중인 노인을 선정 노인장기요양보험 신청 안내문 발송(71,215명)

○ 신청대비 인정률 72.5%(적중률 전년대비 18.9%↑)

- 신청자 4,631명, 인정자 3,356명

③ 건강검진의 인지기능장애 평가도구 문진표 결과를 활용한 장기요양 인정신청 안내가 효과적이지 못하므로 개선 노력 필요

○ 신청 안내대상 선정 기준 변경

- 치매 유병률이 높은 연령대 집중 안내 추진

- (기존) 만 66세, 70세, 74세 → (변경) 74세

○ 실질적인 장기요양 서비스가 필요한 대상으로 안내 실시

- 기존 건강검진 인지기능 저하자 (66세, 70세, 74세) 대상 1차 안내문 발송

- 5개월 후 연령이 높고(70세, 74세) 치매 진단을 받은 자에게 2차 장기요양 인정신청 타깃 안내 

④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사전 예방 시스템 강화 노력 필요

○ 급여비용 지급 전 사전예방체계 강화

- 부당청구감시시스템(FDS) 구축('16.4. 오픈)

- 부당모형 심사연계를 통한 정밀 심사 기반 제공

○ 지속적인 모형개발 위한 「청구경향분석심의위원회」 운영

- 분석과제 선정·검증 → 신규 부당 모형 발굴 및 활용(현지조사 등)

FDS시스템 가동('16.4)

- 빅데이터와 현장경험을 접목한 정교한 분석시스템 구출(부당모형 84개)

' 청구, 심사, 현지조사 실시간 업무지원(사전모형 28개, 사후모형 47개, 이상징후 통계모형 9개)

○ 청구심사 정교화

- 급여비 지급전 사전 부당모형 28개 탑재 → 94개 항목 수기심사, 178억원 반송(전년대비 39.8%↑)

- 종사자 해외출입국 내역 등 5개 모형 최초 정밀심사 구현, 12.7억원 사전차단

○ 현지확인 심사 확대

- 청구내용 현지확인심사 확대 207개소(전년대비 26.2%↑) → 126개소, 1.9억원 부당확인

- 기획 현지확인심사 254개소 중 185개소, 4.3억원 부당확인(현지조사 102개소 의뢰) → 방문 목욕 과다, 사회보기사 가산 등 사전 부당모형 활용 

⑤ 장기요양 인정률은 7.06%('15년)로 OECD 평균 인정률 12.7%('13년)에 크게 못 미치고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

○ 수급자 발굴을 위한 홍보계획 수립·시행(16.4.15.)

- 빅데이터 활용한 맞춤형 타깃팅 홍보 

- 건강검진결과 인지기능 저하자 대상 5등급 제도 안내

○ 장기요양 갱신절차 간소화 추진 

- 갱신결과 동일등급자 인정유효기간 연장(1등급 4년 등)

- 신체기능 호전을 예상하기 어려운 수급자는 갱신조사 생략 등

○ 인정률 편차 분석 및 관리방안 마련

- 「인정률 편차 분석 및 관리방안」 연구 추진('16.5.~12.)

- 전문가 및 유관기관 등 각계의 의견 수렴을 위한 공청회 개최

- 인정조사 전문성 강화 등

 - 유관기관 협업 : 경찰청 등 기관간 협업을 통하여 취약대상 집중 발굴

- 대국민 홍보 : 공익 캠페인 및 보도자료 배포 등 홍보 실시

- 인정조사 판단기준 개선 : 수행능력 판단기준(5개 항목) 합리적 완화로 6.5천명 수급자 확대

○ 장기요양 갱신절차 간소화 추진완료('17.1.1. 시행)

- 갱신결과 동일등급자 인정유효기간연장(1등급 4년, 2~4등급 3년)

○ OECD 장기요양 인정률 산정기준은 운영방식, 재원부담, 연령기준 상이로 단순 비교는 어려움

- 그러나, 우리나라도 제도 및 재원부담 주체를 불문할 경우 65세이상 노인인구 중 장기요양 수급자, 노인돌봄 서비스 이용자, 건강백세 운동교실 이용자, 요양병원 입원자를 포함하면 13.1% 정도 혜택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됨

- 인정률 편차 분석 및 관리방안 마련 연구용역 추진(16.5~12월) 및 전문가 등 각계의 의견 수렴을 위한 공청회 개최(16.9.8)

○ 장기요양 수급자 5만2천명, 전년 대비 11.1%↑대폭 증가

⑥ 장기요양비 지출이 OECD 평균대비 40% 수준에 불과하여 향후 5년간 9.7% 증가가 전망되므로 수입확충 및 지출합리화 등을 통한 중장기 재정관리 강화 필요

○ 중장기 재무관리계획 수립, 지출합리화 추진

- '장기요양 재정실무협의체' 구성

- 중장기 재무관리 실행과제 추진

(수입확충 11개, 지출합리화 7개)

○ 요양급여비 지출 증가 추세 반영한 재무관리계획 수립하여 정부 설득

- 국고지원금 297억원 증액 확보

○ 중장기 재정관리계획 수립을 통한 재정건전화 실행방안 마련

- '16년도 재무관리 목표 달성 ... 부채비율 실적 22.2%(목표 24%)

○ '16년도 재정건전화 과제 추진으로 3,634억원 추가 재원확보 ... 122.4% 달성(목표 2,970억원)

- 수입확충 11개 과제 2,658억원

- 지출절감 7개 과제 976억원


2015년도

(4) 장기요양사업

① 장기요양 인정률 개선을 위한 체계적 전략 수립 및 도전적 목표 설정 필요

② 장기요양제도 만족도 개선과 장기요양 수혜자나 그 가족들의 니즈 파악 만족도 측정 노력 미흡

③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부당금액 환수 활용방안 모색 및 전문인력 확보 필요

④ 급여비 청구에 대한 사전 예방 활동을 강화할 수 있는 선제적 개선방안 마련

⑤ 치매전문인력 교육의 양과 질을 제고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 개발과 활용 필요

⑥ 수급자 맞춤형 상담관리 위해 수급자 니즈를 파악하고 반영하는 제도마련 필요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는 창조경제의 기반이다. 특히 최근에는 빅데이터, 모바일, 웨어러블이 새로운 화두가 되고 있다. 더 나아가 사물 인터넷은 인간과 인간 사이의 연결뿐만 아니라 인간과 사물의 연결, 사물과 사물의 연결도 가능하게 한다. 창조의 가능성이 무한하게 열려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여기에 개인 정보 보호와 프라이버시 보호 등을 보완해야 진정한 창조경제를 만들 수 있다.


창조경제의 기반


ICT는 창조경제의 핵심 기반이다. ICT가 모든 산업과 기업의 인프라로서 기존 상품과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또한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만들어 낸다. 무엇보다도 인터넷은 우리 경제를 디지털 경제로 완전히 탈바꿈시켰다. 브로드밴드는 이러한 인터넷을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우리나라는 브로드밴드 보급률에서 세계의 선두 국가로, 창조경제에 가깝게 갈 수 있는 디지털 경제를 구현해 냈다.


ICT 분야에서는 최근에 BMW가 화두가 되고 있다. BMW는 빅데이터(Big Data), 모바일(Mobile), 웨어러블(Wearable)을 의미하는 신조어다. 모든 서비스를 데이터로 치환하여 맞춤형, 개인형 서비스로 탈바꿈하여 제공하는 것은 이제 우리가 대중(Mass)의 시대에서 개인(Personal) 시대로 들어가는 기술적인 기반이 된다. 


모바일은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넘어서 언제 어디서나 연결되고 소통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한편 기존에 사각형 위주로 정형화한 형태의 디바이스가 지닌 한계를 넘어서 입고, 휘고, 걸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는 이제 인간을 넘어 사물도 소통의 장으로 끌어들이는 혁신이다. 결국 BMW에 창조경제의 새로운 가능성이 담겨 있는 것이다.


빅데이터는 ICT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드는 기폭제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새로운 서비스다. 빅데이터란 기존의 관리와 분석 체계로는 처리할 수 없었던 방대한 데이터를 말한다. 그런데 이제는 이런 데이터를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하면서 빅데이터가 사회와 경제 분야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다. 대규모 데이터와 관계된 기술과 도구(수집·저장·검색·공유·분석·시각화 등)도 빅데이터의 범주에 포함된다. 


과거 빅데이터는 천문·항공·우주 정보, 인간 게놈 정보 등 특수 분야에 한정됐으나 ICT의 발달에 따라 이제 산업 전 분야로 확산되고, 어느덧 우리 일상생활에까지 파급되었다. 이제는 ICT를 전망할 때 빼놓지 않고 등장하고 있는 분야가 빅데이터가 되었다. ICT의 일상화가 이루어지는 스마트 시대에는 소셜, 사물, 데이터 등이 결합해 빅데이터의 영향력이 증대한다.


2008년 2월 구글은 ‘구글 독감 트렌드 서비스’라는 독감 유행 수준을 파악하는 서비스를 발표하였다. 구글은 독감에 걸리면 나타나는 증상들에 관한 검색어가 얼마나 자주 검색됐는지를 파악하여 독감 확산을 예측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의 공표보다 열흘 앞서 독감의 창궐을 탐지하는 성과를 이루어 냈다. 이는 종전에는 감지하기 어려웠던 수많은 커뮤니케이션으로부터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해 낸 것이다. 서울시가 심야 버스 운행을 위해 최적의 노선을 찾는 데 빅데이터 기술을 사용한 것은 빅데이터가 바로 우리 생활 가까이에 있음을 보여 주는 사례다.


이렇게 빅데이터가 중요해지는 이유는 첫째, ICT 주도권이 데이터로 이동하기 때문이다. 모바일, 클라우드, SNS의 등장으로 근본 인프라와 데이터에 변화가 일어났고, 이에 따라 데이터를 바라보는 시각이 변화했다. 무엇보다도 데이터 폭증에 대한 대응과 데이터 분석이 ICT의 중요 이슈로 부각되며 빅데이터가 ICT 시장과 기술발전의 핵심 주제로 인식된 것이다.


둘째, 2010년 이후 본격적인 스마트, 모바일 확산과 함께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정보를 생성하는 소셜 데이터 혁명이 발생한 것도 주요 원인이다. 페이스북, 트위터 등 SNS 이용 확산과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변화는 데이터 변혁을 가져온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셋째, 이에 따라 세계의 정부와 기업들은 빅데이터가 향후 조직이나 기업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는 새로운 사회적, 경제적 가치의 원천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빅데이터에서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고 잠재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기업들은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반면, 그렇지 못한 기업들은 뒤떨어질 것이기 때문이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13a).


이제 구글(Google)은 검색엔진 회사가 아니라 빅데이터 기업으로 불릴 정도가 되었다. 아마존(Amazon)이나 나이키(Nike) 등 많은 기업들도 소비자들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업에 활용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쏟아내는 엄청난 디지털 데이터와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도구의 개발로 기업은 소비자들을 정교하게 분류하여 제품이나 서비스를 이러한 수요에 맞추어 제공할 수 있다. 소위 ‘버려진’ 데이터를 가지고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기회가 무수하게 늘었다는 것만으로도 빅데이터는 창조경제의 기반이 되기에 충분하다. 세계의 데이터 양이 2년마다 두 배로 증가하는 엄청난 데이터 홍수 속에서 빅데이터의 잠재력을 현실화하면 공공, 민간 영역에서 성과는 크게 향상될 것이다.


한편 스마트폰 기기 보급률이 100%를 넘어섬으로써, 우리는 이제 언제 어디서나 연결돼 일을 하고, 휴식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모바일은 우리의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극복하게 만드는 결정적인 도구다. 이렇게 되면 디지털 이용과 물리적인 경험이 자연스럽게 통합된다. 물리적인 세상이 디지털적인 성격을 갖게 되고, 디지털 상호작용이 쇼핑과 같은 물리적인 경험과 혼합되는 것이다. 


기업들은 물리적인 세상에서 이루어지던 경험들에 디지털 증강 기술을 적용하여 소비자들과 새로운 관계를 맺는다. 삼성전자는 소비자들이 표시판에 스마트폰을 가까이 대기만 해도 디지털 콘텐츠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빌보드를 갤럭시S3 스마폰에 적용하였다(한국정보화진흥원, 2013b). 인간은 이제 모바일 기기를 통해 온라인 서비스에 항상 접속되어 있는 생활 행태를 갖게 된다.


초연결 사회


이런 환경에서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이 필수가 된다. 지금까지의 인터넷 이용이 인간과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을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면, 이제는 사물과 사물의 연결로까지 인터넷이 확장되는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등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확대되고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스마트 카 등으로 스마트화의 대상이 확대되면서 이제 인간은 보다 시야를 넓혀 각종 사물들이 인터넷에 연결되고 스마트화하는 환경을 만들어 가고 있다. 


자동차, 가로등, 신발, 옷, 의학기기 등 모든 사물이 연결되면 스마트 기기는 몇 개가 아니라 500억 개 이상으로 늘어난다. 기계와 인간, 기계와 기계가 교류하고 대화하는 시대가 오는 것이다. 특히 소비자 가전, 자동차를 중심으로 사물 인터넷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물 인터넷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기존에는 디바이스가 서비스와 별도로 존재해 왔고, 또 디바이스 각각의 특성을 유지한 채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 디바이스는 점차 플랫폼으로 확산되거나 통합하려는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가 변화의 핵심에 자리 잡고 있다. 이동성(Mobility)을 통해 예전에는 생각하지 못한 범위로 확장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필수다. 


아예 항상 몸에 착용하는 데까지 ICT를 연결하여 인간과 사물을 보다 쉽게 연결시키고, 디테일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하여 정보 이용의 범위를 크게 확대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 특히 헬스와 건강에 대한 정보를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수시로 체크할 수 있게 하며,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위급한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과 야외 활동에 대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고, 이러한 데이터에 다양한 서비스를 연계해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런 변화에 따라 이용에서도 혁신이 나타나고 있다. 2013년 삼성전자는 갤럭시 기어라는 스마트 시계를 출시하였고, 구글은 구글 안경(Google Glass)을 개발하였다. 세계적인 두 ICT 기업이 시계와 안경에 주목한 것은 의미심장하다. 스마트 시계를 통한 개인 정보 활용은 물론,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노트북 등과 결합한 동반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디바이스 간 데이터 이동의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예는 모든 사물로 확대된다. 예컨대 ‘스마트 칫솔’은 칫솔에 센서가 내장되어 이를 닦을 때 치석이 얼마나 껴 있는지 감지하여 알려 준다. 전용 앱을 사용하면 이를 닦는 동안 치약을 얼마나 썼는지, 올바르게 칫솔질을 했는지 등 상세한 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유아복’은 체온과 맥박 등 아기의 신체 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부모에게 전달해 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야말로 모든 사물에 ICT가 결합되는 혁명적인 생활 환경을 맞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렇게 ICT가 우리 생활에 깊숙이 파고들수록 개인 정보 보호는 점점 더 중요해진다. 모바일을 통해 항상 접속되면서 디지털 경험과 실제 경험이 통합되는 것은 프라이버시를 더욱 취약하게 만든다. 따라서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해 사회와 기업, 개인의 인식 전환이 필요한 때이다. 데이터의 증가로 민감하거나 부적절하게 위장된 데이터로 인한 위험도 증가한다. 지적재산권 문제도 발생한다. 데이터 권리나 공유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ICT의 발전을 통해 우리 사회는 진정한 ‘초연결 사회’를 구현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이 인터넷과 모바일로 연결되는 이러한 초연결 사회야말로 창조경제가 구현될 수 있는 기반이다. 우리나라는 특히 이러한 초연결 사회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사회의 하나다. 단순하게 경제를 넘어서 사회 전체가 창조 사회로 가는 길을 ICT가 깔고 있다.



















Posted by 전설의아이
|

1. 와디즈에서 투자하는 방법이 궁금하다면

Q. 와디즈 투자? 주식투자 같은건가요?

와디즈는 코스닥, 코스피에 상장되지 않은 초기기업이 일반 대중으로부터 투자금을 모으는 플랫폼입니다. :) 투자자 입장에서는 1만원부터 200만원까지 소액으로도 기업에 투자할 수 있고, 쇼핑하듯이 온라인으로 투자할 수 있기 때문에 아주 매력적인 서비스라고 할 수 있지요!

평생 만나보기 어려웠던 좋은 기업들에 '직접 투자' 해보시고, 기업들의 성장을 함께 지켜보며 색다른 주주총회에 참여하거나, 남다른 수익률을 경험해보시기 바랍니다. 

꼭 읽어주세요!

- 와디즈에는 기업의 주주가 되는 <주식형> 투자와 고정/변동 금리에 대한 이율을 지급받는 <채권형> 투자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 <주식형> 투자 중에는 <소득공제>가 되는 프로젝트가 있답니다! (아주아주 좋은 꿀혜택이오니 꼭 잊지 말고 챙겨가세요)  소득공제 안내 바로가기

- <주식형>은 기업가치가 적정한지, 기업의 성장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해보시고 <채권형>은 회사가 안정적인지, 이율이 매력적인지 등을 판단해보시기 바랍니다.


5분만에 와디즈 투자회원 가입하기

1. 이메일을 입력하고

2. 이메일 인증을 하고 

3.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1단계 완료!

※ 주민등록번호, 주소, 신분증과 같이 금융거래를 위한 법적 필수 정보를 입력합니다.

4. <휴대폰 본인인증> 또는 범용공인인증서로 본인인증을 합니다.

5. 실명확인증표(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中 택1)을 업로드 합니다.

     - 투자를 하시려면 실명확인증표를 업로드 하신 후 인증이 되셔야 합니다 :)
     - 신분증은 회원가입 시점으로부터 3시간 이내에 확인되오니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이제 투자를 해봅시다!

1. 출금계좌, 보안카드(또는 OTP), 공인인증서를 준비해주세요.

※ 증권계좌가 필요한 이유는 투자한 증권(주식 또는 채권)을 입고받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투자금을 이체하실 때는 주거래 은행계좌를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

2. 투자하실 프로젝트를 클릭해주세요. (페이지 URL이 있다면 바로 접속해주세요!)
3. <투자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4. 주식의 경우 주식수량을, 채권의 경우에는 구좌수량을 입력합니다.
1구좌당 10만원인 경우 5구좌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50만원!
(일반 투자자는 한 기업당 200만원까지 투자 가능. 연간 500만원까지 투자가능)

5. 증권계좌 또는 상환계좌를 설정합니다.
주식형의 경우에는 무조건 증권계좌가 필요합니다. 단, 채권형 중에 채권이 입고되지 않고 종이채권(실물)로 발행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상환 계좌>만 입력받고 있습니다. 은행계좌를 입력하시면 채권 만기일에 돈을 상환하는 구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6. 청약하신 수량과 금액, 투자위험고지 내용을 이메일로 발송해드립니다. 내용을 확인하신 후에 인증번호를 입력하시고 <인증하기>, <작성 완료> 버튼을 순차적으로 클릭해주세요.

7. 투자 예약 (청약신청서 작성)이 완료되었습니다. 
   <증거금 입금 기한>까지 투자금(증거금)을 이체해주세요.! 

실시간 투자금(증거금) 이체하기

실시간 이체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BANK PAY> 실시간 이체 창이 뜹니다.
출금계좌와 보안매체 (보안카드, OTP), 공인인증서 비밀번호까지 입력하면 끝!

혹시 과정이 어려우신가요!
오른쪽 하단에 있는 채팅창을 이용하시면 1:1로 친절한 안내를 드립니다 : )

추가 궁금하신 사항은 아래 투자자용 가이드북을 찬찬히 살펴봐주세요 :) 
감사합니다.


Q. 와디즈는 안전한 회사인가요?

A. 네, 그렇습니다. No.1 크라우드펀딩 와디즈입니다.

'안전하다'는 것이 주관적 성격이 강한 단어이긴 하지만 와디즈는 안전한 회사입니다. 다양한 신뢰 장치들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발행기업이 폐업이 되거나 재정적 어려움이 있을 수는 있지만, 건전한 크라우드펀딩이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중개플랫폼으로서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1. 자본시장법에 근거한 온라인소액투자중개업으로 금융위원회에 등록된 금융회사로 법적 규율 내에서의 안정성이 있습니다.

2. 투자자 보호를 위해 마련된 법적 규제 장치들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와디즈에서 투자할 때 전혀 리스크가 없는 것일까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와디즈에서 크라우드펀딩을 진행한 발행기업에게 이슈가 생기는 경우에는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회사가 폐업을 하거나, 폐업하지는 않아도 기대만큼 회사가 성장하지 못하거나, 지분 희석이 발생하는 경우 등에는 투자하신 원금을 회수하지 못하실 수도 있습니다.


Q. 와디즈와 P2P 대출 어떻게 다른가요?

A. 비슷한 것 같은데, 다른! 와디즈와 P2P 대출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와디즈와 P2P(Peer to Peer) 대출은 비슷하지만 다른 종류의 크라우드펀딩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군중을 뜻하는 크라우드(Crowd)와 자금을 모으는 의미의 펀딩(Funding)이 합쳐진 단어랍니다. 자금을 필요로 하는 수요자를 위해 금융기관 없이 소셜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불특정 다수(Crowd)가 온라인을 통해 십시일반으로 자금을 모으는 것을 뜻합니다.

이러한 크라우드펀딩의 종류는 4가지가 있습니다.

- 리워드형(후원형): 펀딩의 댓가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

- 투자형(지분투자형): 펀딩의 댓가로 주식이나 채권 등을 받을 수 있음

- 대출형: 최근에 잘 알려진 P2P가 대출형에 해당하며, 소액 대출을 통해 개인/사업자가 원금 및 이자를 상환하는 방식

- 기부형: 보상의 조건이 없이 순수한 기부만을 목적으로 함

와디즈는 현재 리워드형과 투자형을 서비스하고 있고, P2P는 대출형에 해당합니다. 같은 크라우드펀딩이라는 영역이지만 종류가 다른 크라우드펀딩인 것이지요.

그렇다면, 무엇이 다른걸까요? 

P2P와 와디즈의 투자형을 비교해드리겠습니다. 투자자가 느낄 수 있는 매력포인트가 와디즈에는 많습니다.

첫 번째로 직접 투자인지 아닌지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자금을 모집하고자하는 수요자(기업 등)에게 투자자가 직접 투자를 할 수 있다는 점이 와디즈에서 누릴 수 있는 매력포인트가 되겠습니다. P2P 역시 새로운 영역이라 낯설기도 하실텐데요. 투자자와 자금수요자의 관계를 놓고 볼 때 P2P는 직접 대출계약이 체결되는 관계는 아닙니다. 대부분의 P2P 회사들은 '원리금수취권매매형'의 방식으로 자금조달과 원리금상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로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자(이익)에 부과되는 세율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와디즈에서 채권에 투자를 하였고 그에 이익이 발생했다면, 세율은 15.4%입니다. P2P는 비영업대금의 이익이기 때문에 세율은 이자소득세 25%와 지방소득세 2.5%(총 27.5%)입니다. 

세 번째로 소득공제의 혜택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습니다.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에의 출자 등'에 해당할 경우에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가 있는데요. 와디즈의 크라우드펀딩을 통해서 벤처기업과 중소기업의 주식에 투자할 수 있기 때문에 소득공제 혜택을 받으실 수 있게 됩니다. P2P의 특성상 주식에 투자하는 방식은 아니기 때문에 아쉽게도 소득공제 혜택은 없습니다. 소득공제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해서 확인해주세요 😄

네 번째로 일정 요건을 갖춘 크라우드펀딩 성공기업은 KONEX(코넥스) 시장에 특례상장이 가능합니다.

구분

추천인

특례상장 요건 

금액

투자자수

펀딩성공기업

중개사

3억원 

50인(전문투자자 2인 포함) 

정책기관 

1억원

50인(전문투자자 2인 포함) 

KSM 등록기업

중개사

1.5억원

50인(전문투자자 2인 포함) 

정책기관

0.75억원 

50인(전문투자자 2인 포함) 


Q. 와디즈 투자 수익률은 와디즈에서 보장하는 것인가요?

A. 와디즈의 모든 투자형 프로젝트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와디즈를 믿고 투자해주는 분들이 참 많으신데요.

한 가지 분명하게 말씀드릴 것은 와디즈에서 만나실 수 있는 모든 투자형 프로젝트들은 원금 손실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기업이 앞으로 급격하게 성장할 것이라는 보장도, 투자 수익률도, 주가가 상승할 것이라는 약속도 해드릴 수는 없습니다 😅

특히 '투자설명서'에 대해서는 와디즈에서 '사실확인'이라는 단계를 거치고 있습니다. 발행기업에서 투자자분들께 설명드리기 위해 준비하는 자료들에 대한 사실 확인입니다. 투자설명서의 내용 중 기업에서 준비한 앞으로의 사업계획(방향성) 등은 아직 다가오지 않은 미래이기 때문에 사실 확인을 할 수 없는 영역이라는 점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지금까지 그 기업이 무엇을 했다라고 주장하는 부분에 대해서 사실 관계를 확인한 것입니다.

다만, 와디즈에서는 투자자분께서 진행되는 거래가 안전하게 거래될 수 있도록 중개시스템을 준비해두었고, '핵심정보'와 '투자설명서' 그리고 '피드백' 메뉴를 통해서 발행기업과 투자자가 직접 소통을 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해두었습니다. 이 기능들을 적극 활용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Q. 오픈예정이란 무엇인가요?

A. 프로젝트 오픈 알림 서비스

정말 관심있는 기업에 투자할 수 있는 기회를 얻고자 한다면,

그 프로젝트가 언제 오픈하는지, 오픈할 때 가장 먼저 소식을 알고 싶을텐데요 :)

그러한 투자자의 니즈를 채워드리기 위해 마련한 것이 바로 오픈 예정 서비스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프로젝트 오픈 알림 서비스입니다.

오픈예정을 신청한 예비투자자들에게 프로젝트 오픈 되기 전 또는 오픈된 직후에 문자(또는 이메일)로 오픈되었다는 소식을 알려드립니다.

프로젝트가 오픈 되었다는 소식을 널리 알릴 수 있는 유용한 서비스입니다 


Q. MAC에서는 투자가 안되나요?

A. 청약신청서는 작성하실 수 있지만, 증거금 이체를를 위해 사용해야하는 뱅크페이(Bankpay)는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OS X를 사용 중인 분들이 종종 Mac(맥)에서는 투자가 안되는지 문의를 주시는데요.

부분적으로 가능합니다만, 투자를 처음부터 끝까지 진행할 수는 없습니다.

우선 맥에서 와디즈의 홈페이지를 탐방하시거나 리워드형 프로젝트를 참여하시는 것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투자형 프로젝트에 투자하는 것은 청약신청서를 작성하는 것까지만 가능하고, 증거금을 이체하기 위해 사용해야하는 뱅크페이 프로그램은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뱅크페이로 넘어가는 버튼을 회색으로 표시되게 해서 그 다음단계로 넘어가실 수가 없습니다.

이유는 뱅크페이가 아직 OS X를 지원하지 않아서 입니다. 

따라서 OS X 유저분들께서는 청약신청서 작성까지만 맥을 이용해주시거나, 스마트폰(아이폰 또는 안드로이드폰에서 청약 가능)을 이용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Q. 모바일에서도 투자할 수 있나요?

A. 아이폰/사파리에서도 투자하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에서도 투자를 하실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폰(삼성, LG 등에서 나온 휴대폰), 아이폰에서 투자를 하실 수 있고 투자를 하실 때에는 앱스토어(구글은 Play Store)에서 와디즈앱을 다운받으시거나 웹브라우저를 이용해서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Q. 회원가입할때 신분증을 왜 받나요?

A. 비대면으로 실명인증을 하기 위해 신분증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은행 지점에 방문하면 신분증을 제출하고 은행 직원이 신분증과 동일 인물인지 확인을 하지요?

와디즈는 온라인 중개 플랫폼이다보니 투자자분들을 대면으로 만날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경우 비대면으로 실명인증 단계를 거쳐서 투자자 본인 여부를 확인하고, 투자자로 승인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실명인증을 위해 확인한 신분증은 확인 후 지체없이 파기하고 있으며, 실명인증증표로 사용가능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장애인등록증, 외국인등록증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Q. 친구초대코드가 무엇인가요?

A. 친구 초대하고 투자형 프로젝트에 쓸 수 있는 쿠폰도 받고!

기존 와디즈 회원이 친구에서 와디즈를 추천하여 그 친구가 와디즈의 투자회원으로 가입하면 기존 회원도, 친구도 투자형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을 발급해드립니다.

친구를 추천할 때 잊지 말고 '친구초대코드'를 공유해주세요. 친구는 그 코드를 투자회원으로 가입할 때 '프로모션 코드' 항목에 기입해주시면 됩니다.

기존 회원은 와디즈 홈페이지에서 쿠폰을 다운받을 수 있고, 초대받은 친구는 투자회원으로 가입한 즉시 이메일계정으로 쿠폰 계정을 보내드립니다 


Q. 투자자 배정이란 무엇인가요?

A. 정해진 순서에 따라 누가 투자자가 되는지 최종적으로 정하는 업무입니다.

투자형 프로젝트는 크게 청약(투자)-투자자배정-증권입고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채권인 경우에는 여기에 만기일에 정산이 되는 과정이 추가가 되고요.

어떤 프로젝트가 있고, 이 프로젝트에 투자하려는 사람이 굉장히 많은 상황을 상상해봅시다. 모두가 투자자가 되면 좋겠지만, 투자형 프로젝트는 처음에 목표하는 금액(모집금액)이 정해져 있습니다. 1억이면 1억, 3억이면 3억까지만 모집을 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누구를 최종적으로 투자자로 정할지 규칙이 있어야겠지요. 정해진 규칙에 따라 투자자를 정하는 것이 "투자자 배정'입니다.

대부분의 와디즈의 투자형 프로젝트는 '청약신청서가 작성된 순서'대로 투자자를 배정합니다.

몇 구좌를 청약할지, 쿠폰을 적용할지, 약관에 동의사항들을 확인하고, 이메일인증까지 마치면 청약신청서가 작성완료된 것이고 투자순번이 부여됩니다. 이 순번과 모집금액에 따라 투자자가 정해집니다.

만약 나보다 먼저 투자한 사람이 청약철회를 하면 내 순번은 앞당겨집니다. 내 순번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투자형 프로젝트 상세페이지에서 [투자자]탭을 확인해주세요. 참고로 PC에서만 확인하실 수 있고, 모바일에서는 [투자자] 탭을 보실 수 없습니다.


Q. 피드백이란 무엇인가요?

A. 투자자와 발행기업이 직접 소통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피드백은 투자자와 발행기업이 직접 소통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실제로 크라우드펀딩은 법상 투자자가 본인의 의견을 게시할 수 있습니다. 와디즈 이용약관에 위배되지 않는 내용이라면 누구든 본인의 의견을 자유롭게 게시할 수 있고, 발행기업에 프로젝트에 대해 또는 기업에 대해 궁금한 내용은 피드백을 통해서 질의하실 수 있습니다.

발행기업은 올려주신 피드백에 답글을 달아드리는 방식으로 소통하고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서 와디즈의 사용법과 관련된 질의 또는 비교적 간단하여 와디즈에서 답변을 드릴 수 있는 내용은 와디즈가 직접 답글을 달아드리기도 합니다.

의견을 표현하지 않아도 다른 투자자들이 궁금한 점을 살펴볼 수 있고, 더불어 와디즈의 배심원들의 날카로운 질문들을 엿볼 수 있어서 청약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입니다 

투자형 크라우드펀딩이 아직 낯설게 느껴지신다면 피드백을 기능을 적극 활용하시는 방법을 권해드립니다!


Q. Facebook 응원하기란 무엇인가요?

A. 프로젝트에 대한 공감+응원+공유가 합쳐진 기능입니다.

투자형 프로젝트에서 [투자하기] 버튼 아래 쪽에 보시면 [Facebook으로 응원하기]라는 파란색 버튼이 있습니다.

이 버튼을 클릭하면 내 와디즈 계정에 연동되어있는 페이스북 계정으로 프로젝트 링크가 공유되게 되며, 내 친구 수가 더해져서 OOO명에게 확산 중으로 카운트가 됩니다.

Facebook으로 응원하기는 실제 투자를 진행하지 않아도 진행하실 수 있어서 응원하는 마음을 온라인 상으로 표현하실 수 있는 유용한 수단입니다.


Q. 괜찮은 투자상품을 추천해주세요!

A. 안타깝지만 저희는 투자상품을 추천해드릴 수는 없습니다.

와디즈는 발행기업에 대해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기업의 신용 또는 투자 여부에 대해 투자자의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문을 할 수가 없습니다(자본시장법 제117조의7 참조)

그래서 "괜찮다"라고 생각할 법한 프로젝트일지라도 투자자에게 상품을 추천해드리거나, 청약을 권해드릴 수가 없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추천을 해드릴 수는 없지만, 발행기업에 궁금한 점은 피드백을 통해 소통하실 수 있도록 되어있고 청약의 단계에서 어려운 점이 있다면 와디즈로 연락주시면 안내드리겠습니다.


Q. 주식과 채권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자본'과 '부채'차이입니다.

주식회사에 자금이 필요하면 주식이나 채권을 발행해서 자금을 마련하게 됩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내 돈이 나간다는 측면에서는 같지만, 엄밀히 말해 다른 증권입니다.

기업이 주식을 발행하고 자금을 모으면 그것은 기업의 '자본'이 됩니다. 투자자는 그 회사의 주주가 되는 것이고요. 주식에 보통주, 상환전환우선주 등 몇 가지의 종류가 있긴 하지만 여기서는 논하지 않겠습니다. 주식의 조건에 따라 다르긴하지만, 회사의 주주가 되었기 때문에 일정부분 경영에 관여할 수도 있게 되고, 기업이 이익을 많이 남기면 배당을 받기도 합니다.

주식은 기업에게 갚아야할 돈이 아니기 때문에, 만기일이 있지 않고 나중에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이 되거나, M&A가 되거나, 배당이 이뤄지거나, 주식 가치가 상승하여 매도를 하는 경우에 이익을 거둘 수 있습니다. 투자금보다 훨씬 높은 수익을 거둘 수도, 굉장한 손실로 원금이 손실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리스크가 높음에도 기업의 가치를 보고 투자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반면에 채권은 기업 입장에서는 '빚'이 됩니다. 갚아야할 돈이 되는 것이죠. 그래서 채권에는 만기일이 있고, 만기일에 정산을 진행하게 됩니다.

채권은 만기일에 정산이 되고, 채권에 명시된 조건의 범위에서 손실/이익이 발생합니다. 영화 프로젝트는 관객수에 따라 이익이 나기도 원금 손실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몇몇 프로젝트는 고정된 금리가 있어서 그 이상의 수익을 기대할 수는 없지만, 차후에 정산을 받을 경우에 어느 정도를 받게 될지 예상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주식처럼 리스크는 있지만, 기업의 가치를 가늠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투자자에게 비교적 장벽이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Q. 투자설명서란 무엇인가요?

A. 투자자가 알아야할 내용, 궁금하실 내용을 모아둔 설명서입니다.

발행기업에 투자를 할 때 딱 한 곳을 본다면, 당연히 '투자설명서'를 살펴보실 권해드립니다.

투자자가 청약전에 살펴봐야하는 내용들 이 회사가 누구인지, 대표는 누구인지, 투자자 배정은 어떻게 되는지, 기업가치는 어떻게 산정되었는지, 사업 계획은 어떻게 되는지, 재무제표는 어떻게 되는지 등을 살펴보실 수 있는 것이 바로 투자설명서입니다.

투자설명서는 프로젝트 상세페이지에서 [투자설명서]를 클릭하시거나 [핵심정보]에서 '참고자료'라고 써있는 곳을 클릭하면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Q. 투자한도가 풀리는 시기는 언제인가요?

A. 증권발행일로부터 만 1년뒤에 한도가 풀립니다.

투자 한도와 관련해서 자주 문의하시는 내용을 FAQ로 정리해드릴게요 

1. 투자한도가 언제 풀리는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나요?

 투자한도는 증권발행일로부터 만 1년입니다. 포털사이트에서 크라우드넷을 검색하셔서 한도조회 메뉴에 들어가시면 남아있는 투자한도와 언제 풀리는지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투자한 채권이 중도상환이 되었습니다. 투자 한도가 다시 복원되나요?

 아니요! 아쉽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채권이 중도상환되더라도 투자한도는 여전히 증권발행일로부터 만 1년동안 영향을 받기 때문에 중도상환과는 관계없이 만 1년이 지난 후에 한도가 복원됩니다.

3. 와디즈에서 처음 투자하는건데, 한도가 없다고 나옵니다.

 이러한 경우는 보통 다른 크라우드펀딩 사이트에서 청약을 해본적이 있는 분일 수 있습니다. 투자등급에 따른 한도는 와디즈에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모든 증권형(투자형) 크라우드펀딩에서 투자한 금액이 통합적용 됩니다.  크라우드넷에 접속해주시면 어디에 투자한지, 얼마를 투자한지 살펴보실 수 있으니 이 사이트를 방문해서 살펴봐주시길 부탁드립니다.


Q. 전매제한이란 무엇인가요?

투자자 보호를 위해 크라우드펀딩으로 취득한 주식은 1년동안 매도/양도를 할 수가 없습니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7조의10 제7항에 "투자자는 온라인소액투자중개를 통하여 발행된 증권을 지체 없이 제309조제5항에서 정하는 방법으로 예탁결제원에 예탁하거나 보호예수하여야 하며, 그 예탁일 또는 보호예수일부터 1년간 해당 증권(증권에 부여된 권리의 행사로 취득하는 증권을 포함한다)을 매도, 그 밖의 방법으로 양도할 수 없다."라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예외적으로 전문투자자 또는 해당 증권의 투자 손실가능성 및 낮은 유통 가능성 등을 인지하고 있는 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에게 매도하는 것은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크라우드펀딩에 투자한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증권의 발행일로부터 1년간 해당 증권을 사고 팔거나 양도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언제 풀리는지 궁금하다면 크라우드넷에 들어가서 한도조회를 하면 지금까지 투자한 증권의 발행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날로부터 만 1년동안 전매제한이 되어 있는 것이고요. (크라우드넷 바로가기)


Q. 청약증거금이란 무엇인가요?

A. 쉽게 말해, 투자하는 금액입니다.

와디즈에서 '청약'이라고 함은 '투자자 되고 싶어요'라고 신청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청약증거금'은 이 청약을 하나의 계약과정으로 본다면 계약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증거로 제출하는 금액을 말하고요.

내가 투자자로서 얼마를 투자를 하고 싶다는 의미로 청약증거금을 이체하여야 청약이 완료가 됩니다. 투자자로 배정이 될 경우 증권(주식이나 채권)을 받게 되시는 거고, 투자자로 배정되지 않는다면 청약증거금을 다시 돌려받으시게 되는 것입니다.


Q. 기업가치란 무엇인가요?

A. 기업에서 산정한 회사의 가치를 말합니다.

기업에서 산정한 그 기업의 가치를 숫자로 표현한 것이 기업가치입니다. 일반적으로 기업가치는 펀딩을 진행하는 기업에서 자체적으로 산정을 하게 됩니다. 외부 전문가가 기업가치를 산정해주기도 합니다.

보통 주식을 발행하려는 기업이 기업가치를 평가해서 투자설명서 기재를 하게 됩니다.

어떻게 해서 기업가치가 그 금액이 나왔는지 궁금하다면 프로젝트 상세페이지 투자설명서 부분에서 기업가치를 산정한 이유에 대해서 확인하실 수 있으며, 투자설명서를 읽고도 궁금하신 점은 [피드백] 을 통해 질문을 해주시면 발행기업 내 담당자가 답변을 달아드립니다


Q. 재무제표란 무엇인가요?

A. 기업의 재무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기업의 재무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 중에 가장 기본적인 것이 '재무제표'입니다. 같은 계정항목들이 있기 때문이 다른 기업과 비교하기도 용이한 자료이기도 하지요.

 와디즈에서 만나실 수 있는 발행기업들은 비상장법인이고 이제 성장을 시작하고 있는 기업이 많습니다. 따라서 재무제표를 토대로 앞으로의 사업계획을 함께 살펴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재무제표는 기업의 재무상태나 경영성과 등을 보여주는 문서이다. 기업의 성과 등을 파악하기 위해 내부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나, 상장기업의 경우 이러한 재무제표들을 매년 결산기에 일반대중에게 공개하게 되어있다.

- 출처 : 위키피디아 -


전자공시시스템(보통 다트 DART라고 부르는 사이트)에는 상장법인의 공시서류를 확인할 수 있지만, 와디즈에서 만나실 수 있는 비상장법인이다보니 발행기업들은 대부분은 여기서 확인을 할 수 없지만, 투자프로젝트 상세페이지에서 투자설명서에 재무제표가 함께 나와있습니다 :) 투자설명서는 다운로드를 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투자설명서]를 클릭해서 살펴보셔도 되고,

투자 프로젝트 상세페이지에서 [핵심정보]>[참고자료]를 클릭해주시면, 재무제표를 다운받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하면 좋은 글 : 

재무제표 해석하기 (금융감독원 공식블로그) http://fssblog.com/140108953602


Q. 이익배당이란 무엇인가요?

A. 주주 등에게 회사의 이익을 나눈 것을 말합니다.

회사가 점점 성장을 하고, 이익이 발생하게 되면 주주들에게 이익을 나누기도 합니다. 이것을 이익배당이라고 합니다. 기업마다 성장한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기업에 따라서 배당률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물론 이익배당을 하지 않는 기업도 있습니다.

와디즈에서 만날 수 있는 비상장 기업들은 성장초기단계에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기 배당을 실시하는 경우가 매우 드뭅니다. 따라서 배당수익을 기대하고 투자를 할 경우 기대한 만큼의 수익을 얻지 못할 수 있다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 


Q. 증권 입고란 무엇인가요?

A. 투자한 증권(주식/채권)을 증권계좌에 입금하는 것을 말합니다.

은행계좌로 계좌이체를 하면서 돈을 주고받는 것을 '입금'한다라고 표현하기도 하지요?

주식이나 채권같은 증권을 게좌에 넣는 것을 '입고'라고 표현합니다.

기업이 발행한 증권을 일정한 과정을 거쳐서 증권계좌에 넣어드리는 것을 바로 '입고'라고 표현한답니다~! 


Q. 보통주란 무엇인가요?

A. 가장 일반적인 주식의 한 종류입니다.

이익을 배당하거나, 잔여재산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다른 주식의 종류들에 비해 특별한 조건이 없는 보통의 주식을 말합니다.

특별한 조건이 없지만 의결권이 있어서 회사의 경영에 일정부분 참여할 수 있게 됩니다 


Q. 이익참가부사채란 무엇인가요?

A. 채권에 부여된 이익 외에 회사의 이익분배에도 참가할 수 있는 채권입니다.

 보통 영화나 문화 콘텐츠의 기업들이 '이익참가부사채' 발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영화같은 경우에는 관객의 수가 오르기도 하고, 내리기도 하는데요. 관객이 오르면 오를 수록 추가적인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채권입니다. 만약 관객이 손익분기점보다 적다면 원금 손실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익참가부사채란 채무증권 중 '채권'의 한 형태입니다. 따라서 발행인 측에서 지분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또한 기본적으로 '채권'이기 때문에 원금상환과 일정한 이자 수익이 기본적인 투자상품의 구조이지만, 이익 제공의 방식이 단순한 액면 이자의 제공에 한정되지 않습니다. 채권투자자임에도 불구하고 주주와 같이 이익분배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 결과 일정 이율 이상으로 이익이 발생하는 경우 이익배당에도 참가할 수 있어 투자자는 기업의 수익상황에 따라 더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해당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매출액에서 지출되는 비용을 차감한 후 남는 수익을 투자자들과 공유하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특정 지표를 달성할 경우 일반 채권처럼 액면 이율에 따른 이자만을 받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의 수익에 따라 더 큰 이익을 얻게 됩니다. 물론 손실의 가능성도 존재하지요. 영화 "인천상륙작전"은 손익분기점에 도달할 수 있는 정도의 관객수를 초과하였기에 이익이, 영화 "사냥"은 관객의 모집이 미진하여 손실이 발생한 바 있습니다. 또 다른 특징은 원금 상환이 채권의 만기 이전에도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목표한 수익률을 조기에 달성할 경우 약정에 따라 채권을 조기에 상환할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의 입장에서도 만기 전에 수익을 실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익참가부사채를 발행하여 투자 유치를 하기 위하여는 몇가지 중요한 전제 사항이 있습니다. 해당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매출과 비용 등이 명확히 측정가능해야 하며, 이에 관한 회계가 해당 프로젝트에 한정하여 관리되어야 합니다. 프로젝트와 무관한 회계 내역은 철저히 분리, 배제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하여 특정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법인이 설립되는 경우가 많고, 회계 및 자산의 분리를 담보할 수 있는 신뢰장치들도 필요하게 됩니다. 프로젝트 투자가 영화에 많이 사용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매출과 비용의 산정이 전체 관람객수와 관람료, 비용지출내역의 수치화로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투자형 크라우드펀딩에서 "이익참가부사채"의 활용이 가지는 혁신적 의미

 영화뿐만 아니라 일반 기업들도 이와 같은 프로젝트성 투자상품을 만들 수 있습니다. 기업이 출시하는 수많은 상품라인이나 서비스 등을 개별 프로젝트화하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제품의 판매 통로를 한정하고 매출과 비용을 통제함과 동시에 회계의 분리 등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는 엄격한 회계 감사를 실시한다면, 프로젝트성 사업에 대한 투자를 위한 이익참가부사채를 충분히 발행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설계된 이익참가부사채는 무한한 혁신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것이 미칠 영향은 기업의 자금 조달 및 운영, 투자, 유통, 창업 생태계까지 무궁무진합니다.


기업 자금 조달과 운영의 혁신

 지금까지는 주로 기업이 자금을 조달할 때에는 기업이 대출을 받거나 채권 또는 주식을 발행하는 방법을 이용해왔습니다. 이 경우 자금을 조달한 이후에도 기업 전체의 재무 구조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부채비율에 따라 대출 여부 및 적용되는 이자율이 달라지고, 자금의 조달 이후에는 신용도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주식을 발행할 경우에도 주주의 구성에 따른 전체 지분율이 달라져 지배구조에 영향을 받습니다. 

 하지만 프로젝트성으로 이익참가부사채를 발행할 경우 기본적으로 영향의 범위가 기업 전체가 아닌 특정 프로젝트에 한정됩니다. 특정 프로젝트의 수행을 위한 자금이 필요한 경우, 투자자들은 기업 전체의 과거 재무구조보다는 계획하고 있는 특정 프로젝트의 수익성을 중심으로 판단할 여지가 높기 때문에 유망한 프로젝트의 경우 자금의 조달이 보다 용이할 수 있습니다. 설령 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이익분배가 어렵다고 하더라도, 특정 프로젝트에 한정된 실패이기에 기업 전체로 위험이 전이되지 않는 절연효과가 있습니다. 물론 해당 프로젝트를 실질적으로 수행한 기업의 이미지나 신용도에 미치는 영향 또한 간과할 수 없기 때문에 프로젝트를 담당한 주체의 책임있는 운영도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투자의 혁신

 투자의 측면에서도 새로운 혁신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때까지 일반적인 투자는 금융 상품에 대한 투자 후에는 투자 대상이 된 기업의 경영을 주로 지켜볼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익의 실현, 즉 기업의 수익발생에 투자자들이 관여할 수 있는 여지가 매우 적었습니다. 경영의 결과로서 나타난 이익상태에 그저 따르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익참가부사채의 경우 투자자들 스스로의 노력에 따라 기업의 이익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구조 설계가 가능합니다. 

 특정 제품의 매출과 수익이 연계될 경우, 투자자들은 해당 프로젝트의 성공, 즉 수익의 발생을 위해 제품의 구매자 내지는 홍보자를 자처하며 판매를 촉진시킬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매출을 달성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그 결과 투자자는 본인의 자본과 노력을 투여함으로써 높은 수익률의 달성에 기여할 수 있는 것입니다. 수동적으로 투자의 결과만을 기다리던 투자에서 본인이 투자한 상품의 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능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그야말로 새로운 투자문화를 형성하는 단초가 될 수 있습니다.


Q. 상환전환우선주란 무엇인가요?

A. 채권처럼 만기가 있어서 만기에 상환을 받을지, 보통주로 받을지 결정할 수 있는 채권입니다.

기본적으로 주식은 만기가 없지만, 상환전환우선주는 채권처럼 만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정 기간 뒤에 채권처럼 어떠한 조건으로 돈으로 상환을 받을지, 보통주로 받을지 투자자가 결정을 할 수 있는 주식입니다.

투자할 시점에 비해서 해당 기업의 가치가 상승한다면 보통주로도 받을 수 있어서 일반적으로는 투자자에게 유리한 방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Q. 목표금액이란 무엇인가요?

A. 기업이 프로젝트로 모으고자 하는 총 금액을 뜻합니다

기업이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자금을 모으고 싶어도 무제한으로 투자자를 모을 수는 없습니다.

법적으로 연간 7억원 한도 내에서 모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기업은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목표금액(모집금액)을 정하게 됩니다.

어떤 기업은 1천만원을 모집하는 것을 목표로 하기도 하고, 어떤 기업은 한도인 7억원을 목표로 모집하기도 합니다.

목표금액의 80%이상 투자금이 모이면 프로젝트는 성공하는 것이고, 80%미만이 모이면 프로젝트는 실패하고 투자자들에게 청약증거금이 반환됩니다.


Q. 장외주식 거래란 무엇인가요?

A. 상장된 주식들이 거래되는 시장 외에서 진행되는 주식거래를 뜻합니다.

장내/장외 이런 단어들을 주식거래를 시작하신 분들이라면 한 번 쯤은 들어보셨을 것 같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한 기업들의 대부분은 증권거래소가 만든 시장 안에서 주식의 사고 팔기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코스피, 코스닥, 코넥스 시장 등이 장내시장입니다.

반면에 와디즈에서 이루어지는 투자형 프로젝트들은 '장외'로 보시면 됩니다. 주식은 비상장법인의 주식에 투자하시는 것입니다. 비상장법인이라고 말하는 것이 바로 유가증권시장에 등록되지 않은 법인을 뜻합니다(주권비상장법인이라고도 합니다).

투자위험도가 매우 높으며, 투자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차후에 얻을 수 있는 이익의 차이도 매우 큽니다. 반면에 원금 손실 가능성도 매우 높아서 투자자의 주의가 필요합니다.

와디즈를 통해 비상장법인의 주식에 투자하신 경우, 이 기업이 상장하기 전에는 '장외주식'으로 거래가 됩니다. 장외주식은 일반적으로 당사자들이 매매가격을 협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장내주식을 거래하는 방식과는 사뭇 다릅니다.


Q. 발행 예정 주식수(구좌)란 무엇인가요?

A. 물건을 살 때 몇 개를 살지 고민하는 것처럼, 투자할 때도 얼마나 투자할지 결정해주셔야 합니다.

우리가 슈퍼에 가서 사과를 살 때 1개를 살 수도 있지만, 2~3개를 살 수도 있을 겁니다.

투자도 이와 비슷합니다.

기업에서는 채권 1구좌당, 주식 1주당의 가격을 설정해 놓았습니다.

예를 들어 주식 1주당 5,000원이고, 나는 10만원을 투자하고 싶다면 20주를 청약해야겠지요? 채권도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채권 1구좌당 5,000원이고 나는 100만원을 투자하고 싶다면 200구좌를 청약하시면 됩니다.

주식수/구좌수를 입력하는 건 청약 단계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Q. 증액이 무엇인가요?

A. 목표금액(모집금액)을 더 늘리는 것을 말합니다.

기업은 투자형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무제한으로 투자자를 모집할 수 없습니다.

법적으로 연간 7억원 한도 내에서 자금을 모집할 수 있습니다.

기업마다 프로젝트로 모으고자하는 금액은 다릅니다. 어떤 기업은 천만원, 어떤 기업은 1억 이상이기도 합니다.

처음에 프로젝트를 오픈(청약 모집 시작)했을 때 목표금액(모집금액)보다 청약기간 중에 목표금액을 올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증액'입니다.

1억을 모집할 때보다 2억으로 증액했을 때 모집할 수 있는 투자자가 더 많아지겠죠? 일반적으로 투자형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상황을 지켜보고 기업에서는 증액여부를 결정합니다 

증액을 하게 되면 미리 [새소식] 메뉴에 공지를 하고 증액을 하게 됩니다.


Q. 증권입고일은 무엇인가요?

A. 투자자로 배정되고, 증권(주식/채권)을 받는 날입니다.

투자자로 배정이 된 후에 증권입고일에 증권계좌를 확인해주시면 됩니다! 투자하신 증권(주식/채권)을 받는 날이기 때문입니다 🎉

와디즈에서 청약할 때 입력하셨던 증권계좌에서 확인하실 수 있고, 증권계좌에 들어온 걸 어디서 확인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면 증권사에 문의하셔서 'O월 O일이 OOO회사의 주식(또는 채권)이 입고되는 날인데, 어떤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라고 문의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다만, 채권 중에서 보호예수되는 채권은 채권 실물이 발행되어 예탁원에 보관된 상태이기 때문에 별도로 증권계좌로 입고해드리지 않는다는 점 참고해주세요 


Q. 무보증사채란 무엇인가요?

A. 기업의 신용으로 발행하는 회사채를 말합니다.

기업이 원리금 상환 및 이자 지급을 제3자의 보증이나 물적담보 없이 신용에 의해 발행하는 회사채를 말합니다. 일반사채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신용에 의해 발행하는 회사채이기 때문에 투자위험이 높으며, 일반적으로 담보부사채에 비해서는 이자율이 높고 기간이 채권의 기간이 짧은 것 많습니다.

와디즈에서 채권에 투자하는 경우 '투자설명서'를 살펴보시면 해당 채권의 종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Q. 증권계좌가 왜 필요한가요?

A. 증권계좌는 주식이나 채권을 받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친구와 더치페이를 할 때 '계좌번호 알려주면 돈 보내줄게'라고 말하는 경우 흔하게 있을 것 같습니다.

현금을 보내주거나 받기 위해서 은행예금통장을 이용하시듯이, 주식이나 채권 같은 증권을 주고받기 위해서는 '증권계좌'가 있어야 합니다.

증권사에서 만들어드리는 '증권계좌'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다양한 증권계좌에서도 주식거래가 가능한 계좌가 있고, CMA같이 주식거래를 할 수 없는 계좌도 있습니다.

와디즈에서 청약한 프로젝트에 투자자로 배정받게 되신다면 유효한 증권계좌가 있어야 증권을 보내드릴 수가 있겠지요? 그래서 청약단계에서 증권계좌를 받고 있습니다.

증권계좌는 청약기간 동안에는 [나의펀딩현황]에서 해당하는 프로젝트 이름을 클릭하시면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증권계좌는 어떻게 만드나요?

A. 요즘에는 비대면계좌개설이라고 하여, 증권사나 은행에 방문하지 않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증권계좌를 만들 수 있기도 합니다. 은행에 방문하여 증권계좌를 만드실 수도 있습니다. 은행에서 증권계좌 만드는 방법은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Q. 계좌를 만들 때, 어떤 계좌를 만들어 달라고 해야하나요?

A. 주식 거래가 가능한 계좌를 만들어주시면 됩니다. 투자자로 배정이 되면, 발행기업에서는 주식이나 채권을 해당 증권계좌로 넣어(입고)드립니다 :)


Q. 어느 증권사의 계좌를 만들어야 하나요?

A. 현재 와디즈에서 증권(주식/채권)을 받기 위해서 입력하는 증권계좌로 사용할 수 있는 증권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골든브릿지투자증권 

교보증권 

대신증권 

동부증권 

메리츠종금증권 

미래에셋대우 

삼성증권 

신영증권 

신한금융투자 

유안타증권 

유진투자증권 

코리아에셋투자증권 

키움증권 

하이투자증권 

HMC투자증권 

IBK투자증권 

KB증권

KTB투자증권 

NH투자증권 

SK증권


Q. 가족 명의로 대신 투자해도 되나요?

A. 본인의 투자는 본인의 이름으로!

금융실명제에 따라 차명거래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예외적으로 허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가족명의로 차명거래를 하실 경우 경우에 따라서는 불법차명거래가 되실 수 있으니 본인의 자금으로 투자하시는 것은 투자한도에 따라 본인의 명의로 진행하시길 당부드립니다.

특히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이신 분들은 세금 회피 목적으로 타인 명의 계좌를 이용하시는 경우 불법차명거래에 해당하시게 되고, 처벌대상이 되실 수 있습니다.

차명계좌를 빌려준 사람도 그 계좌의 사용목적이 불법차명거래에 해당한다는것을 알고 빌려준 경우에는 대여자도 같이 처벌을 받게 되기 때문에 가족명의, 타인 명의로는 투자하지도 명의를 빌려주지도 마시고, 본인의 투자는 본인 명의로 진행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Q. 채권에 수익이 발생하면 적용되는 세율은 몇 %인가요?

A. 이자소득세 15.4%가 적용됩니다(종합소득세 신고대상자는 제외)!

채권에 투자한 분들이 많이 질문하시곤 합니다.

채권이 투자하고 수익이 났다면 정말 기쁘실 것 같은데요. 세율이 몇 %가 적용되는지 궁금하실 것 같기도 합니다.

채권에 수익이 발생하면 그 수익의 15.4%가 원천징수됩니다.

예를 들어, 100만원을 채권에 투자하고 이익이 10만원이라고 가정해봅시다. 원금손실이 없었고 이익만 발생했다는 가정하에 계산해봅시다.

1. 그렇다면 세금은 15,400원이 되고 (이익 10만원 * 이자소득세 15.4% = 15,400원)

2. 채권이 정산할 때 100만원+10만원-15,400원=108만 4,600원을 정산받게 되는 것입니다.

만약에 경우에 따라서 이익이 없고 원금만 정산받게 되거나, 원금에 손실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이익이 0원이기 때문에 공제하는 세금도 없다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Q. 비대면실명인증이란 무엇인가요?

A. 온라인 상에서 금융거래를 할 수 있게 해주는 본인확인 과정입니다.

예전에는 금융거래를 하기 위해서 은행이나 증권사에 직접 방문을 해야했습니다. 그게 간소화되면서 ATM이나 인터넷뱅킹 같은 기술들이 개발되었고, 이제는 온라인 상에서 금융거래를 하고자하는 니즈가 많아지면서 금융위원회에서 소비자 편의성 증대를 위해 비대면실명인증 과정을 고안하게 되었습니다.

온라인상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본인여부를 확인하는데 취약할 수 있지만, 비대면실명인증(신분증 확인) 단계를 통해 도용이 되는 위험성을 낮출 수 있게 되었고 투자자분들은 조금 더 편하게 온라인상에서 투자(청약)을 진행하실 수 있게 되었습니다 


Q. 비대면 인증 대기중입니다. 언제 인증이 완료될까요?

A. 보통 몇 시간, 최대 2영업일 정도 소요가 됩니다.

투자하려고 보니 비대면실명인증을 위해 신분증을 업로드하였는데, 계속 '확인 중'으로 보셨나요?

보통 실명인증은 저희 와디즈 직원의 근무시간 내에 진행이 됩니다.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사이에 진행하고 있으며 그 외에 접수된 건은 다음 영업일에 순차적으로 확인하고 있습니다.

와디즈에 투자회원으로 가입해주시는 분이 많다보니 신분증 인증하는 건수도 많은 편입니다. 최대한 빠르게 승인해드리고 싶으나 올려주신 신분증을 확인하는데 최소 몇 시간~최대 2영업일 정도가 소요됩니다.


Q. 수수료 및 청약 취소하는 방법

A. 청약시 발생하는 수수료 및 청약취소하는 방법을 안내드립니다.

1. 뱅크페이 이체수수료

투자하시는 금액(청약 증거금)에 따라 투자자가 부담해야 하는 뱅크페이(Bankpay) 실시간 계좌이체 수수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000원(십만원)을 투자한다면 청약금액 100,000원+600원=100,600원을 청약할 때에 출금하게 됩니다.


2. 프로젝트 청약 취소시 환불되는 금액

청약을 취소(철회)하는 것은 프로젝트 기간 중에만 가능하며,

청약을 취소하면 위에 안내된 이체수수료를 제외한 청약금액만 출금하셨던 계좌로 최대 30분 내에 환급됩니다. (환급은 평일 10시~16시 사이에만 가능하며, 주말/공휴일에 청약취소시 익영업일 오전 10시 이후에 증거금이 환급됩니다)

만약 청약 신청 당일에 청약철회를 하시면 이체수수료를 포함하여 청약금액이 환불됩니다.

청약 취소는 [나의 펀딩현황]에서 해당하는 프로젝트를 클릭하여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3. 프로젝트 청약 취소하는 방법

1) 와디즈 홈페이지 우측 상단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2)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3) 우측 상단 프로필 사진을 클릭합니다

    (프로필사진을 설정하지 않았다면, 동그라미 회색 모양이 기본 설정입니다.)

4) [나의 펀딩현황] 메뉴를 클릭합니다.

5) [투자]를 클릭하여서 취소를 원하는 프로젝트명을 클릭합니다.

6) [청약 신청 철회]라는 버튼을 클릭합니다.

7) 청약신청 철회할지 묻는 팝업창에서 [확인]을 누르면 청약이 취소됩니다.


Q. 증권계좌가 유효하지 않다고 합니다. 어떻게 해야하나요?

A. 프로젝트 종료되기 전까지 [나의펀딩현황]에서 유효한 계좌로 변경해주세요.

증권계좌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에는 '입고불가'라는 문자를 받게 되실 겁니다.

증권계좌가 입고 불가상태로 조회되는 이유는 여러 가지인데, 주된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CMA계좌와 같이 증권계좌는 맞지만 주식거래를 할 수 없는 계좌인 경우

- 휴면계좌인 경우

- 계좌를 개설한 것은 맞지만, 아직 계좌가 활성화된 상태는 아닌 경우

- 계좌번호에 오타가 있는 경우

- 증권계좌를 입력해야하는데 은행계좌를 입력하는 경우

증권계좌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홈페이지 우측 상단 프로필사진> 나의 펀딩 현황> 해당 프로젝트를 클릭한 후 권계좌를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Q. 스마트 OTP는 사용할 수 없나요?

A. 토큰형 OTP를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뱅크페이로 청약증거금(=투자하는 돈)을 이체하실 때 공인인증서와 보안매체가 필요합니다.

보안매체는 보안카드나 OTP를 뜻합니다.

요즘에는 OTP가 토큰형 OTP도 있고, 스마트 OTP도 있는데요.

뱅크페이에서 실시간계좌이체를 이용할 때는 스마트 OTP가 아직 지원되지 않고 토큰형OTP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은행가서 OTP만들어야겠다라고 생각하셨다면, 아래 그림을 참고해주셔서 토큰형 OTP로 준비하시길 권해드립니다.


Q. 투자 취소 시 바로 돈을 환불 받을 수 있나요?

A. 당일 청약한 것을 당일 취소하면 이체수수료까지 환불 받고, 그 다음 날에 취소하시게 되면면 이체수수료를 제외한 나머지 증거금만 환불받게 됩니다.

투자를 하셔도 개인 사정상 마음이 바뀔 수 있습니다.

이때는 청약기간 중이라면 청약 철회(투자 취소)를 하실 수 있습니다.

투자 취소를 하게 될 경우 청약증거금(=투자한 돈)은 출금하셨던 게좌로 다시 돌려받게 됩니다.

참고로 오늘 투자했는데 오늘 바로 투자취소를 한다면, 뱅크페이를 사용하면서 납부하셨던 이체수수료 및 청약증거금을 모두 환불 받으시게 됩니다.

만약 어제 투자했는데 오늘 투자취소를 하시면 이체수수료는 환불되지 않지만, 청약증거금은 출금하셨던 계좌로 환불이 됩니다.


Q. 공인인증서와 보안매체가 왜 필요한가요?

A. 본인의 계좌를 본인이 거래하는게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한국에서 온라인 상에서 금융거래할 때 피할 수 없는 것이 공인인증서와 보안매체일 것 같습니다.

인터넷뱅킹에 익숙한 분들은 공인인증서와 보안매체가 필요하다는 것은 이미 알고 계실 것 같습니다.

공인인증서와 보안매체는 본인의 계좌를 통해 본인이 거래하는 것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한 수단입니다. 공인인증서는 특히 거래를 확인하는 서명의 역할도 하고 있습니다(마치 사인을 하는 것과 같지요).

홍길동이 예금주가 '홍길동'으로 된 본인의 계좌를 통해 10,000원을 이체한다는 것을 컨펌하는 것이 공인인증서이고, 계좌번호를 아는 누구나 돈을 인출하면 안되기 때문에 거래시 보안매체(보안카드 또는 OTP)를 이용해 '내가 거래하는 것이 맞다'고 인증하는 것입니다.


Q. 투자 취소하고 싶어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A. 청약기간 중에는 취소하실 수 있고, 프로젝트가 마감되었다면 취소하실 수는 없습니다.

1. 청약기간 중에 투자취소를 원할 경우

청약기간 중이라면 투자를 취소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 방법에 따라 진행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홈페이지 우측상단 동그라미 프로필 사진을 클릭

- [나의 펀딩현황]을 클릭

- 해당하는 프로젝트를 클릭한 후 청약 철회 버튼을 클릭

2. 프로젝트가 마감된 후 투자취소를 원할 경우

이 경우에는 투자취소를 하실 수 없습니다. 투자 취소는 오직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청약기간 중에만 하실 수 있습니다.


Q. 증권 입고받을 증권계좌를 변경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A. 프로젝트 종료 전까지 [나의 펀딩현황]에서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증권계좌를 변경해야하는 경우는 프로젝트(청약기간) 종료 전과 후로 나뉠 수 있겠습니다.

1. 프로젝트(청약기간) 종료 전

 프로젝트 기간 중에는 청약/청약철회/증권계좌 변경이 가능합니다. 증권계좌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홈페이지 우측 상단 프로필사진> 나의 펀딩 현황> 해당 프로젝트를 클릭한 후 증권계좌를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

2. 프로젝트(청약기간) 종료 후

 청약기간이 종료된 후에는 증권계좌를 변경하실 수 없습니다. 다만, 이미 투자자로 배정받은 경우에 채권이 정산될 때 유효한 계좌로 확인되지 않는다면 유효한 계좌로 변경해주시길 요청드리고 있습니다.


Q. CMA 계좌는 사용할 수 없나요?

A. 대부분의 CMA계좌는 와디즈에서는 사용하실 수 없습니다.

CMA계좌는 주식거래를 하기 위해 만들어진 계좌는 아니고, 증권사에서 고객이 수시입출금을 하면서 MMF나 RP 등에 투자할 수 있는 기능을 연계해서 내놓은 것이 CMA입니다.

원래 주식을 거래할 목적으로 만든 계좌가 아니다보니, 주식이나 채권에 투자하는 와디즈의 금융상품들에는 적합하지 않은 계좌입니다.

다만 일부 증권사에서는 CMA계좌를 개설하신 후에 이 계좌를 위탁계좌로 전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와디즈에서 증권계좌로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증권사에 '제 계좌가 주식 거래가 가능한 계좌인가요?'라고 문의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Q. 투자금이 100% 모이지 않을 경우 어떻게 되나요?

A. 뱅크페이에 납부하셨던 이체수수료를 제외하고는 증거금은 돌려드립니다.

투자형 프로젝트의 성공과 실패를 나누는 기준은 목표한 모집금액의 80% 이상이 모였는지 여부입니다.   

만약 1억원을 모집하고자하는 기업이 있고, 청약 마감일까지 7천만원이 모집된 경우에는 70%가 모집된 것이기 때문에 프로젝트가 실패한 것이고, 만약 8천만원이 모집된 경우에는 80% 이상이 모집된 것이기 때문에 프로젝트가 성공한 것입니다.

프로젝트가 실패하면 프로젝트 종료 다음 영업일에 청약증거금(=투자하신 금액)을 출금했던 계좌로 투자하신 금액이 돌아갑니다. 다만, 이전에 청약하실 때 뱅크페이를 사용하며 납부하셨던 이체수수료는 환불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가 실패했고 프로젝트의 종료일이 9월 4일(월)이면 청약증거금(=투자하신 금액)은 9월 5일(화)에 청약증거금을 출금했던 계좌로 반환되고, 뱅크페이를 사용하며 납부하셨던 이체수수료는 환불되지 않습니다.

100%가 넘은 후에도 투자가 가능한지 궁금하시다면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Q. 100%가 넘은 프로젝트에 청약해도 되나요?

A. 청약은 하실 수 있지만, 투자자로 배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목표금액 대비 100% 초과한 프로젝트에서 

[투자하기] 버튼을 누를 경우 팝업창을 보실 수 있습니다!

물론 모집 목표보다 100%가 넘은 상태에서도 청약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프로젝트가 종료하고 최종 투자자를 배정할 때는 투자자로 배정되지 않으실 수도 있습니다.

투자자로 배정되는 것은 투자순번에 따라 진행이 됩니다. [투자하기] 버튼을 눌러서 청약신청서를 작성해주시면 청약예약이 되면서 투자순번이 부여됩니다. 입금기한 내에 청약증거금을 입금하시면 투자순번이 유효하게 되지만, 입금기한 내에 청약증거금을 입금되지 않으면 청약이 자동으로 취소되며 다시 [투자하기] 버튼을 눌러서 청약을 진행해주셔야합니다.


Q. 소득공제를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A. 소득공제 혜택이 궁금하다면 여기를 살펴봐주세요.

와디즈에서 유망한 벤처기업에 투자하고,

소득공제 100% 혜택까지 받은 Jenny의 이야기

저는 와디즈를 통해서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에 처음 참여해 보았습니다. 총 3개의 기업 주주로 참여를 했는데요, 수제자동차 기업 ‘모헤닉게라지스'에 200만원, 친환경 파도에너지 기업 ‘인진'에 100만원, 그리고 대한민국 수제맥주 시장의 선두주자 ‘세븐브로이'에 200만원을 투자했답니다.

    - 국내유일 수제자동차 기업 '모헤닉게라지스'에 200만원 투자

    - 친환경 파도에너지 기업 '인진에 100만원 투자

    - 수제맥주의 선두주자 세븐브로이'에 200만원 투자

일반 투자자의 경우 연간 투자 한도 500만원이기 때문에, 저는 500만원을 세 기업에 골고루 나누어 투자했어요. 와디즈에는 앞으로의 성장이 기대되는 기업들이 정말 많더라구요! 이런 멋진 기업들의 주주가 될 수 있는 기회가 일반인들에게도 열리게 되어서 열심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관심있는 기업의 주주가 될 수 있는 기회도 정말 좋은데, 100% 소득공제 혜택까지 받을 수 있었어요. 

❤︎ 먼저 '세금'과 '소득공제'에 대해 알아봅시다!

‘세금’은 한 해 동안의 소득에 따라 결정됩니다.

우리 같이 아래 표를 활용해 세금을 계산해 볼까요?

1. 과세표준 구간을 보고, 내 소득이 해당되는 구간을 찾습니다.

2. 나의 연소득에 세율을 곱합니다.

3. 누진공제액을 빼줍니다.

(ex. 내 연소득이 5,000만원일 경우: 5,000만 X 24% - 522만원 = 678만원)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1,200만원 이하

6% 

 

1,200만원 초과 4,600만원 이하 

15% 

108만원 

4,600만원 초과 8,800만원 이하 

24% 

522만원 

8,800만원 초과 1억 5천만원 이하 

35%

1490만원 

1억 5천만원 초과 

38% 

1,940만원 

* 누진공제액이 왜 발생하는지 궁금하신 분?

 우리나라는 버는 소득에 따라 세율을 다르게 부과하는 누진세율을 택하고 있스빈다.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세율을 부과하는 것이죠, 그런데, 원칙적인 방법은 매우 복잡합니다. (ㅠㅠ)

 예를 들어 5,000만원을 버는 사람이면 ~ 1,200만원까지는 6% ~4,600만원까지는 15%, ~5,000만원까지는 24%를 각각 적용합니다. 그 다음 각 구간의 세율 차이에 의하 세액을 차감해주어야 합니다. ( 너무 복잡하지요) 그래서! 좀 더 쉽게 계산하기 위해 누진된 금액을 한꺼번에 빼주는, 누진공제액이 등장한 것입니다. 두 가지 방법 모두 같은 세금액이 나오므로, 우리는 좀 더 쉽게 간편한 방법을 이용하자구요!


 정리해보면, 세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세금 = (연소득 x 세율) - 누진공제액

 당연히 연소득이 줄어들면 세금도 줄어들겠죠?

세금↓ = (연소득↓ x 세율) - 누진공제액


내 실제 연소득은 그대로이지만, 세금이 적용될 때 실제 연소득보다 적어 보이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소득에서 빼주는, 소득공제' 항목을 적극 활용하는 것입니다! 조세특례제한법에 의하면 1) 개인연금저축, 2) 연금저축, 3) 소기업/소상공인 공제부금, 4)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에의 출자 등 총 네 가지가 소득공제 항목에 해당됩니다. 하지만 2013년 1월 1일부터 개인연금저축과 연금저축 항목이 삭제되었고, 소기업/소상공인 공제부금은 소기업/소상공인 대상이라 일반인들에게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남은 것은 바로! '중소기업창업투자조합에의 출자 등' 항목만 남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벤처기업과 중소기업에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1,500만원까지 100% / 5,000만원까지 50% / 5,000만원 초과분은 30%가 소득공제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제 경험을 바탕으로 좀 더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볼게요 :)

 저는 일반투자자라 1년에 500만원까지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투자가 가능합니다. 100%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지요! 제 1년 소득은 5,000만원입니다. 위에서 안내드린 방법에 따라 두가지 경우(크라우드펀딩으로 투자 안 할 때/ 투자 할 때)로 나누어 세금을 계산해 보았어요. 자그마치 120만원(!)이나 차이가 납니다.

 크라우드펀딩으로 투자안 할 때

5,000만원 x 0.24(세율) - 522만원(누진공제액) = 678만원

 크라우드펀딩으로 투자 할 때

4,500만원 x 0.24(세율) - 522만원 (누진공제액) = 558만원

이왕 투자할거라면... 소득공제 혜택을 눈여겨 보는 것도 좋겠죠? :) 와디즈에서는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유망한 벤처기업들이 크라우드펀딩을 진행중입니다. 투자 메인 페이지에서 '소득공제 가능기업'에 체크박스를 표시하면 다음과 같이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업들만 확인할 수 있어요!

와디즈에서 멋진 기업의 주주가 될 수 있는 기회, 그리고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아참, 소득공제 혜택 적용은 올해 2017년까지만 가능합니다! 와디즈에 올라오는 프로젝트의 소득공제 마크를 유심히 지켜봐주세요 :) 


Q. 투자 내역을 어디서 볼 수 있나요?

A. [나의펀딩현황] 메뉴를 살펴봐주세요.

[나의펀딩현황]에서 투자현황(투자내역)을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1) 와디즈 홈페이지 우측 상단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2)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3) 우측 상단 프로필 사진을 클릭합니다

    (프로필사진을 설정하지 않았다면, 동그라미 회색 모양이 기본 설정입니다.)

4) [나의 펀딩현황] 메뉴를 클릭합니다.

5) [투자]를 클릭하여서 투자내역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Q. 투자를 했는데 증권이 입고되지 않았습니다. 어떻게 해야하나요?

A. 증권입고 관련해서 체크해야하는 사항들을 안내드릴게요.

투자를 완료하고, 투자자로 배정되었다는 문자까지 받으셨다면

증권(주식/채권)이 입고되는 날짜를 기다리고 계실텐데요.

막상 입고되는 날짜에 증권계좌를 열어봤는데, 입고된 내역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많이 당황스러우실 것 같습니다.

아래 사항들을 미리 체크해주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 주식에 투자했다면, 증권사에 "O월 O일에 OOO주식회사의 주식이 입고되었는데 어떤 메뉴에서 입고된 걸 확인할 수 있나요?"라고 문의해주시면 됩니다.

- 채권에 투자했다면 채권의 종류에 따라서 증권계좌에 보일 수도,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보호예수'되는 채권이라면 증권계좌에 입고되지 않고 실물의 증권이 예탁결제원에 맡겨진 상태로 있다가 채권의 만기일(또는 중도상환일)에 현금을 정산하는 방식으로 진행이 되기 때문에 증권계좌에서는 확인하실 수가 없습니다.

채권의 경우가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는데요, 내가 투자한 채권이 '보호예수'되는지 안되는 지 궁금하시다면 와디즈로 문의주세요 


Q. 입고 받은 증권은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

A. 입고된 증권은 청약할 당시 입력하셨던 증권계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입고된 증권은 입력하신 증권계좌에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입력하신 증권계좌는 [나의펀딩현황]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간혹 증권계좌에 보이지 않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1. 이익참가부사채 등 보호예수 채권인 경우

  영화에 투자하는 프로젝트이거나, 금리가 변동되는 채권에 투자하는 프로젝트인 경우에는 채권이 증권계좌로 입금되는 것이 아니라 사채가 실물로 발행되어 한국예탁원에 보관되어집니다. 이것을 보호예수라고 말합니다.

  증권계좌로 입고되지 않기때문에 증권계좌에서 확인하실 수 없고, 정산이 되어야 이익 또는 손실금이 반영된 금액을 투자할 때 미리 입력하셨던 은행 또는 증권계좌로 상환받게 되는 방식입니다. 배정이 되었는지 확인을 원하시는 경우에는 [나의펀딩현황]에서 확인해주세요.

2. 비상장 주식 조회

크라우드펀딩으로 받은 주식은 '비상장 주식'인데요,

비상장주식의 경우에는 증권사에 따라 잔액 조회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증권사로 비상장 주식 조회 방법을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혹시,  투자하신 금액과 증권계좌의 잔액이 다른가요?

증권사에 따라서 계좌 조회 하면의 평가금액을 '액면가'로 보여주는 곳이 있답니다. 

아직 유통되지 않는 '비상장주식' 이기 때문입니다 :) 

주식수량을 확인해주시고, 수량이 맞다면 입고가 정상적으로 된 상황이오니, 안심하셔도 됩니다.

- 액면가 = 주식의 초기 가격 

** 와디즈매입가(발행가) = 기업가치가 반영된 시장의 가격


Q. 투자금 회수는 어떻게 하나요?

A. 채권은 만기일에, 주식은 거래를 통해 회수하실 수 있습니다.

투자자로 배정된 후에 '어떻게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을지?'가 궁금하실 것 같습니다.

채권에 투자하신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만기일까지 기다려주셔야합니다. 원금 손실의 가능성이 있겠지만, 채권은 만기일에 정산이 되는 것이 원칙이며 미리 투자설명서에 중도상황에 대해서 명시한 내용이 있다면 그 보다 앞당겨 정산될 수도 있습니다.

주식에 투자하신 경우에는 좀 더 오래 기다리셔야 투자금 회수가 기회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주식은 해당 발행기업이 M&A를 하거나, 전매제한 기간(1년)이 지난 후 매도를 하시거나, 전매제한 기간 내이더라도 해당 발행기업이 KSM 시장에 상장한 경우에는 거래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전매제한 기간 내이더라도 전문투자자에게는 예외적으로 주식을 매도하실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기업들이 투자자분들에게 '투자혜택'을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

- 영화 프로젝트는 영화 굿즈를 드리는 혜택을 제공하기도 하고, 시사회를 진행하기도 합니다.

- 주식을 발행하는 기업의 경우 주주들과의 모임을 진행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 일정 금액이상 투자하거나, 선착순으로 일부 투자자분에게는 해당 기업에서 이용가능한 '선불카드'나 '(뮤지컬프로젝트인 경우) 공연할인권'등을 제공해드리기도 합니다.

와디즈에서 기업에 투자도 하고, 추가적으로 '투자혜택'도 누려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

투자혜택이 궁금하시다면, 프로젝트 페이지 내에서 '핵심정보' 또는 '투자설명서'를 참고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Q. 미배정되었다고 하는데 사유가 무엇인가요?

A. 미배정되는 경우의 수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열심히 청약완료를 했는데, 미배정되었다고 문자를 받으면 많이 아쉬우실 것 같습니다.

투자자에서 미배정되는 사유를 투자자분들께서 종종 궁금해하시기도 하는데요, 경우의 수를 알려드리겠습니다.

- 모집금액 100% 초과(모집완료 금액+입금대기 금액)된 후에 청약을 하신 경우에는 투자자 순번이 후순위 이시기 때문에 먼저 투자한 투자자가 청약취소를 하지 않는 이상 투자자 배정이 되지 않습니다.

- 모집금액 100% 내에 청약했을 지라도, 증권계좌가 입고 불가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에는 투자자 배정에서 제외됩니다.

대부분의 경우 위 2가지 중 하나의 사유로 투자자 미배정이 됩니다.


Q. 발행기업와 연락하고 싶어요. 어떻게 해야하나요?

A. 피드백과 이메일을 활용해주세요.

발행기업에 문의사항이 있을 때 프로젝트 상세 페이지에 있는 회사 이메일주소 또는 상세페이지의 [피드백]란을 이용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회사 이메일주소 확인하는 방법]

[피드백 남기는 방법]


Q. 환불된 투자금은 어느 계좌로 입금되나요?

A. 환불된 투자금은 청약증거금(=투자한 돈)을 출금하셨던 계좌로 돌아갑니다.

청약하실 때 팝업창이 뜨면서(모바일이라면 뱅크페이앱이 실행되면서) 출금할 계좌, 예금주명, 주민등록번호,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셨을텐데요. 이 때 입력하셨던 그 계좌번호로 환불이 됩니다.

와디즈는 투자자분이 어떤 계좌에서 출금하셨는지는 알지 못합니다. 따라서 본인이 출금하셨던 계좌를 기억해주셔서 투자취소를 한 후에는 해당 계좌를 확인해주시면 됩니다 


Q. 근로소득 원청징수영수증은 어디서 발급받나요?

A. 근무처에 발급을 요청하시거나 홈택스에서 발급받으시면 됩니다.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은 근무처에서 발급받거나, 국세청 홈택스 페이지에서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2017년에 와디즈에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제출하고자 하신다면, 2016년 귀속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제출해주시면 됩니다.

근무처에서는 보통 총무/인사/경리 관련 부서에서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발급하고 있습니다 😀

와디즈로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제출해주실 때 아래 사항이 빠지지 않았는지 체크 부탁드려요!

- 회사 직인 필수

- 본인 이름, 주민등록번호 확인가능해야함(주민등록번호가 가려진 경우에는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상에서 성함/주소 등을 확인할 수 있어야함)

- 1~2페이지를 제출해야함

- '23. 근로소득금액'이 1억원 초과인지 확인(1억원 이하일 경우 소득요건구비투자자 대상이 아님)


Q. 일반투자자/소득적격투자자/전문투자자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A. 소득요건, 자격요건에 따라 투자등급이 달라지고, 투자등급이 변경되면 투자한도가 달라집니다.

투자등급은 총 3가지이고, 본인의 소득/자격 요건에 따라 와디즈에 투자등급 변경을 신청하실 수 있습니ek.


[일반투자자]

- 자격요건: 만 19세 이상의 성인 누구나

- (소득적격투자자 또는 전문투자자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반투자자입니다.)

- 투자한도: 연간 총 500만원(발행기업 당 투자한도는 연 200만원)

- 증빙서류: 없음


[소득적격투자자]

- 자격요건(아래 사항 중 1가지 충족될 경우 가능)

① 근로소득금액이 1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② 사업소득금액이 1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③ 근로소득금액과 사업소득금액의 합계가 1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④ 금융소득(이자소득+배당소득)이 2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⑤ 금융전문자격시험에 합격하고, 금융투자전문인력으로 협회에 3년이상 등록되어있는 경우(퇴직하여 말소된 경우는 해당하지 않음)

- 투자한도: 연간 총 2,000만원(발행기업 당 투자한도는 연 1,000만원)

- 증빙서류:

① 근로소득금액이 1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ㄱ. 직전 과세기간의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1~2페이지(발행회사 직인날인 필수)

ㄴ.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이 없다면 직전 과세년도 근로자 연말정산용 소득금액증명으로 대체가능

② 근로소득금액과 사업소득금액의 합계가 1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 본인이 홈택스에서 출력하는 경우: 

ㄱ. 직전 과세기간의 종합소득 과세표준 확정신고서

(인적사항이 있는 첫 페이지 서명 및 근로소득+사업소득명세서 페이지 필수)

ㄴ. 종합소득세 신고서 접수증(신고자실명 기재된 접수증)

⑵ 세무대리인에게 신고서를 받는 경우:

ㄱ. 직전 과세기간의 종합소득 과세표준 확정신고서

(세무대리인 날인 필수, 근로소득+사업소득명세서 페이지 필수)

③ 금융소득(이자소득+배당소득)이 2천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 본인이 홈택스에서 출력하는 경우: 

ㄱ. 직전 과세기간의 종합소득 과세표준 확정신고서

 (인적사항이 있는 첫 페이지 서명 및 이자소득명세서+배당소득명세서 페이지 필수)

ㄴ. 종합소득세 신고서 접수증(신고자실명 기재된 접수증)

⑵ 세무대리인에게 신고서를 받는 경우:

ㄱ. 직전 과세기간의 종합소득 과세표준 확정신고서

 (세무대리인 날인 필수, 이자소득명세서+배당소득명세서 페이지 필수)

④ 금융전문자격시험에 합격하고, 금융투자전문인력으로 협회에 3년이상 등록되어있는 경우(퇴직하여 말소된 경우는 해당하지 않음)

ㄱ. 아래 자격에 해당하는 합격증

(ⅰ) 금융투자협회가 주관하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험

ⓐ 펀드투자권유자문인력 적격성 인증 시험 또는 펀드투자상담사 시험

(다만, 종전증권펀드투자상담사 시험과 부동산펀드투자상담사 시험은 포함한다.)

ⓑ 파생상품투자권유자문인력 적격성 인증 시험 또는 파생상품투자상담사 시험

ⓒ 투자자산운용사 시험

ⓓ 일임투자자산운용사 시험 또는 집합투자자산운용사 시험

ⓔ 금융투자분석사 시험

ⓕ 재무위험관리사 시험

(ⅱ) 종전 한국증권업협회가 주관하는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험

ⓐ 1종투자상담사 자격시험 또는 선물거래상담사 자격시험

ⓑ 자산설계운용전문인력시험 또는 자산설계전문인력시험

ⓒ 재무위험관리사자격시험

(ⅲ) 종전 한국증권업협회와 투자신탁협회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운용전문인력시험

(ⅳ) 종전 투자신탁협회가 주관하는 일반운용전문인력시험

(ⅴ) 종전 자산운용협회가 주관하는 운용전문인력시험

(ⅵ) 종전 한국선물협회가 주관하는 선물거래상담사자격시험

(ⅶ) 다음각목의어느하나에해당하는시험

ⓐ 미국 CFA협회(CFA Institute)가 주관하는 국제재무분석사(CFA)

ⓑ 국제재무위험관리 전문가협회(Global  Association of Risk Professionals)가 주관하는 국제재무위험관리사(FRM)

(ⅷ) 금융투자협회가 주관하는 증권투자권유자문인력 적격성 인증시험 또는  증권투자상담사 시험

(ⅸ) 국제투자분석사회(Association of Certified  International Investment Anyalysts)가  주관하는 국제공인투자분석사(CIIA)시험

ㄴ. 금융투자전문인력 등록 확인서

(투자권유자문인력, 투자운용인력, 조사분석인력, 위험관리전문인력으로 등록된 기간이 3년 이상이고, 말소된 기간은 포함하지 않음)


[전문투자자]

- 자격요건: 자본시장법상 전문투자자(법 제9조제5항), 전문성, 위험감수능력을 갖춘자(시행력 제118조의17제2항)

- 투자한도: 제한 없음

- 증빙서류: 위 표 참조


2. 리워드 펀딩하는 방법이 궁금하다면(클릭!)

Q. 펀딩하기는 쇼핑하기가 아닙니다.

펀딩과 쇼핑은 다릅니다. 어떻게 다른지 안내드리겠습니다.

펀딩하기는 쇼핑하기가 아닙니다.

쇼핑과 어떻게 다른지 아래 내용을 읽어주세요! :)

 와디즈의 리워드 프로젝트에 펀딩하는 것은 메이커의 창작물을 단순히 사고파는 쇼핑이 아니라, 메이커의 창작활동 및 목표실현을 위한 과정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1. 펀딩 즉시, 결제가 진행되지 않아요.

 결제 수단을 등록하면 결제가 바로 진행되는 쇼핑하기와 다르게 펀딩하기는 프로젝트의 목표금액과 마감일이 있어 해당 프로젝트가 목표금액을 달성했을 때만, (프로젝트의 펀딩 타입에 따라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마감일 다음날 펀딩에 참여한 서포터 모두 함께 결제가 진행됩니다.

2. 배송이 바로 진행되지 않아요.

 결제가 모두 완료되었다고 펀딩한 리워드가 바로 발송되지 않습니다. 메이커는 각 리워드마다 리워드 발송 시작일을 명시하고 있으며, 메이커가 약속한 리워드 발송 시작일에 발송이 진행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3. 메이커의 사정으로 리워드 발송이 지연 또는 불가할 수도 있습니다. 

 펀딩 금액을 전달받아 리워드 제작을 시작하는 크라우드펀딩의 특성 상, 메이커가 약속한 리워드 발송이 지연 또는 불가할 수도 있습니다. 스토리 하단에 메이커가 약속한 리워드 발송 지연 시에 대한 약속과 교환 및 환불 정책에 대한 설명이 작성되어 있으니 펀딩 참여 전 꼭 읽어주세요.


Q. 와디즈 리워드 펀딩이란 무엇인가요?

A. 메이커가 만든 제품/서비스를 돌려주는 리워드형 크라우드펀딩

리워드형 펀딩은 자금이 필요한 메이커가 펀딩을 통해 자금을 모집하여 제작하며 리워드가 완성되면 펀딩에 참여한 서포터에게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메이커는 프로젝트 진행중 서포터에게 받은 피드백을 보상품 제작에 반영하거나 프로젝트 홍보에 도움을 준 서포터들을 위해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 펀딩하는 서포터와 제품/서비스를 만드는 메이커간의 긴밀한 소통이 이루어지는 점이 특징입니다.


Q. 리워드 프로젝트 참여방법 한눈에 보기

A. 펀딩 하는 방법을 안내드립니다.

Q. 와디즈 프로젝트? 쇼핑몰과 다른건가요?

A : 와디즈는 결제하고 바로 배송하는 쇼핑몰이 아닙니다 :) 세상에 아직 출시되지 않은 제품을 생산자(메이커)가 직접 소개하고 정해진 기간동안 오픈예정(펀딩)을 받는 방식이랍니다. 따라서 프로젝트가 종료되고 목표금액을 달성 해야만 카드결제가 실행이 되며, 프로젝트가 종료 이후인 '리워드 발송 시작일'부터 제품 발송이 시작됩니다.

꼭 읽어주세요!

- 펀딩을 하고 나서 리워드를 받기까지 2주 ~ 6개월까지 기다리실 수 있습니다.

- 지금은 카드결제 예약을 하시는 거구요! 프로젝트 종료 후에 일괄 결제됩니다.

- 펀딩 참여가 아니더라도 프로젝트를 SNS에 공유해주시거나 댓글을 달아주시면 메이커에게는 정말 큰 힘이 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리워드 펀딩(결제예약)하기

1. 펀딩하실 프로젝트를 클릭해주세요. (페이지 URL이 있다면 바로 접속해주세요!)

2. 오른쪽 상단에 있는 펀딩하기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3. 리워드를 선택하고, [다음 단계로] 버튼을 클릭합니다.

4. 리워드를 배송받을 주소와 카드정보를 입력하면 끝!

※ 프로젝트의 펀딩기간, 리워드 발송 시작일을 다시 한번 확인해주세요

펀딩 취소는 프로젝트 기간 내에만 가능한 점 유의해주세요 :)


Q. 왜 우리를 서포터라고 부르나요?

A. 프로젝트에 펀딩(투자)을 하고 그에 대한 대가를 받는 사람

와디즈를 이용하는 분은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1. 프로젝트를 개설해서 펀딩(투자)을 받는 사람

2. 프로젝트에 펀딩(투자)을 하고 그에 대한 대가를 받는 사람

1번을 와디즈에서는 프로젝트를 개설한 사람이라고해서 메이커(Maker)라고 부르고, 2번을 프로젝트를 응원해주는 서포터(Supporter)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저희 와디즈는 이 둘 사이를 중개하는 플랫폼입니다.

프로젝트를 자신의 SNS에 공유하기도 하고, 직접 펀딩에 참여하기도 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응원하는 분들이기 때문에 서포터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와디즈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대다수의 메이커들은 초기단계의 스타트업이나 개인이 많습니다. 서포터분들의 응원과 지지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또는 비즈니스를 더 확장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것입니다 


Q. 리워드 포인트는 어떻게 받을 수 있나요?

A. 이벤트에 참여하고, 포인트 받아가세요~

리워드 포인트는 리워드 프로젝트에 참여할 때 캐쉬처럼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입니다.

리워드 포인트는 와디즈에서 진행하는 이벤트에 참여하여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이벤트 내용을 확인하셔서 이벤트에 참여하고, 포인트 받아가세요~


Q. 배송이 지연될 수도 있나요?

A. [위험요인과 해결방안]을 꼼꼼히 살펴주세요.

크라우드펀딩으로 진행하는 제품들의 경우에는 양산을 거치지 않은 시제품 정도의 상태인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양산 전 펀딩을 통해 자금을 모집하여 제작하고 배송하는 형태로 진행을 하는거죠. 

그러다보니 실제 시제품과 양산 제품이 다르거나, 제작 과정 중 문제가 발생하는 등 예상치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와디즈에서도 프로젝트 오픈 전 꼼꼼히 확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다양한 변수들로 종종 배송이 지연될 수 있습니다.

배송이 지연되는 경우 

프로젝트 스토리 하단의 [위험요인과 해결방안]에 명시되어있는 내용처럼

배송이 지연된 자세한 사유와 예상 배송일정 대해 메이커가 [새소식] 페이지에 작성하여 서포터분들에게 공지합니다. 

새소식 내용은 메일로 발송이 되니, 메일로 내용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위험요인과 해결방안]의 내용에 따라

일정 기간(통상적으로, 약속한 날로부터 1~2개월이 경과했을 때) 이상 지연되는 경우에는 메이커에게 요청하여 100% 환불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Q. 리워드를 직접 수령할 수 있나요?

A. 일반적으로 리워드의 배송은 택배배송으로 이뤄집니다.

 펀딩에 참여 후 결제가 이뤄지고, 이렇게 모인 금액으로 메이커는 제품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해드리기 위한 준비기간을 갖게 됩니다.

리워드가 서비스 이용권의 종류였다면, 리워드 발송 예정일에 서포터님께 문자 또는 우편을 통해 발송을 시작하게 됩니다. 

 배송과 관련된 정보는 [새소식]을 통해서 살펴보실 수 있으며 새소식이 업데이트 되면 이메일로 알림을 드립니다.

리워드가 제품의 종류라면, 메이커는 펀딩금액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기간을 거쳐서 리워드 배송시작일에 서포터님께 택배 발송을 해드립니다.

 대부분의 메이커는 리워드 배송 시작 후 며칠 동안 나누어서 택배를 발송해드리고 있으며, 택배 발송이 시작되는 내용과 진행상황, 그리고 택배 발송이 완료되면 [새소식]을 통해서 안내를 드리고 있습니다.


Q. 회원탈퇴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A. 떠나신다는 것이 아쉽지만, 회원 탈퇴 방법을 안내드리겠습니다.

이 가이드글을 읽는 회원분은,

와디즈를 떠나기로 결심하신 것이라 저희로서는 무척 아쉽습니다.

하지만, 언젠가 다시 만나뵐 수 있기를 희망하며 회원탈퇴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탈퇴하기 전 아래의 사항들을 참고해주세요.

- 탈퇴는 PC에서 가능합니다.

- 리워드형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우, 아직 배송완료되지 않았다면 탈퇴를 하실 수 없습니다.

- 투자형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우, 주식은 증권 교부일/채권은 만기일까지는 탈퇴를 하실 수 없습니다.

- 와디즈스쿨 수강자는 강의일 +1일이 지나야 탈퇴가 가능합니다.

회원탈퇴 방법

1. PC홈페이지(www.wadiz.com)에서 로그인 후 우측 상단 프로필 사진을 클릭

2. [My정보설정]이라는 메뉴를 클릭

3. [회원탈퇴]라는 링크를 클릭

4. 각 항목을 확인하신 후에 하단의 빨간색 [회원 탈퇴] 버튼을 클릭

5. 팝업에서 뜨는 [정말로 탈퇴하시겠습니까?]에서 [확인]을 클릭

다음에 또 만나뵙기를 바라면서..

문의사항이나 피드백은 언제든지 저희에게 연락 부탁드립니다.


Q. 얼리버드는 무엇인가요?

A. 남들보다 먼저 리워드 펀딩에 참여하시면 얼리버드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리워드형 프로젝트는 서포터분들의 참여로 이뤄집니다.

각 리워드 제품 또는 서비스마다 가격이 있고, 가격별로 리워드 구성에 차이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메이커(프로젝트 개설자)는 먼저 펀딩에 참여해주는 서포터분들을 위해 "얼리버드" 혜택을 준비합니다. 똑같은 구성이라도 조금 더 저렴하거나, 같은 가격이라면 추가 구성품이 있습니다.

얼리버드는 제한 수량이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아 선착순으로 마감됩니다.

리워드 펀딩에 참여하기 전에 [슈퍼 얼리버드] 또는 [얼리버드] 라고 써있는 리워드가 아직 수량이 남았다면 얼리버드 리워드로 참여해보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


Q. 결제는 일시불로만 가능한가요?

A. 카드 할부는 어떻게 하나요?

와디즈 시스템 상 펀딩에 참여하실 때

카드 할부 결제는 불가하다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Q. 리워드 포인트 사용방법을 안내드립니다.

A. 리워드 포인드 사용, 유효기간, 반환에 대해 안내드려요.

리워드 포인트 제도란, 와디즈에서 진행하는 리워드형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의 모금 참여 시 결제금액에서 포인트 상당의 금액을 차감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적립금 제도를 말합니다.

리워드 포인트의 사용

- 리워드 포인트는  1포인트가 1원의 가치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100포인트 이상의 단위로 사용 가능합니다. 

- 포인트 사용 한도는 제한이 없으며, 리워드형 크라우드펀딩 참여 시 총 결제금액을 포인트만으로도 결제가 가능합니다. 

리워드 포인트의 유효기간 

- 리워드 포인트는 유효기간 내에 사용하여야 합니다. 

- 리워드 포인트의 유효기간은 포인트를 획득한 해당 년도의 차기 년도 12월 31일 23시 59분까지입니다(예를 들어, 2016년 1월 1일에 획득한 포인트는 2017년 12월 31일까지입니다).

- 유효기간 내 사용하지 않은 잔여 포인트는 유효기간 종료일의 익일에 소멸됩니다.

리워드 포인트의 반환

- 리워드형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가 목표한 금액모집이 실패한 경우 참여자들의 결제는 일괄적으로 취소되며, 이때 결제에 사용한 포인트들도 사용 전의 상태로 반환됩니다. 

- 리워드형 크라우드펀딩 프로젝트 진행 중에 참여의사를 철회하기 위해 결제예약 취소를 신청한 경우, 취소 처리 후 지체 없이 사용한 포인트도 사용 전의 상태로 반환됩니다. 

리워드 프로젝트 참여방법(펀딩하는 방법)이 궁금하면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Q. 결제는 언제 되나요?

A. 프로젝트 종료 후 다음 영업일에 결제가 이루어집니다.

와디즈는 프로젝트 진행중에는 결제 예약을 받고

프로젝트 종료 후 다음 날 결제가 이루어집니다.

D-day 프로젝트 종료일

D+1 오후5시  1차 결제 

D+2 오후5시 2차 결제

D+3 오후5시 3차 결제

D+4 오후5시 4차 결제 (최종결제)

참고로, 결제가 이루어지는 날짜는 영업일(평일)기준입니다. 

ex) 금요일에 프로젝트가 종료되면 월~목에 결제가 이루어집니다.최종결제 시에도 결제가 실패하는 경우에는, 프로젝트 참여에서 제외되어집니다.


Q. 배송은 언제 되나요?

A. 발송 시작일을 확인해주세요.

크라우드펀딩은 프로젝트 종료 후 기재된 배송일에 배송이 됩니다 :)

프로젝트의 배송 예정일은 곳곳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프로젝트 참여 전, 리워드의 발송 시작일을 확인해주세요.

- 펀딩참여 후에는 마이페이지 > [나의펀딩현황]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발송 시작일이 지났는데도 아직 배송을 받지 못하셨나요?

송 진행상황을 프로젝트의 [새소식]에서 확인해주시고, 문의사항이 있다면 메이커에게 문의해주세요 :)


Q. 펀딩 취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A. 프로젝트 종료 이후에는 펀딩 취소가 불가하니, 종료 이전에 취소해주세요.

프로젝트가 종료되기 이전에는 아래 경로를 통해  펀딩 취소가 가능합니다.

로그인 후 [나의 펀딩 현황] >참여한 프로제트의 [변경/취소] > [참여 취소] 버튼 클릭

단, 프로젝트 종료 후에는 메이커가 서포터를 위해 보상품 제작을 시작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프로젝트 종료 이후에는 펀딩 취소가 불가하니, 종료 이전에 취소해주세요! :)

결제는 프로젝트 종료 D+1부터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제당일 취소는 불가능합니다.

리워드 펀딩 취소하는 방법

1) 와디즈 홈페이지 우측 상단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2)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3) 우측 상단 프로필 사진을 클릭합니다

    (프로필사진을 설정하지 않았다면, 동그라미 회색 모양이 기본 설정입니다.)

4) [나의 펀딩현황] 메뉴를 클릭합니다.

5) [리워드]를 클릭하여서 펀딩취소를 원하는 프로젝트를 클릭합니다.

   (펀딩 취소는 프로젝트 종료 전까지만 가능하고, 종료 후에는 취소할 수 없습니다)

6) [결제예약 취소] 버튼을 클릭하여 취소를 합니다.

7) 취소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게 됩니다.


Q. 교환/환불/AS는 어디로 문의해야하나요?

A. 제품 관련 교환/환불/AS은 메이커에게 문의해주세요.

제품을 제작하고 배송하는 역할은 해당 프로젝트를 개설한 '메이커'가 하기때문에

제품 관련 교환/환불/AS은 메이커에게 문의하시면 더 정확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메이커 연락처는 프로젝트 화면 오른쪽(PC기준)이나 프로젝트 명 아래(모바일기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Q. 펀딩번호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A. 펀딩 번호를 확인하는 방법을 안내드립니다.

펀딩번호는 펀딩한 건별로 부여되는 고유번호입니다. 아래 진행방법으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1. PC에서 펀딩 번호 확인하는 방법

1) 와디즈 홈페이지 우측 상단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2)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3) 우측 상단 프로필 사진을 클릭합니다

    (프로필사진을 설정하지 않았다면, 동그라미 회색 모양이 기본 설정입니다.)

4) [나의 펀딩현황] 메뉴를 클릭합니다.

5) 펀딩번호를 확인하고 싶은 프로젝트를 클릭합니다.

6) 펀딩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모바일에서 펀딩번호 확인 하는 방법(와디즈앱 기준)

1)좌측 상단 메뉴모양(三)을 클릭합니다.

2) [나의 펀딩현황] 메뉴를 클릭합니다.

3) 펀딩 번호를 확인하고 싶은 프로젝트를 클릭합니다.

4) 펀딩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Q. 카드 결제 정보를 변경하고 싶어요.

A. [펀딩결제내역] > [정보변경/취소] > [결제정보변경]으로 이동해주세요.

리워드 프로젝트가 종료 전이라면 언제든

로그인 후 [나의 펀딩현황] > [펀딩결제내역]  > 참여한 프로젝트 이름 우측 [ 정보변경/취소] 버튼  > [ 결제정보변경] 을 통해 카드정보를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

결제 정보를 변경하셨다면, 다음 결제 시기에 결제가 이루어집니다.

D-day 프로젝트 종료일

D+1 오후5시  1차 결제 

D+2 오후5시 2차 결제

D+3 오후5시 3차 결제

D+4 오후5시 4차 결제 (최종결제)

※ 카드 결제는 영업일에만 진행된다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결제카드 정보 변경 방법

1) 와디즈 홈페이지 우측 상단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2)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3) 우측 상단 프로필 사진을 클릭합니다

    (프로필사진을 설정하지 않았다면, 동그라미 회색 모양이 기본 설정입니다.)

4) [나의 펀딩현황] 메뉴를 클릭합니다.

5) [리워드]를 클릭하여서 옵션 변경을 원하는 프로젝트를 클릭합니다.

6) [결제 정보 변경하기]버튼을 클릭하여 결제 카드 정보를 변경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Q. 주소변경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A. 주소 변경은 [나의펀딩현황]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리워드 펀딩에 참여하고, 주소를 변경하고 싶으시다면 프로젝트가 종료되기 전까지만 와디즈 홈페이지에서 주소 수정을 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가 종료된 후에 변경을 원하시면, 해당 프로젝트의 메이커에게 연락하여 배송지변경요청을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주소 변경하는 방법

1) 와디즈 홈페이지 우측 상단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2)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3) 우측 상단 프로필 사진을 클릭합니다

    (프로필사진을 설정하지 않았다면, 동그라미 회색 모양이 기본 설정입니다.)

4) [나의 펀딩현황] 메뉴를 클릭합니다.

5) [리워드]를 클릭하여서 주소 변경을 원하는 프로젝트를 클릭합니다.

    (프로젝트 종료되기 전까지만 와디즈 홈페이지에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6) 아래쪽에 [배송지 정보 변경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Q. 펀딩 참여했는데, 옵션을 변경하고 싶어요.

A. 옵션변경은 [나의 펀딩현황]에서 프로젝트 종료전까지 변경 하실 수 있습니다.

리워드형 프로젝트가 종료되기 전까지 와디즈 홈페이지에서 옵션을 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혹시 이미 프로젝트 종료되었다면 메이커에게 연락하여 옵션 변경이 가능할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이미 생산이 진행되고 있다면 옵션 변경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1) 와디즈 홈페이지 우측 상단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2)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3) 우측 상단 프로필 사진을 클릭합니다

    (프로필사진을 설정하지 않았다면, 동그라미 회색 모양이 기본 설정입니다.)

4) [나의 펀딩현황] 메뉴를 클릭합니다.

5) [리워드]를 클릭하여서 옵션 변경을 원하는 프로젝트를 클릭합니다.

6) 초록색 글씨로 되어있는 '옵션 변경'을 클릭하여 옵션을 변경한 뒤 '변경완료' 버튼을 클릭합니다.


Q. 새소식은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

A. 새소식은 프로젝트 상세페이지 또는 이메일을 통해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상황을 메이커는 서포터에게 [새소식] 메뉴를 통해 공유하게 됩니다.

서포터분들이 매일 와디즈 홈페이지에 들어올 수 있는 것은 아니기에,

메이커가 새소식을 업데이트하면 서포터분들의 이메일(와디즈에 가입한 이메일계정)으로 알림메일을 발송드립니다.

와디즈 홈페이지에서 내가 참여한 프로젝트의 새소식을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의 방법을 참고해주세요 :)

1) 와디즈 홈페이지 우측 상단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2)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3) 우측 상단 프로필 사진을 클릭합니다

    (프로필사진을 설정하지 않았다면, 동그라미 회색 모양이 기본 설정입니다.)

4) [나의 펀딩현황] 메뉴를 클릭합니다.

5) 펀딩번호를 확인하고 싶은 프로젝트를 클릭합니다.

6) 프로젝트 제목을 클릭하면, 프로젝트 상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7) [새소식]을 클릭합니다.


Q. 펀딩 내역은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A. [나의 펀딩현황]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리워드형 프로젝트에 펀딩하신 내역은 [나의펀딩현황]에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1) 와디즈 홈페이지 우측 상단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2)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3) 우측 상단 프로필 사진을 클릭합니다

    (프로필사진을 설정하지 않았다면, 동그라미 회색 모양이 기본 설정입니다.)

4) [나의 펀딩현황] 메뉴를 클릭합니다.

5) [리워드]를 클릭하여서 펀딩내역을 보실 수 있습니다.


2. 리워드 펀딩하는 방법이 궁금하다면(클릭!)

Q. 와디즈펀딩과 쇼핑은 어떻게 다른가요?

A. 펀딩하기는 쇼핑하기가 아닙니다.

1. 카드 정보 입력 즉시 결제(또는 승인)가 실행되지 않아요.     

 프로젝트 종료일 기준으로 성공할 경우, 종료일 다음날에 모든 참여자가 동시에 결제됩니다. 

2. 즉시 배송되지 않아요.    

프로젝트가 성공한 경우, 메이커가 약속한 배송일에 배송이 시작됩니다. 리워드 배송일이 펀딩한 날로부터

조금 멀더라도 설레는 마음으로 기다리며, 메이커의 목표달성을 응원해주세요.

3. 메이커의 불가피한 사정으로 리워드 배송이 변경 또는 불가할 수 있어요. 

메이커는 약속한 리워드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하지만, 크라우드펀딩의 특성상 불가피한 사정으로 리워드 제공 일정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모든 프로젝트 페이지 하단에 '위험요인과 해결방안' 이 작성되어 있으니 펀딩에 참여하시기 전에 이 부분을 꼭 읽어보시고 참여하세요.  


Q. 왜 우리를 메이커라고 부르나요?

A. 메이커 :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현하는 사람

메이커(Maker)의 사전적 의미는 상품을 만든 사람. '제작자'의 의미입니다.

최근에는 

"디지털 기기와 다양한 도구를 사용한 창의적인 만들기 활동을 통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실현하는 사람으로서 함께 만드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만든 결과물과 지식, 경험을 공유하는 사람들"이라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와디즈에서는 메이커가 펀딩을 통해 자신의 아이디어를 세상에 소개하고 모집된 자금으로 실제로 제작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Q. 목표금액은 왜 설정하는 건가요?

A. 프로젝트를 통해 모으고자 하는 금액이 얼마인가요?

'목표금액'은 프로젝트를 통해 모으고자 하는 금액입니다.

크라우드펀딩이란 프로젝트를 통해 얼만큼의 자금을 모을 계획인지 목표를 세우고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기간동안 집중 홍보하여 서포터들의 지지와 펀딩을 통해 목표 금액을 달성하는 형태입니다.

목표금액 설정 TIP!

목표금액을 설정하실 때에는 프로젝트 기간과 리워드 금액, 수수료 등 고려하여 목표금액을 설정해 주세요. 실제로 필요하신 금액보다는 낮게 설정하여 높은 펀딩율로 관심을 이끄는 것이 프로젝트 기간동안 운영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Q. 와디즈 수수료 체계는 어떻게 되나요?

A. 수수료 Type을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리워드형 프로젝트 개설 시 와디즈 중개수수료는 Type에 따라 다르게 발생합니다 :)

Type별 자세한 수수료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수수료는 프로젝트 모집 신청 시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아래의 링크로 와디즈 리워드 서비스 운영정책 https://www.wadiz.kr/web/wterms/reward 로 링크연결된다.

리워드 프로젝트 수수료 정책


Q. 왜 결제 예약 방식을 사용하나요?

A. 프로젝트가 실패한 경우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모집된 금액이 프로젝트 목표 금액의 100% 미만이면 '실패'로 자금을 받지 않는 형태입니다. 

프로젝트가 실패한 경우 서포터의 결제예약 상태는 취소되어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게됩니다 :)

단, 

수수료 정책을 Type B로 선택하시는 경우, 목표금액 달성 여부와 관계없이 얼마가 모이든 모인만큼 자금을 받게 됩니다 :)


Q. 프로젝트 성공/실패의 기준은 무엇인가요?

A. 모집된 금액이 목표 금액 100% 달성 여부

모집된 금액이 프로젝트 목표 금액의 100% 미만이면 '실패'

모집된 금액이 프로젝트 목표 금액의 100% 이상 달성한 경우 '성공'입니다.

프로젝트 개설 시 선택하셨던 수수료 Type에 따라

Type A인 경우, 목표금액의 100% 이상 모금에 성공했을 때만 자금을 받게되고

Type B인 경우, 목표금액 달성 여부와 관계없이 얼마가 모이든 모인만큼 자금을 받게 됩니다 :)


Q. 와디즈 스쿨은 의무적으로 들어야하나요?

A. 스쿨에 참석하셔서 내 프로젝트를 더욱 빛나게 만들어보세요!

크라우드펀딩은 일반 판매와 형태가 다르고 생소한 분야이기 때문에 사전에 많은 공부와 준비 과정이 필요합니다. 와디즈에서는 '스쿨'을 통해 예비 메이커분들에게 프로젝트 운영 방법, 홍보 방법, 성공 사례들을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싶으시다면, 

스쿨 수강을 강하게 추천드립니다!

와디즈 스쿨은 기초강의와 심화강의 두 종류가 있습니다.

기초강의는 아직 프로젝트를 오픈하지 않은

프로젝트 개설에 관심이 있는 예비 메이커들을 대상으로 하는 강의입니다.

심화강의는 프로젝트 오픈 신청 후 심사에서 승인이 된 프로젝트 개설을 진행중인 메이커를 대상으로 하는 강의입니다.

스쿨에 참석하셔서 내 프로젝트를 더욱 빛나게 만들어보세요!


Q. 프로젝트 개설하기까지 얼마나 걸리나요?

A. 심사 5 영업일 + 피드백 반영 및 약정서 작성 과정을 거쳐야합니다.

프로젝트 내용(스토리)작성 후 [검토 요청하기]를 클릭하여 제출해주시면

심사가 진행되며 심사는 영업일 기준으로 5일 정도 소요됩니다.

심사에 대해 메일로 회신을 드리며,

심사 승인이 된 경우 담당자가 배정이 되어

스토리 내용 중 수정이 필요한 내용 피드백을 드리고 약정서 체결을 진행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평균적으로 일주일 정도 소요가 되구요,

피드백이 빠르게 반영되거나 약정서를 빠르게 체결해주시면 

개설 일정이 조금 더 앞당겨질 수 있습니다.

즉, 영업일 기준 심사 5일 + 피드백 및 약정서 7일로

2주 정도로 예상하시면 됩니다.


Q. 프로젝트 내용(스토리)는 제가 다 작성해야하나요?

A. 메이커의 정성이 느껴지는 내용(스토리)를 작성해주세요.

프로젝트 내용(스토리)는 메이커가 직접 작성해주셔야 합니다.

스토리, 이미지, 동영상 등 와디즈가 작성을 하거나 제작해드리지는 않습니다.

프로젝트 내용 작성 후 [검토 요청하기]를 클릭하시면,

심사가 진행되며 심사 승인 후 담당 콘텐츠 디렉터가 배정이 됩니다.

콘텐츠 디렉터는 프로젝트 내용 중 수정이 필요한 내용에 대해 가이드와 피드백을 드립니다. 다만, 프로젝트의 전체적인 스토리나 이미지, 동영상 등을 제작해드리는 것이 아닌 프로젝트 진행 시 이슈가 발생하지 않도록 수정이 필요한 내용에 대해 안내드린다는 점을 참고해주세요.


Q. 와디즈에서 프로젝트 진행하려면 어느 정도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하나요?

A. 시제품, 베타버전 정도의 리워드와 지속적인 관심을 쏟을 마음가짐이 필요합니다 :)

프로젝트 종료 후 약속한 배송일에 실제로 배송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제품이라면 시제품 / 어플 등의 소프트웨어는 베타버전 정도로 리워드가 준비되어 있는 상태에서 개설이 가능합니다 :)

리워드 외에도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프로젝트를 홍보하고, 서포터들의 문의와 댓글에 대해 응대하는 등의 지속적인 관심을 쏟을 수 있는 시간과 마음가짐이 준비되어 있어야합니다 :)


Q. 저희 제품(서비스)가 리워드로 가능할까요?

A. 프로젝트 심사 기준을 확인해보세요.

와디즈 프로젝트는 다음의 내용을 검토 후 오픈을 승인합니다.  

1. 프로젝트의 목적 및 범위

- 공공의 가치를 훼손하지 않는 프로젝트이어야 합니다.

- 제품/문화컨텐츠/공익나눔 중 하나 이상의 카테고리에 부합해야 합니다.

- 실제 구현이 가능한 프로젝트여야 합니다.

2. 명확한 자금 사용 계획 

- 크라우드펀딩으로 자금을 모금하는 목적을 분명하게 밝혀야 합니다.

- 펀딩 모금액의 사용계획에 대해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밝혀야 합니다. 

3. 프로젝트 및 메이커의 신뢰성 

- 프로젝트 스토리에는 사실 여부를 밝힐 수 있는 분명한 정보만 작성해야 합니다. 

- 프로젝트 진행중 제품의 디자인, Spec이 변경 될 수 있다면 이에 대해 사전에 스토리에 밝혀야 합니다.

- 프로젝트 메이커는 사진과 함께 이름, 소속을 밝히며 본인이 누구인지에 대해 설명해야 합니다.  - 프로젝트 메이커는 보상품 제작, 발송뿐만 아니라 프로젝트 진행기간 동안 서포터에게 진심을 다해 응대하고, 프로젝트를 홍보할 수 있는 시간과 의지가 있는 분이어야 합니다. 

4. 보상품(리워드) 제공 가능성 

- 프로젝트 메이커는 서포터에게 반드시 펀딩 금액에 합당한 보상품(리워드)을 제공해야 합니다. 

- 단순히 브랜드, 상품, 행사 정보 등이 나열된 형태인 경우 등록을 제한합니다.

- 보상품(리워드)의 종류에 따라 추가서류를 요청할 수 있으며, 요청한 자료가 증빙되지 않을 경우 오픈이 불가할 수 있습니다. 

- 보상품(리워드)은 프로젝트 종료일 기준 7일 이후~3개월 이내에 제공할 것을 권장합니다.

5. 프로젝트 유형별 확인 사항

- 공연, 행사 프로젝트를 진행할 경우 공연, 행사에 대한 정확한 정보 (장소, 공연자)를 밝혀야 합니다.

- 출판 프로젝트의 경우 원고 작성이 완료된 상태에서 출판일정이 확정되어야 프로젝트 오픈이 가능합니다.

- 제품 프로젝트의 경우 시제품이 있어야 하며, 서포터가 어떤 제품인지 인지할 수 있는 형태의 이미지를 공개해야 합니다. 

- 웹사이트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작이 필요한 프로젝트는 최소 프로토타입 형태의 개발이 완료된 상태에서만 진행이 가능합니다.  

6. 기타

- 펀딩 기간은 시작일로부터 30일 내외를 권장하며 60일을 넘겨서는 안됩니다. 

- 프로젝트 진행 중에는 기간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 펀딩 목표 금액은 50만원 이상, 1억원 이하를 권장합니다.

 아래에 해당하는 스토리 내용은 삭제 후 오픈이 가능합니다. 

- 소수자 차별 및 타인의 인권을 침해하는 내용이 포함된 경우

- 특정 국적/인종/종교/민족/성별/장애 등을 비방하거나, 개인정보 유출, 타인에 대한 욕설이나 인신공격 등이 해당

- 정치적, 종교적, 성적 편향성을 띄는 내용이 포함된 경우

- 비속어, 욕설 등 불쾌감을 줄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한 경우

- 지적 재산권을 위반한 경우

- 이용자로 하여금 불법적인 행위를 조장하는 내용이 포함된 경우

- 음란하거나 선정적인 내용이 포함된 경우

  아래에 해당하는 프로젝트는 오픈이 불가합니다.

- 타인의 명예를 손상시키거나 불이익을 주려는 목적의 프로젝트

- 범죄적 행위, 국익 또는 사회적 공익을 저해하려는 목적의 프로젝트

- 정치적, 종교적, 성적 편향성 등을 띄는 소재의 경우

- 관계법령에 위배되거나 사회의 질서 혹은 미풍양속을 저해하려는 목적을 가진 경우

- 리워드로 제공할 계획인 제품이 타 크라우드펀딩사, 자사홈페이지를 포함하여 외부에서 유통중인 경우

- 기타 와디즈가 정한 프로젝트 조건에 부적합한 경우

- 프로젝트의 완성도가 떨어지거나 가독성이 떨어지는 경우

- 와디즈 스토리 가이드에 맞지 않은 컨텐츠로 작성된 경우


Q. 개인도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자금을 모을 수 있나요?

A. 개인 / 개인사업자 / 법인 모두 프로젝트 개설이 가능합니다.

네 :)

사업자가 없는 개인도 리워드형 프로젝트 개설이 가능합니다.

다만, 펀딩으로 모집된 금액에 대한 세금 처리방법은 미리 확인 후 진행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금 관련 내용은 세무서나 국세청에서 확인해주세요!


Q. 품목 제조 보고서가 무엇인가요?

A. 식품을 리워드로 계획 중인 메이커분이시라면, 품목제조보고서를 제출해주셔야합니다.

프로젝트 개설을 위해서 열심히 스토리를 작성하여 검토요청을 해주신 후에, 저희 심사팀에서 피드백을 드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 중 리워드가 식품이라면 '품목제조 보고서' 또는 '시험 성적서' 등을 제출해달라고 요청드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쉽게 설명드리자면 음식이 어떤 재료로,  어떤 방식으로 제조되는지 해당 관청(시/구청) 위생 관련 부서에 신고하시는 서류입니다.

농산물, 가공식품 등으로 리워드를 준비 중인 메이커이시라면 관련 기관(식약처, 시청 등)에 필수적으로 인허가, 신고를 해야하는 사항을 챙기시어서 심사 과정 중 저희가 관련 증빙서류를 요청드렸을 때 이메일로 회신하여 증명해주시면 됩니다.

필요한 증빙서류에 대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 통합민원상담서비스, 해당 관청을 통해서 확인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식품의약처안전처 통합민원상담서비스

 식품안전나라


Q. 스토리 작성시 최적화 이미지 사이즈는 어떻게 되나요?

A. 이미지 파일이 깨져서 보이나요? 이 글을 읽어주세요!

대표이미지

프로젝트가 소개되는 모든 화면에 (와디즈 사이트의 프로젝트 리스트, Facebook 지지서명 시, 카카오톡으로 프로젝트 링크 공유 시) 노출되는 프로젝트의 첫 얼굴입니다.

리워드가 잘 드러나는 고화질의 사진이나, 프로젝트의 성격이 한눈에 드러나는 사진이 좋습니다. (용량 1MB 미만)

하단 150px 영역에는 위의 예시와 같이 상태바가 삽입되기 때문에 텍스트나 로고가 삽입되지 않은 이미지를 사용해 주셔야 합니다.

대표 이미지는 프로젝트 오픈 후에도 계속 변경이 가능합니다.

1~2주에 한 번 변화를 주시는 것도 좋겠죠?

스토리 내에 삽입되는 이미지는 가로 630 * 세로 1000 픽셀 사이즈에 맞게 올려주세요. (jpg, jpeg, gif, png형식)

    ※ 해당 사이즈 초과 시, 모바일에서 깨져서 노출된답니다.


Q. 프로젝트에 있는 내용을 수정/삭제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A. 프로젝트가 공개된 이후에도 스토리를 수정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가 공개된 이후에도 스토리를 수정하실 수 있습니다. 

진행 중간 업데이트되는 소식을 스토리에 반영하여 프로젝트가 현재진행형이라는 생동감을 불어넣어 주세요.

수정을 원하시면, 개설한 아이디로 로그인 후

마이페이지에서 [만든 프로젝트] > [수정]을 클릭해주세요.

* 프로젝트 공개 이후 수정할 수 있는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 프로젝트 스토리

- 비디오와 커버 이미지

* 수정할 수 없는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 수수료 

- 프로젝트 종료일 

- 리워드 ( 담당 매니저와 협의하여 추가 가능, 공개 이후에도 참여자가 없는 것은 협의 하에 수정 가능)

- 목표금액


Q. 프로젝트 심사 전 미팅을 하고 싶습니다.

A. 먼저 온라인 신청서를 작성해주세요!

프로젝트 개설 전 어떤 방식으로 진행을 해야할 지 고민이 많으신가요?

신청서를 통해 먼저 메이커와 리워드 제품에 대해 상세히 확인 후 안내를 드리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에, 먼저 [펀딩모집 신청하기]를 통해 신청서를 접수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신청서 확인 후 메일로 회신을 드리니, 메일을 확인해주세요 :)

혹은, 크라우드펀딩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이 필요하시다면,

와디즈에서 진행하고 있는 와디즈 스쿨에 참석해보세요 :)

기본강의를 듣고 나면, 크라우드 펀딩 전문가가 되어 있을꺼에요!

프로젝트 개설 전인 경우에는 '리워드 기본교육'을 수강하시면 됩니다.


Q. 약정서 작성 시 어떤 서류가 필요하나요?

A. 개인 / 개인사업자 / 법인사업자에 따라 필요한 서류를 확인해주세요.

약정서 작성 시 개인 / 개인사업자 / 법인사업자에 따라 필요한 서류가 다릅니다.

- 개인 : 본인 명의의 계좌 사본

- 개인사업자 : 사업자등록증, 사업자(대표)명의의 계좌 사본

- 법인사업자 : 사업자등록증, 사업자 명의의 계좌 사본


Q. 약정서 작성 후 사업자가 변경되었을 경우에는 약정서를 다시 작성해야하나요?

A. 변경된 사업자로 다시 약정서를 작성해야합니다.

네, 사업자가 변경되었다면 약정서를 다시 작성해야합니다.

와디즈 담당자에게 변경된 내용을 말씀해주시면, 새 약정서를 전달드리겠습니다!

약정서를 다시 작성하지 않는 경우, 정산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담당자에게 미리 말씀해주세요 :)


Q. '오픈예정'에 제 프로젝트도 올리고 싶습니다. 어떻게 해야하나요?

A. 오픈 전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홍보하고 싶어요.

'오픈예정'에 신청한 서포터에게는 프로젝트 오픈 시에 SMS로 오픈 알림발송되어,

프로젝트 오픈 직후 초기 서포터 모집에 도움이 됩니다.

'오픈 예정'에 프로젝트를 올리시기 위해서는 3%의 추가 중개수수료가 부과되며,

'오픈예정'에 신청한 서포터의 리스트는 메이커에게 전달드리지 않는다는 점을 참고해주세요.

오픈 예정 페이지에 프로젝트를 올리기 원하신다면, 

와디즈 담당자에게 말씀해주시면 안내도와드리겠습니다 :)


Q. '오픈예정'에 신청한 서포터 명단을 받을 수 있을까요?

A. '오픈예정' 명단은 공개할 수 없습니다.

'오픈예정'은 추후 프로젝트 오픈 시에 알림을 받기 위한 서비스로,

아직 프로젝트에 참여하지 않은 상태이기때문에

'오픈예정'에 신청한 서포터 명단을 메이커분에게 공개할 수 없다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


Q. 프로젝트는 언제 오픈하는 게 제일 좋은가요?

A. 평일 오전9시~오후6시 사이에 오픈해주세요.

접속자가 많은 시간대에 오픈을 하시는 편이 오픈 직후 펀딩율을 높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

와디즈는 워킹타임 (평일 9시~6시)에 접속자가 많은 편이며

시 오픈 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와디즈에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워킹타임 중에 오픈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Q. 프로젝트 오픈 후 내용을 수정/삭제할 수 있나요?

A. 스토리는 수정할 수 있지만, 수정불가한 항목을 확인해주세요!

프로젝트 오픈 후에 프로젝트 스토리와 커버 이미지, 비디오는 수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프로젝트 종료일 / 목표금액 / 리워드 가격 / 리워드 상세설명 / 리워드 제공예상일 / 위험요인과 해결방안 / 수수료는 변경하실 수 없으니 오픈 전 마지막으로 꼼꼼히 체크해주세요.

추가 이벤트나 배송 지연 등 서포터에게 안내하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새소식]란을 이용해주세요. 

[새소식]에 글을 작성하면 서포터에게 해당 글이 메일로 발송됩니다.


Q. 새소식은 언제 쓰는건가요?

A. 새소식 활용 방법 안내

새소식은 서포터와 소통하는 창구이자, 신뢰를 만드는 공간일 뿐 아니라, 

펀딩에 참여해주신 분들께 (Facebook으로 응원해주신 분들 포함) 이메일로 알림이 가기 때문에 프로젝트 진행상황을 공유하며 메이커님의 열정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① 펀딩 달성률 안내 ex) 코드잇

  ② 서포터분들이 궁금해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 ex) 톤28

  ③ 프로젝트 비하인드 스토리 ex)와치피

  ④ 이벤트 진행 / 결과 알림 ex) 상뗄 팔찌

  ⑤ 제작 과정 소개 ex) 코르크

  ⑥ 감사의 인사 ex) 세월호 폰케이스

  ⑦ 종료 안내 ex) 딜라잇 톡스

  ⑧ 배송 진행 상황 ex) 여행배낭 엠비치오넴

  ⑨ 후원 현황 보고 ex) 페미니스트 맨투맨

  ⑩ 펀딩 종료 이후의 소식들 ex) 같이 걸을까 

 이 외에도, 새소식을 꾸준히 올려 많은 인기를 얻은 세 팀을 소개할게요. 

- 포밍보글 : https://www.wadiz.kr/web/campaign/detailPost/3822

- 오피스 멀티데스크 : https://www.wadiz.kr/web/campaign/detailPost/11288

- 홍군아떡볶이 : https://www.wadiz.kr/web/campaign/detailPost/11639


Q. 프로젝트가 100% 이상 모금되어 성공하였습니다. 종료 후 프로세스를 알려주세요.

A. 성공한 프로젝트의 종료 후 프로세스를 안내드립니다.

우선 프로젝트 성공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

프로젝트 종료 후 바로 아래 사항을 진행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1. 스토리 상단에 아래 내용을 포함하여 [종료 및 배송안내]를 작성해주세요.

- 종료 및 결제 예정일

- 리워드 발송 예정일

- 리워드 관련 문의처(메이커 담당자 이름/이메일/전화번호)

- 지속적인 업데이트 약속 멘트

2. 서포터에게 문자를 발송해주세요.

- 프로젝트 성공 시, 종료일 다음 영업일 오후 5시에 1차 결제를 실행합니다.

- 메일과 새소식을 잘 확인하지 않는 서포터들을 위해 따로 문자를 발송해주세요.

- 문자 내용에는 [프로젝트 종료 안내] [감사 인사] [결제예정일 안내] [리워드 제공일 안내(배송계획)] 등을 포함해주세요.

- 참고: 1차 결제에 실패한 서포터는 결제 실패했다는 문자(SMS)를 받게 됩니다. 1차 결제일로부터 3 영업일(오후 5시마다) 동안 재결제를 시도하게 됩니다.

3. 결제 기간이 종료된 후 최종 참여자 명단을 확인해주세요.

- 최종 결제가 완료된 이후 최종 참여자 명단을 확인 후 리워드를 제공해주세요.

- 명단 확인 방법: 와디즈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오른쪽 상단 동그라미 프로필 사진을 클릭> 개설한 프로젝트 클릭> 관리자 화면 클릭> 펀딩 참여자 정보 다운로드 받기(명단이 안보일 경후 하단에 동의 버튼 클릭)

4. 와디즈에서 발송한 정산내역서를 확인하신 후, 요청한 정산서류로 등기를 발송해주세요. 

- 정산담당자가 확인 후 정산금액을 입금해드립니다.

- 어떤 서류가 필요한지 궁금하시다면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 자세한 내용은 리워드 운영정책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


Q. 정산을 받으려면 어떤 서류가 필요한가요?

A. 개인/개인사업자/법인사업자별로 준비하셔야하는 서류를 안내드립니다.

프로젝트 종료 후에는 펀딩금액 결제, 정산, 리워드 배송의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프로젝트 종료일 기준 10~15영업일 내 정산이 진행됩니다.

- 프로젝트 종료일 기준 10 영업일(통상적으로는 영업일 기준 5일) 내에 정산내역서를 메이커의 이메일로 보내드립니다. 정산금입금요청서와 아래의 첨부서류를 등기로 발송해주시면 정산담당자가 확인 후 10 영업일(통상적으로는 영업일 기준 5일) 안에 정산금을 입금해드립니다. 정산금은 매주 화/목요일만 입금이 가능합니다.

- 개인인 경우: 정산금입금요청서, 인감증명서 또는 본인서명사실확인서

- 개인사업자인 경우: 정산금입금요청서, 대표이사의 인감증명서

- 법인사업자인 경우: 정산금입금요청서, 법인인감증명서, 법인등기부등본

모든 서류는 3개월 이내의 원본이어야 합니다. 사본인 경우 다시 서류를 준비해서 등기로 보내주셔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 정산금입금요청서는 무엇인가요?

A. 정산내역서를 발송시 첨부해서 보내드리는 정산서류 양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작성방법은 정산내역서를 발송해드리는 이메일 내에 설명드리고 있습니다.

Q. 정산 관련 서류는 이메일로 보내도 되나요?

A. 아니요. 정산 관련 서류는 모두 3개월 이내의 원본서류로 등기발송해주셔야 합니다.

Q. 인감증명서는 어떻게 발급받나요? 없으면 어떻게 하나요?

A. 인감증명서는 민원24 또는 관할 지역기관(시군구/읍면동)에 방문하여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개인/개인사업자가 인감증명서가 없는 경우에는 정산금입금요청서 인감란에 등록한 서명을 하시고 본인서명사실확인서를 제출해주시면 되며, 법인사업자는 반드시 법인인감날인만 가능하고 대표자의 서명은 인정되지 않습니다.

Q. 법인인데 지점이라 법인인감이 없는데 어떡하죠?

A. 지점의 사용인감을 날인하고, 사용인감계(본점의 법인인감이 날인된)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이 때, 본점 및 지점의 사업자등록증 사본, 본점의 법인인감증명서,법인 등기부등본, 법인인감이 날인된 사용인감계를 제출해주셔야 합니다.


Q. 정산은 언제, 어떻게 진행되나요?

A.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종료일 기준 10~15 영업일 내에 정산이 이루어집니다.

프로젝트 종료일 기준 10~15영업일 내 정산이 진행됩니다.

1. 프로젝트 종료일 기준 10 영업일(통상적으로는 영업일 기준 5일) 내에 정산내역서를 메이커의 이메일로 보내드립니다.

2.정산금입금요청서와 서류를 등기 와디즈로 발송해주세요. 

- 주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242 (삼평동) 판교디지털센터 A동 4층 402호 와디즈 정산담당자 앞

3.정산담당자가 미비사항이 있는지 확인 후 10 영업일(통상적으로는 영업일 기준 5일) 안에 정산금을 입금해드립니다. 정산금은 매주 화/목요일만 입금이 가능합니다.

정산에 필요한 서류가 궁금하시다면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Q. 펀딩금액에 대해서도 세금을 납부해야 하나요?

A. 세무서나 국세청에 문의하셔서 확인해주세요.

펀딩금을 지급받으신 후  법인세법, 소득세법, 부가가치세법 등 관계법령에 따라 세금 신고 및 납부를 하셔야합니다.

메이커의 형태(개인/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와 프로젝트의 성격(공익성, 제품 판매 등)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지기 때문에, 와디즈에서 정확한 가이드를 드리기는 어렵습니다.

세무서나 국세청에 문의하셔서 확인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Q. 와디즈에 세금계산서를 발행해야하나요?

A. 와디즈에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것이 아닙니다.

모집된 금액에서 와디즈 중개수수료와 카드PG사 수수료(3.3% vat포함)를 제외한 금액을 정산합니다.

정산받은 금액에 대해서는 와디즈의 매출이 아니기 때문에 와디즈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와디즈에서 메이커님께 중개수수료에 대한 세금계산서를 발행해드리고 있습니다.

메이커의 형태 (개인/ 개인사업자/ 법인) 등에 따라 세금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매출 신고에 대해서는 세무서나 국세청에 문의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Q. 서포터가 환불요청을 하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A. 종료 후에는 환불이 불가하다는 점을 친절하게 설명해주세요 :)

크라우드펀딩으로 모인 자금으로 메이커가 제작 및 배송을 시작하기 때문에

마감일 이후에는 환불이 불가하다는 점을 서포터에게 부드럽게 설명해주세요 :)

하지만, 메이커가 작성한 프로젝트 위험 요인과 해결 방안에 따라,

약속된 배송일보다 일정 기간 이상 배송이 지연되는 경우

서포터가 펀딩한 금액의 100%를 계좌로 환불하여야 합니다.



SiteMap

https://www.wadiz.kr/

https://www.wadiz.kr/web/wmain - 와디즈 캐스트

https://www.wadiz.kr/web/winvest/main - 투자

https://www.wadiz.kr/web/wreward/main - 리워드

https://www.wadiz.kr/web/wcomingsoon/main - 오픈예정

https://www.wadiz.kr/web/wcomingsoon/rwd

https://www.wadiz.kr/web/wcomingsoon/ivt

https://www.wadiz.kr/web/wcast/main - 와디즈 캐스트

https://www.wadiz.kr/web/wcast/detail

https://www.wadiz.kr/web/wcast/list

https://www.wadiz.kr/web/wcast/list/BRD0000011

https://www.wadiz.kr/web/wcast/list/BRD0000012

https://www.wadiz.kr/web/wcast/list/BRD0000013

https://www.wadiz.kr/web/fthelpCenter - 이용가이드

https://www.wadiz.kr/web/wsub/makeproject - 펀딩모집 신청하기

https://www.wadiz.kr/web/wsub/wadizstory - 와디즈 이야기

https://www.wadiz.kr/web/wsub/makerQuiz - 리워드? 투자?

https://www.wadiz.kr/web/wsub/makeproject#startWithWadiz - 신청 절차 알아보기

https://www.wadiz.kr/web/wsub/successstory - 성공 프로젝트

https://www.wadiz.kr/web/waccount/wAccountLogin

https://www.wadiz.kr/web/waccount/wAccountRegistIntro

https://www.wadiz.kr/web/school/main - 와디즈 스쿨

https://www.wadiz.kr/web/wterms/reward - 수수료 안내

https://www.wadiz.kr/web/wpage/juror - 와디즈 배심원

https://www.wadiz.kr/web/wcampaign/search - 프로젝트 검색하기

https://www.wadiz.kr/web/campaign/detail

https://www.wadiz.kr/web/campaign/detail/qa

https://www.wadiz.kr/web/campaign/detailPost

https://www.wadiz.kr/web/campaign/detailBacker

https://www.wadiz.kr/web/ftcampaign/detail/

https://www.wadiz.kr/web/wpartner/main - 와디즈 바트너

https://www.wadiz.kr/web/wboard/newsBoardList - 공지사항

https://www.wadiz.kr/web/wboard/newsBoardList/1

https://www.wadiz.kr/web/wboard/newsBoardList/2 - 이벤트

https://www.wadiz.kr/web/wboard/newsBoardList/3 - 채용

https://www.wadiz.kr/web/wboard/newsBoardList/4

https://www.wadiz.kr/web/wboard/csBoardList - 문의하기

https://www.wadiz.kr/web/wboard/csBoardRegist


404ErrorPage


'Legend 개발자 > 기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스마트 팩토리  (0) 2017.12.05
매트릭스투비  (0) 2017.11.16
Posted by 전설의아이
|